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는 성적 중심, 입시 위주의 획일적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속에서 등장한 학교모형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을 학생 중심으로 개편하고 위계적 학교 문화를 개선해 배움이 살아있는 학교를 만들고자 한다. 교원・학생・학부모가 참여하고 소통하는 민주적 자치공동체, 교사의 전문성과 협력을 강조하는 학습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며 2009년 경기도에서 처음 도입되어 2016년 6월 현재 14개 시・도 교육청 930개 초・중・고등학교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가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
혁신학교는 성적 중심, 입시 위주의 획일적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속에서 등장한 학교모형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을 학생 중심으로 개편하고 위계적 학교 문화를 개선해 배움이 살아있는 학교를 만들고자 한다. 교원・학생・학부모가 참여하고 소통하는 민주적 자치공동체, 교사의 전문성과 협력을 강조하는 학습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며 2009년 경기도에서 처음 도입되어 2016년 6월 현재 14개 시・도 교육청 930개 초・중・고등학교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가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 실증적인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경기도교육종단연구(GEPS)의 1차, 2차년도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 중학교와 혁신 중학교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혁신학교의 교육격차 완화 효과를 탐색하였다. 학교-학생이라는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반영하고 학생 및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다층선형모형(HLM)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2014년 경기도 혁신 중학교 19개교와 일반 중학교 44개교의 2학년 학생 3,232명(학업성취도)과 3,475명(학교만족도)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와 달리 혁신학교의 교육격차 완화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반면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고 개방적・수평적인 학교 풍토, 민주적인 학교운영 방식, 학생 중심 수업이 혁신학교의 정적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간의 우려와 달리 혁신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반드시 일반학교보다 낮은 것은 아니며 혁신학교가 당초 목표했던 대로 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제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혁신학교로 지정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혁신학교다운 모습을 갖추는 것, 즉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와 학교 운영 원리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당연한 사실을 재확인 시켜준다. 혁신학교의 성과를 보다 총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부분이 남아있지만 주요 관심사인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있어 혁신 중학교가 어떠한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입증했다는 점,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혁신학교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혁신학교는 성적 중심, 입시 위주의 획일적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속에서 등장한 학교모형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을 학생 중심으로 개편하고 위계적 학교 문화를 개선해 배움이 살아있는 학교를 만들고자 한다. 교원・학생・학부모가 참여하고 소통하는 민주적 자치공동체, 교사의 전문성과 협력을 강조하는 학습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며 2009년 경기도에서 처음 도입되어 2016년 6월 현재 14개 시・도 교육청 930개 초・중・고등학교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가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 실증적인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경기도교육종단연구(GEPS)의 1차, 2차년도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 중학교와 혁신 중학교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혁신학교의 교육격차 완화 효과를 탐색하였다. 학교-학생이라는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반영하고 학생 및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다층선형모형(HLM)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2014년 경기도 혁신 중학교 19개교와 일반 중학교 44개교의 2학년 학생 3,232명(학업성취도)과 3,475명(학교만족도)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와 달리 혁신학교의 교육격차 완화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반면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고 개방적・수평적인 학교 풍토, 민주적인 학교운영 방식, 학생 중심 수업이 혁신학교의 정적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간의 우려와 달리 혁신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반드시 일반학교보다 낮은 것은 아니며 혁신학교가 당초 목표했던 대로 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제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혁신학교로 지정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혁신학교다운 모습을 갖추는 것, 즉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와 학교 운영 원리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당연한 사실을 재확인 시켜준다. 혁신학교의 성과를 보다 총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부분이 남아있지만 주요 관심사인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있어 혁신 중학교가 어떠한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입증했다는 점,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혁신학교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
Innovative school was first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2009, growing into 930 Innovative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pite the overwhelming support of Innovative schools among progressive superintendents and increasing interest by parents, the information on Innovative sch...
Innovative school was first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2009, growing into 930 Innovative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pite the overwhelming support of Innovative schools among progressive superintendents and increasing interest by parents, the information on Innovative school effectiveness remains mostly based on anecdotal evidence. Although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empirical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schools and traditional, non-Innovative(Normal) schools, it not only sticks to examining superficial differences using simple t-test, but also fail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sector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schools at secondary level.
With this background knowledge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ttending Innovative middle school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data on 4,051 students and 691 teachers of 63 middle schools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of 2014.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was used to examine the sector differences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Normal schools, controlling for individual- and school-level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Innovative school mean achievement score and that of Normal school. It also found that Innovative schools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across various socioeconomic status(SES). Lastly, the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Innovative schools than in Normal schools. Especially, high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is reduced to their open school climate, student-centered approach, and democratic school practices such as student involvement in school decision making.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novative school policies, but also for school improvement. First, this study provides solid statistical evidence for the claimed Innovative school effect, which might help assuage the fear of lower achievement for students attending Innovative schools. It also sheds light on the organizational design of successful Innovative schools; school climate, decision-making structure, teaching/learning practi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Innovative schools. Last but not least, the finding that Innovative school promotes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bea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raising the quality of the current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Since its rapid expansion in 1990s, South Korean school system has largely been centered on mastering academic subjects, creating a vicious circle of severe competition and growth of shadow education. In that sense,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Innovative schools that assert schools should teach students how to interact effectively with other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o self-regulate their learning, signals that maybe it is time to raise the long-forgotten question of what ‘effective schools’ look like.
Innovative school was first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2009, growing into 930 Innovative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Despite the overwhelming support of Innovative schools among progressive superintendents and increasing interest by parents, the information on Innovative school effectiveness remains mostly based on anecdotal evidence. Although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empirical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schools and traditional, non-Innovative(Normal) schools, it not only sticks to examining superficial differences using simple t-test, but also fail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sector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schools at secondary level.
With this background knowledge in mi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ttending Innovative middle school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data on 4,051 students and 691 teachers of 63 middle schools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of 2014.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was used to examine the sector differences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Normal schools, controlling for individual- and school-level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Innovative school mean achievement score and that of Normal school. It also found that Innovative schools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an equitabl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across various socioeconomic status(SES). Lastly, the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Innovative schools than in Normal schools. Especially, high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is reduced to their open school climate, student-centered approach, and democratic school practices such as student involvement in school decision making.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not only Innovative school policies, but also for school improvement. First, this study provides solid statistical evidence for the claimed Innovative school effect, which might help assuage the fear of lower achievement for students attending Innovative schools. It also sheds light on the organizational design of successful Innovative schools; school climate, decision-making structure, teaching/learning practi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Innovative schools. Last but not least, the finding that Innovative school promotes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bea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raising the quality of the current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Since its rapid expansion in 1990s, South Korean school system has largely been centered on mastering academic subjects, creating a vicious circle of severe competition and growth of shadow education. In that sense,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Innovative schools that assert schools should teach students how to interact effectively with other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o self-regulate their learning, signals that maybe it is time to raise the long-forgotten question of what ‘effective schools’ look like.
Keyword
#혁신학교 학업성취도 학교만족도 학교교육 내실화 위계선형모형(HL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