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의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인 도핑에 대한 윤리적 제문제들을 알아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도핑 청정종목으로 평가되는 태권도 경기의 구성원이자 도핑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 선수, 지도자, 학부모, 도핑검사관, 의사의 도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도핑 청정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도핑방지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들은 대부분 운동보조제 등을 섭취하고 있다. 그 종류는 한약, 동물식품, 종합비타민제, 단백질 파우더 등이며 선수들은 각자의 기호에 맞는 건강보조제를 선택하고 있었다. 그 경로는 학무모를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학부모는 보통 몸에 좋다는 것들을 주변에서 추천 받아 선수에게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태권도 선수들은 건강보조제나 약물을 한번쯤은 권유 받은 적이 있으며 실제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 이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선수들이 약품이나 건강보조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핑은 선수 혼자의 책임이 아니라 지도자와 부모의 역할도 매우 크며 그 책임 역시 함께해야 할 것이다. 도핑청정 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련단체, 선수, 지도자, 학부모가 선수들의 도핑방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선수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운동보조제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도핑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합법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도핑에 걸리는 제재는 불법이며, 그 밖에 제재는 합법이라는 인식이 과연 옳을까? 물론 현재로선 옳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이분법적 사고는 인간의 신체에 인위적인 어떠한 행위를 ...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의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인 도핑에 대한 윤리적 제문제들을 알아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도핑 청정종목으로 평가되는 태권도 경기의 구성원이자 도핑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 선수, 지도자, 학부모, 도핑검사관, 의사의 도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도핑 청정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도핑방지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들은 대부분 운동보조제 등을 섭취하고 있다. 그 종류는 한약, 동물식품, 종합비타민제, 단백질 파우더 등이며 선수들은 각자의 기호에 맞는 건강보조제를 선택하고 있었다. 그 경로는 학무모를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학부모는 보통 몸에 좋다는 것들을 주변에서 추천 받아 선수에게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태권도 선수들은 건강보조제나 약물을 한번쯤은 권유 받은 적이 있으며 실제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 이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선수들이 약품이나 건강보조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핑은 선수 혼자의 책임이 아니라 지도자와 부모의 역할도 매우 크며 그 책임 역시 함께해야 할 것이다. 도핑청정 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련단체, 선수, 지도자, 학부모가 선수들의 도핑방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선수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운동보조제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도핑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합법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도핑에 걸리는 제재는 불법이며, 그 밖에 제재는 합법이라는 인식이 과연 옳을까? 물론 현재로선 옳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이분법적 사고는 인간의 신체에 인위적인 어떠한 행위를 해도 도핑에 걸리지만 않는다면 용인되며, 비도덕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현재는 아니지만 미래에는 도핑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들이 우리 주위에는 엄청나게 산재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넷째, 반도핑 윤리의식의 제고가 시급하다. 광의의 개념으로 스포츠 윤리적인 측면에서, 혹은 스포츠맨십에 의한 공정성의 정의와 더불어 KADA에서의 도핑에 정의는 "운동경기에서 성적을 향상시킬 목적"의 훈련이나 자연적인 방법이 아닌 인위적인 방법은 모두 도핑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현재 금지약물이나 방법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해서 도핑이 아니라는 것은 잘못된 생각일 것이다. 이는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신물질이나 현재의 검사방법으로 검출할 수 없는 성분에 대한 제재방법으로 대상자의 혈액을 장기적으로 보관하고 있는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태권도에서의 도핑 안전성은 완전하다고 할 수 없으며, 그 유혹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다섯째. 도핑은 범죄이며, 자신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음을 각인시킨다. 선수들은 보통 약물이나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만이 도핑에 해당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도핑은 금지약물과 금지행위 뿐만 아니라, 도핑테스트를 방해하거나 위협, 회피하는 것 역시 도핑위반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이 역시 올바른 도핑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비롯된 결과라 사료된다.
여섯째, 도핑에 의한 승리는 정당하지 않으며, 도핑 적발 시 선수자격을 영구적으로 잃을 수 있고 가장 큰 피해자는 선수자신이며, 인생에 있어 큰 오점을 남김을 명심해야한다.
