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심리적소진,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각각 어떤 관계를 맺는지 파악하고, 심리적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 및 회수했다.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 3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통계처리 했으며, 측정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인 MBI(...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심리적소진,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각각 어떤 관계를 맺는지 파악하고, 심리적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 및 회수했다.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 3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통계처리 했으며, 측정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인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 회복 탄력성 척도인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인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ri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고,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22.0를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수행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은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일부 하위 요인에 있어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는 전체 요인은 물론 모든 하위 요인에 걸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일 때, 회복 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중등교사들이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면 교사들이 교직 생활에서 심리적 소진 상황에 처할 때 회복탄력성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한 교원들의 행정업무 경감의 필요성 증가, 교권의 하락으로 인한 교사 대상의 전문적 상담 및 교권 보호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보이는 교사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회복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심리적소진, 직무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이 각각 어떤 관계를 맺는지 파악하고, 심리적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 및 회수했다.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 3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289명의 자료를 통계처리 했으며, 측정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인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 회복 탄력성 척도인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인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ri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고,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22.0를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수행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은 회복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일부 하위 요인에 있어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는 전체 요인은 물론 모든 하위 요인에 걸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일 때, 회복 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중등교사들이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면 교사들이 교직 생활에서 심리적 소진 상황에 처할 때 회복탄력성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한 교원들의 행정업무 경감의 필요성 증가, 교권의 하락으로 인한 교사 대상의 전문적 상담 및 교권 보호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심리적 소진을 보이는 교사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회복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verify the roles of resilience while burnout affects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292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verify the roles of resilience while burnout affects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292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collected. Except 3 respondents making no or poor answers, a total of 289 respondents’ data went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and measurement tools used for collecting data wer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and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2.0 to analyze the status of demographic variables. Along with SPSS 22.0,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major variables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In a bi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MOS 22.0 was used for implemen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lso,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econdl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not only with all factors but also with all sub-factors.
Thirdly, when burnout is a path to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were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lations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f the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are able to increase resilience, it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n virtue of resilience when they confront burnout situations in the teaching career. Such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to develop student guidance measures in a positive way by exploring themselves and making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where the necessity for diminishing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load of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 and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system caused by the continual loss of teacher’s authority are desperately required.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verify the roles of resilience while burnout affects job satisfaction. A survey of 292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collected. Except 3 respondents making no or poor answers, a total of 289 respondents’ data went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and measurement tools used for collecting data wer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KRQ-53(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and TJSQ(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2.0 to analyze the status of demographic variables. Along with SPSS 22.0,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major variables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In a bi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MOS 22.0 was used for implemen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lso,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Secondl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not only with all factors but also with all sub-factors.
Thirdly, when burnout is a path to job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were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lations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f the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are able to increase resilience, it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n virtue of resilience when they confront burnout situations in the teaching career. Such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eachers experiencing burnout to develop student guidance measures in a positive way by exploring themselves and making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where the necessity for diminishing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load of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 and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system caused by the continual loss of teacher’s authority are desperately requi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