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京房易의 구성체계와 응용에 관한 연구 : 六爻學 이론 근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ng system & it's : Focusing on the reason of Li?y?o Theory 원문보기


이기선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문화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漢代 象數易學중에서도 京房易의 주요 이론의 構成體系와, 후대에 그 이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實際的 應用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경방은 漢代 초기 상수역을 대표하는 인물로 『周易』에 오행설을 도입하여 이것에서 파생되는 상생과 상극의 이론으로 괘효를 해석하는 방법을 창안해 낸 사람이다. 그리고 그는 맹희와 초연수에 의해 시작된 상수역을 이론적으로 체계를 세우고 발전시켜 세상에 널리 행해지도록 하였다.
경방역은『주역』에 대한 상수학적 측면에서 독창적 견해가 가장 많고, 또한 현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전해지고 있다. 특히 경방이 『주역』을 해석하고자 창의적으로 개발한 팔궁괘설, 세응설, 납갑설, 육친설, 음양이기설 등은 현대의 ‘六爻學’에 도 대부분 그대로 전달되어 오늘날까지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오늘날 『周易』의 상수적 기능을 변용하여 계승한 학문이 바로 六爻學이다. 六爻學이란 말 그대로 여섯 개의 효, 즉 내괘의 3효와 외괘의 3효를 합한 것을 가지고 내담자가 묻고자하는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학문이다. 이 六爻學은 오늘날 역술가들이 명리학과 더불어 가장 애용하고 있는 점서방법으로 통용되고 있다.
육효학의 始原이라고 할 수 있는 경방역이 태동하게 된 배경으로는 漢代 초기 정치적으로 黃老學과 災異術數사상이 발달한 것과, 학문적으로 천문과 역법이 발달하고 상수학이 발달한 것에서 연유를 찾을 수 있다. 漢은 건국 초기에 국가의 통일과 내부 정비를 위해 사상에 대한 불간섭주의를 표방했다. 이러한 황로사상은 백성들의 생활에도 안정을 주는 듯 했으나, 漢 景帝때 일어난 ‘七國의 난’을 계기로 황로사상은 군주권을 뒷받침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함을 절감하였다. 이 문제를 유가식 교육을 받은 武帝가 즉위하면서 사상적 통일의 불가피성을 재이와 천인감응 사상으로 해결하려 하였다. 다음으로 재이사상위에 천문과 역법이 비약적으로 발달하면서, 여기에 음양과 오행도 함께 발달하였다. 천문과 역법은 당시의 조류였던 재이사상을 해석하는 중요한 근간이 되었으며, 상수역이 발달하게 되는 배경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어진 상수역은 한대 역학사상을 주도하였는데, 이것은 재이술수 사상의 발달 위에 천문역법이 더해진 결과로 설명된다.
이러한 배경위에 만들어진 경방역의 주요 이론을 그의 저서『京氏易傳』을 근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팔궁괘설을 전개하였다. 경방은 64괘를 8궁으로 정리한 후 그 차례를 乾 · 震 · 坎 · 艮 · 坤 · 巽 · 離 · 兌로 배열하였다. 그 후 음양의 消息에 의해 먼저 純卦를 중심으로 한 효씩 변화시켜 나갔으며, 배열순서는 一世 · 二世 · 三世 · 四世 · 五世 · 遊魂 · 歸魂의 차례로 배치하였다. 또한 팔궁에 근거한 世應說을 도입하였다. 경방은 역의 변화를 오행으로 분별한 후, 괘의 주인이 되는 것을 世라고 하고, 세효와 상응하는 것을 應이라 하였다. 이 세응설은 팔궁괘설을 기반으로 하면서, 점을 치는데 아주 요긴하게 쓰인다. 이러한 세응은 점술상에서 점술주체와 그 대상인 객체와의 명확한 관계를 제시하기 위해 설정된 하나의 방편이다.
둘째, 괘를 얻은 후 각 효에 오행을 붙이는 ‘納甲’과 ‘納支’를 만들었다. 특히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composing system of major theory of Jīngfáng's I-Ching theory, one of the Sangsu I-Ching theories flourished in Han Dynasty and how it was used in the later generations.
Jīngfáng was one of most prominent members of early Sangsu I-Ching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기선
학위수여기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한국문화학과
지도교수 유성태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p1200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17580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