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오늘날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1년에서 2015년까지의 국내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생산 수의 연도별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분야별 분포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대상 성․연령․집단 구성원 수별 분포는 어떠한가? 다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자료 선정 기준별 분포는 어떠한가? 여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목적별 분포와 연구 목적별 이용 자료 중 빈번하게 사용된 자료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본 연구는 오늘날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1년에서 2015년까지의 국내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생산 수의 연도별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분야별 분포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대상 성․연령․집단 구성원 수별 분포는 어떠한가? 다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자료 선정 기준별 분포는 어떠한가? 여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목적별 분포와 연구 목적별 이용 자료 중 빈번하게 사용된 자료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소장된 데이터 중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96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25편의 학술지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는 총 121편이었다. 그 중, 석사 학위논문은 93편, 박사 학위논문은 3편, 학술지 논문은 25편이었다. 둘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분야별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상담․심리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 논문이 생산되었다. 셋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유형으로 분석해보면 발달․예방적 독서치료가 임상․치료적 독서치료보다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의 성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는 혼성이 가장 많은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경우가 많았고, 학년별로 세분화해보았을 때 중학교 2학년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집단 구성원 수는 1~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연구자들이 자료를 선정할 때 가장 기준으로 많이 삼는 대상은 다양한 기관이나 학회 등에서 제시한 선정 도서 목록이었다. 여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목적으로 분석해보았을 때, 대부분의 연구는 정의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다. 정의적 측면 중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 목적은 자아존중감이었고, 사회문화적 측면 중 가장 많이 선정된 연구 목적은 학교생활이었으며 각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된 5권을 연구 목적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특성을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1년에서 2015년까지의 국내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생산 수의 연도별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분야별 분포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유형별 분포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대상 성․연령․집단 구성원 수별 분포는 어떠한가? 다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자료 선정 기준별 분포는 어떠한가? 여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 목적별 분포와 연구 목적별 이용 자료 중 빈번하게 사용된 자료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소장된 데이터 중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된 96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25편의 학술지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는 총 121편이었다. 그 중, 석사 학위논문은 93편, 박사 학위논문은 3편, 학술지 논문은 25편이었다. 둘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분야별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상담․심리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 논문이 생산되었다. 셋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유형으로 분석해보면 발달․예방적 독서치료가 임상․치료적 독서치료보다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의 성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는 혼성이 가장 많은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경우가 많았고, 학년별로 세분화해보았을 때 중학교 2학년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집단 구성원 수는 1~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연구자들이 자료를 선정할 때 가장 기준으로 많이 삼는 대상은 다양한 기관이나 학회 등에서 제시한 선정 도서 목록이었다. 여섯째, 청소년 독서치료 프로그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목적으로 분석해보았을 때, 대부분의 연구는 정의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다. 정의적 측면 중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 목적은 자아존중감이었고, 사회문화적 측면 중 가장 많이 선정된 연구 목적은 학교생활이었으며 각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된 5권을 연구 목적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특성을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bibliotherapy for adolescent and analyzing trends of domestic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m from 2001 to 2015. Following questions are set for studying these objects; First, how many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 papers in reference to...
This research focuses 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bibliotherapy for adolescent and analyzing trends of domestic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m from 2001 to 2015. Following questions are set for studying these objects; First, how many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 papers in reference to adolescent bibliotherapy have been written and are distributed by each year? Second, how the theses and papers are distributed by the aspect of research section? Third, how the theses and papers are spread by its research type? Fourth, how researchers of adolescent bibliotherapy compose subject group by gender, age and the number of group? Fifth, what standard for selecting data mainly influences on the theses and papers? Last, what is the main subject of the theses and papers and what data fit to researcher's intend have been used frequently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I select 96 theses and 25 academic papers considering adolescent bibliotherapy for analyzing 6 presented questions and the data of 121 researches are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mentioned, there are 121 research papers written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from 2001 to 2015. Among them, the masters theses accounts for 93. The number of journal papers occupies most of the rest, 25, and only 3 are the doctoral theses. Second, researchers who carry on counseling for youth and psychology research part mainly have written most of the papers as investigating classified research section. Third, research on developmental bibliotherapy theme tends to be studied more than another part of it, clinical bibliotherapy. Fourth, classifying result into gender participation, the mixed are main target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 and practically they make up of majority of the investigated. In point of view of result distributed by ag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elected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especially 2nd grader of middle school. The majority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s set the number of subject group from 1 to 10 for study. Fifth, the reading list presented by youth institution and academy has been the main standard when researchers choose adequate and usable data for adolescent bibliotherapy study. Sixth, analyzing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s into its purpose,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the aspect of "Affective component". Above all, "Self-esteem" takes the biggest share of study for "Affective component". In point of view of social culture aspect, this area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rs mostly select theme of "School life". Both affective component researchers and social culture researchers select 5 books each according with their intention for achieving their aim.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looking into bibliotherapy research trends for adolescent and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bibliotherapy clear.
This research focuses 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bibliotherapy for adolescent and analyzing trends of domestic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m from 2001 to 2015. Following questions are set for studying these objects; First, how many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 papers in reference to adolescent bibliotherapy have been written and are distributed by each year? Second, how the theses and papers are distributed by the aspect of research section? Third, how the theses and papers are spread by its research type? Fourth, how researchers of adolescent bibliotherapy compose subject group by gender, age and the number of group? Fifth, what standard for selecting data mainly influences on the theses and papers? Last, what is the main subject of the theses and papers and what data fit to researcher's intend have been used frequently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I select 96 theses and 25 academic papers considering adolescent bibliotherapy for analyzing 6 presented questions and the data of 121 researches are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mentioned, there are 121 research papers written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from 2001 to 2015. Among them, the masters theses accounts for 93. The number of journal papers occupies most of the rest, 25, and only 3 are the doctoral theses. Second, researchers who carry on counseling for youth and psychology research part mainly have written most of the papers as investigating classified research section. Third, research on developmental bibliotherapy theme tends to be studied more than another part of it, clinical bibliotherapy. Fourth, classifying result into gender participation, the mixed are main target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 and practically they make up of majority of the investigated. In point of view of result distributed by ag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elected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for studying adolescent bibliotherapy, especially 2nd grader of middle school. The majority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s set the number of subject group from 1 to 10 for study. Fifth, the reading list presented by youth institution and academy has been the main standard when researchers choose adequate and usable data for adolescent bibliotherapy study. Sixth, analyzing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s into its purpose,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the aspect of "Affective component". Above all, "Self-esteem" takes the biggest share of study for "Affective component". In point of view of social culture aspect, this area of adolescent bibliotherapy researchers mostly select theme of "School life". Both affective component researchers and social culture researchers select 5 books each according with their intention for achieving their aim.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looking into bibliotherapy research trends for adolescent and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bibliotherapy clea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