주요어 : 태권도, 도핑, 태권도 경기, 반-도핑, 태권도 선수, 스포츠 윤리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의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인 도핑에 대한 윤리적 제문제들을 알아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도핑 청정종목으로 평가되는 태권도 경기의 구성원이자 도핑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 선수, 지도자, 학부모, 도핑검사관, 의사의 도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도핑 청정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도핑방지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들은 대부분 운동보조제 등을 섭취하고 있다. 그 종류는 한약, 동물식품, 종합비타민제, 단백질 파우더 등이며 선수들은 각자의 기호에 맞는 건강보조제를 선택하고 있었다. 그 경로는 학무모를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학부모는 보통 몸에 좋다는 것들을 주변에서 추천 받아 선수에게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태권도 선수들은 건강보조제나 약물을 한번쯤은 권유 받은 적이 있으며 실제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 이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선수들이 약품이나 건강보조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핑은 선수 혼자의 책임이 아니라 지도자와 부모의 역할도 매우 크며 그 책임 역시 함께해야 할 것이다. 도핑청정 종목인 태권도의 위상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관련단체, 선수, 지도자, 학부모가 선수들의 도핑방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선수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운동보조제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도핑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합법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도핑에 걸리는 제재는 불법이며, 그 밖에 제재는 합법이라는 인식이 과연 옳을까? 물론 현재로선 옳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이분법적 사고는 인간의 신체에 인위적인 어떠한 행위를 해도 도핑에 걸리지만 않는다면 용인되며, 비도덕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현재는 아니지만 미래에는 도핑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들이 우리 주위에는 엄청나게 산재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넷째, 반도핑 윤리의식의 제고가 시급하다. 광의의 개념으로 스포츠 윤리적인 측면에서, 혹은 스포츠맨십에 의한 공정성의 정의와 더불어 KADA에서의 도핑에 정의는 "운동경기에서 성적을 향상시킬 목적"의 훈련이나 자연적인 방법이 아닌 인위적인 방법은 모두 도핑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현재 금지약물이나 방법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해서 도핑이 아니라는 것은 잘못된 생각일 것이다. 이는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신물질이나 현재의 검사방법으로 검출할 수 없는 성분에 대한 제재방법으로 대상자의 혈액을 장기적으로 보관하고 있는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태권도에서의 도핑 안전성은 완전하다고 할 수 없으며, 그 유혹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다섯째. 도핑은 범죄이며, 자신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음을 각인시킨다. 선수들은 보통 약물이나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만이 도핑에 해당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도핑은 금지약물과 금지행위 뿐만 아니라, 도핑테스트를 방해하거나 위협, 회피하는 것 역시 도핑위반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이 역시 올바른 도핑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비롯된 결과라 사료된다.
여섯째, 도핑에 의한 승리는 정당하지 않으며, 도핑 적발 시 선수자격을 영구적으로 잃을 수 있고 가장 큰 피해자는 선수자신이며, 인생에 있어 큰 오점을 남김을 명심해야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ethical problems about the potential doping that can happen in Taekwondo competition and to propose solutions; in other words, the objectives are a) to learn how doping is understood by athlete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doping as participants of the competition, coaches...
This study is to find out ethical problems about the potential doping that can happen in Taekwondo competition and to propose solutions; in other words, the objectives are a) to learn how doping is understood by athlete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doping as participants of the competition, coaches, parents, doping investigators and doctors, and b) to explore the preventive measures in order to protectTaekwondo’s prestige as a clean sport. The conclusions are as below:
First, most Taekwondo athletes were taking sports supplements such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imal-sourced foods, multi-vitamins and protein powder, choosing them as they fit the athlete’s taste. The supplements were mostly sourced by the athletes’ parents, who would receive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and bring them to their children.
Second, Taekwondo players have been introduced to health supplement or drug at least once and have actually used it. The finding shows that the athletes have an easy access to drugs or health supplements through various routes. Doping is not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athlete, but the coach and parents have a big role to play and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ogether. In order to protect the honor of being the clean sport, Taekwondo organizations, players, coaches and parents should work hard to prevent the players from committing doping.
