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이상 강우에 의한 홍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2~2011) 평균 연강수량은 1,425.0mm로 평년대비 약9.1% 증가하였다. 또한, 2002년 태풍 루사의 내습으로 강릉지역에서는 PMP를 상회하는 집중강우가 발생하는 등 이상 홍수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 홍수의 발생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저수지는 전체 저수지의 약70%가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한 상태로 상당히 노후화 되어 있으며 대부분 치수보다 이수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상 홍수에 대처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과거에는 저수지 하류부 대부분이 농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전국적인 산업화 및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구 밀집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유로 저수지에서 이상 홍수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하지만 SOC예산의 축소, 특히 농업시설에 대한 투자 축소에 따라 이상 홍수를 방지하여 대규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저수지의 확보가 요원한 상황이기 때문에 재해위험도 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투입하여 효율적인 재해 예방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에 대해 홍수 위험요소와 저수지 및 하류 특성을 반영한 홍수 재해 ...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이상 강우에 의한 홍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2~2011) 평균 연강수량은 1,425.0mm로 평년대비 약9.1% 증가하였다. 또한, 2002년 태풍 루사의 내습으로 강릉지역에서는 PMP를 상회하는 집중강우가 발생하는 등 이상 홍수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 홍수의 발생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저수지는 전체 저수지의 약70%가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한 상태로 상당히 노후화 되어 있으며 대부분 치수보다 이수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상 홍수에 대처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과거에는 저수지 하류부 대부분이 농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전국적인 산업화 및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구 밀집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유로 저수지에서 이상 홍수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하지만 SOC예산의 축소, 특히 농업시설에 대한 투자 축소에 따라 이상 홍수를 방지하여 대규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저수지의 확보가 요원한 상황이기 때문에 재해위험도 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투입하여 효율적인 재해 예방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에 대해 홍수 위험요소와 저수지 및 하류 특성을 반영한 홍수 재해 위험도 평가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대표 저수지 14개소를 선정하고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대응·복구성 등 재해위험지수를 평가하여 저수지 별 홍수 재해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홍수 재해에 취약한 저수지에 대한 선별적 대비책 마련을 유도하고 저수지 시설 현대화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이상 강우에 의한 홍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2~2011) 평균 연강수량은 1,425.0mm로 평년대비 약9.1% 증가하였다. 또한, 2002년 태풍 루사의 내습으로 강릉지역에서는 PMP를 상회하는 집중강우가 발생하는 등 이상 홍수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 홍수의 발생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저수지는 전체 저수지의 약70%가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한 상태로 상당히 노후화 되어 있으며 대부분 치수보다 이수목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상 홍수에 대처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과거에는 저수지 하류부 대부분이 농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전국적인 산업화 및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구 밀집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유로 저수지에서 이상 홍수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하지만 SOC예산의 축소, 특히 농업시설에 대한 투자 축소에 따라 이상 홍수를 방지하여 대규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저수지의 확보가 요원한 상황이기 때문에 재해위험도 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투입하여 효율적인 재해 예방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에 대해 홍수 위험요소와 저수지 및 하류 특성을 반영한 홍수 재해 위험도 평가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대표 저수지 14개소를 선정하고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대응·복구성 등 재해위험지수를 평가하여 저수지 별 홍수 재해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홍수 재해에 취약한 저수지에 대한 선별적 대비책 마련을 유도하고 저수지 시설 현대화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All over the world, Flood disaster have occurred frequentry by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global warming. In particular,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last 10 years(2002~2011) is 1,425.0mm. It increased by approximately 9.1% compared to normal years. In additio...
All over the world, Flood disaster have occurred frequentry by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global warming. In particular,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last 10 years(2002~2011) is 1,425.0mm. It increased by approximately 9.1% compared to normal years. In addition, heavy rains exceeding the PMP due to Typhoon Rusa(2002) in Gangneung occurred. Thus i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xtraordinary flood. Reservoirs of Republic of Korea are a difficult situation to cope with extraordinary floo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total percentage of reservoirs, About 70% is the state more than 50 years. And it was constructed for irrigation, not for water control. Downstream region of reservoirs was mostly consists of farmland in the past. But recent trend is glowing population centers in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the case stands if the breaking of reservoir body is occurred by extraordinary flood, it will cause large-scale disasters. But renovation plan of agriculture facilities for disaster prevention is still far-off. So by putting the budget in accordance with disaster risk ranking it should lead to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In this paper, we want to devise Disaster risk evaluation method based on risk factors and downstream region. This paper analyzed disaster risk through evaluation of disaster risk index(factors of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response & recoverability) and selection of fourteen representative reservoirs. Through this paper, it is to induce selectively protective measures for vulnerable reservoirs in flood disasters and to establish a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prioritize reservoirs for renovated.
All over the world, Flood disaster have occurred frequentry by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global warming. In particular,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last 10 years(2002~2011) is 1,425.0mm. It increased by approximately 9.1% compared to normal years. In addition, heavy rains exceeding the PMP due to Typhoon Rusa(2002) in Gangneung occurred. Thus i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xtraordinary flood. Reservoirs of Republic of Korea are a difficult situation to cope with extraordinary floo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total percentage of reservoirs, About 70% is the state more than 50 years. And it was constructed for irrigation, not for water control. Downstream region of reservoirs was mostly consists of farmland in the past. But recent trend is glowing population centers in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the case stands if the breaking of reservoir body is occurred by extraordinary flood, it will cause large-scale disasters. But renovation plan of agriculture facilities for disaster prevention is still far-off. So by putting the budget in accordance with disaster risk ranking it should lead to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In this paper, we want to devise Disaster risk evaluation method based on risk factors and downstream region. This paper analyzed disaster risk through evaluation of disaster risk index(factors of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response & recoverability) and selection of fourteen representative reservoirs. Through this paper, it is to induce selectively protective measures for vulnerable reservoirs in flood disasters and to establish a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prioritize reservoirs for renova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