Third, the athletes showed a preference to the sports supplement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believing that they were irrelevant to doping and thus legal. Are they correct to think that the substances that would fail a doping test are illegal to use and that the rest substances are allowed to use? The dichotomous thinking is initiated by a thought that any act artificially performed to the body can be tolerated as long as it passes a doping test and is not immoral. We must keep in mind that there are loads of substances around us that are not considered doping now but can be in the future.
Fourth, it is imperative that ethics for anti-doping be reinforced. In a broad sense of sport ethics or sportsmanship for fairness, the Korea Anti-Doping Agency defines that, as opposite to natural methods such as training, all artificial methods that are employed for purposes of “enhancing performance in a competition” shall be deemed as doping. It would be wrong to assume that a substance or a method that is not classified as “prohibited” is not considered doping. The World Anti-Doping Agency stores the blood sample of a subject for a long term as a way to potentially sanction new substances or substances that cannot be detected by the current methods. This means the integrity of Taekwondo as a doping-free sport is not complete and there are temptations lurking around all the time.
Fifth, we should raise awareness that doping is an act of crime and can be life-threatening. Athletes often believe that using drugs or supplements only fall into the doping category. They are not aware that doping violations include not only using prohibited drugs and performing prohibited acts but also acts of interrupting, threatening or avoiding doping test. Such misbelief seems to be a result of failure to provide proper trainings for anti-doping.
Lastly, athletes should bear in mind that victory assisted by doping is not a fair one and that if tested positive, the athlete might permanently lose the right to play professionally and will be the biggest victim leaving a stigma for life.
※Key words : Taekwondo, Taekwondo match, Anti-Doping, Taekwondo players, Sport ethics
This study is to find out ethical problems about the potential doping that can happen in Taekwondo competition and to propose solutions; in other words, the objectives are a) to learn how doping is understood by athlete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doping as participants of the competition, coaches, parents, doping investigators and doctors, and b) to explore the preventive measures in order to protectTaekwondo’s prestige as a clean sport. The conclusions are as below:
First, most Taekwondo athletes were taking sports supplements such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imal-sourced foods, multi-vitamins and protein powder, choosing them as they fit the athlete’s taste. The supplements were mostly sourced by the athletes’ parents, who would receive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and bring them to their children.
Second, Taekwondo players have been introduced to health supplement or drug at least once and have actually used it. The finding shows that the athletes have an easy access to drugs or health supplements through various routes. Doping is not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athlete, but the coach and parents have a big role to play and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ogether. In order to protect the honor of being the clean sport, Taekwondo organizations, players, coaches and parents should work hard to prevent the players from committing doping.
Third, the athletes showed a preference to the sports supplement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believing that they were irrelevant to doping and thus legal. Are they correct to think that the substances that would fail a doping test are illegal to use and that the rest substances are allowed to use? The dichotomous thinking is initiated by a thought that any act artificially performed to the body can be tolerated as long as it passes a doping test and is not immoral. We must keep in mind that there are loads of substances around us that are not considered doping now but can be in the future.
Fourth, it is imperative that ethics for anti-doping be reinforced. In a broad sense of sport ethics or sportsmanship for fairness, the Korea Anti-Doping Agency defines that, as opposite to natural methods such as training, all artificial methods that are employed for purposes of “enhancing performance in a competition” shall be deemed as doping. It would be wrong to assume that a substance or a method that is not classified as “prohibited” is not considered doping. The World Anti-Doping Agency stores the blood sample of a subject for a long term as a way to potentially sanction new substances or substances that cannot be detected by the current methods. This means the integrity of Taekwondo as a doping-free sport is not complete and there are temptations lurking around all the time.
Fifth, we should raise awareness that doping is an act of crime and can be life-threatening. Athletes often believe that using drugs or supplements only fall into the doping category. They are not aware that doping violations include not only using prohibited drugs and performing prohibited acts but also acts of interrupting, threatening or avoiding doping test. Such misbelief seems to be a result of failure to provide proper trainings for anti-doping.
Lastly, athletes should bear in mind that victory assisted by doping is not a fair one and that if tested positive, the athlete might permanently lose the right to play professionally and will be the biggest victim leaving a stigma for life.
※Key words : Taekwondo, Taekwondo match, Anti-Doping, Taekwondo players, Sport ethic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