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GI 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협동학습과 GI 모형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GI 모형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역사뉴스 제작 활동을 제안하여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GI 모형과 그 절차를 제시하였다. 하위 주제별 탐구를 통해 학급 전체의 학습을 추구하는 GI 모형을 활용할 박물관으로는 한국인의 일생을 주제로 하는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을 선정하였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물 현황과 주요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물을 협동적으로 감상하기 위한 관점을 제시하고,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
본 연구는 GI 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협동학습과 GI 모형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GI 모형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역사뉴스 제작 활동을 제안하여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GI 모형과 그 절차를 제시하였다. 하위 주제별 탐구를 통해 학급 전체의 학습을 추구하는 GI 모형을 활용할 박물관으로는 한국인의 일생을 주제로 하는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을 선정하였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물 현황과 주요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물을 협동적으로 감상하기 위한 관점을 제시하고,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마인드맵을 분석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이 담긴 사전학습 활동지와 현장학습 활동지, 학습결과물인 역사뉴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와 문장완성 검사 및 교사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전체로 볼 때, 학습자가 사전에 작성한 마인드맵의 개념 개수와 점수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 마인드맵의 개념 개수와 점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전시물과 관련된 개념과 자신이 속한 모둠에서 탐구한 주제의 개념, 역사뉴스에서 다루었던 개념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전시물을 통해 탐구 주제를 이해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협동적 상호작용이 바탕이 된 탐구 활동을 더욱 잘 기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모둠별 감상활동을 통해 전시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사용, 디자인, 의미, 비교 관점에 따라 전시물을 감상하고 이를 공유한 모둠별 감상 활동지는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셋째, 결과물로 제작한 역사뉴스에는 다양한 전시물 사진과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학습자는 역사적 상황을 설정하여 전시물과 당시 사람들의 관계, 사회적 배경이 드러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전시물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당시 사람들에 대해 추체험적으로 접근하여 감상을 내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박물관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확인하였다. 자기평가와 성찰일지에서 학습자는 박물관에서 모둠별 활동이 전시물을 감상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고,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모둠활동과 역사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기대감, 즐거움, 흥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내적 동기로 작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박물관의 전시와 학습자에 맞게 구조화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은 전시 이해와 박물관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기계적인 협동이나 활동을 요구하는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자율적 참여와 상호작용이 아닌 단순한 모둠 간 경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자율적인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GI 모형과 역사뉴스를 연계한 프로그램을 제안한 것과 같이 대상 박물관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과 활동을 결합한 다양한 박물관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GI 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협동학습과 GI 모형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GI 모형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역사뉴스 제작 활동을 제안하여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GI 모형과 그 절차를 제시하였다. 하위 주제별 탐구를 통해 학급 전체의 학습을 추구하는 GI 모형을 활용할 박물관으로는 한국인의 일생을 주제로 하는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을 선정하였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물 현황과 주요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물을 협동적으로 감상하기 위한 관점을 제시하고,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마인드맵을 분석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이 담긴 사전학습 활동지와 현장학습 활동지, 학습결과물인 역사뉴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와 문장완성 검사 및 교사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전체로 볼 때, 학습자가 사전에 작성한 마인드맵의 개념 개수와 점수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 마인드맵의 개념 개수와 점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전시물과 관련된 개념과 자신이 속한 모둠에서 탐구한 주제의 개념, 역사뉴스에서 다루었던 개념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전시물을 통해 탐구 주제를 이해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협동적 상호작용이 바탕이 된 탐구 활동을 더욱 잘 기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모둠별 감상활동을 통해 전시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사용, 디자인, 의미, 비교 관점에 따라 전시물을 감상하고 이를 공유한 모둠별 감상 활동지는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셋째, 결과물로 제작한 역사뉴스에는 다양한 전시물 사진과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학습자는 역사적 상황을 설정하여 전시물과 당시 사람들의 관계, 사회적 배경이 드러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전시물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당시 사람들에 대해 추체험적으로 접근하여 감상을 내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박물관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확인하였다. 자기평가와 성찰일지에서 학습자는 박물관에서 모둠별 활동이 전시물을 감상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고,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모둠활동과 역사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기대감, 즐거움, 흥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내적 동기로 작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박물관의 전시와 학습자에 맞게 구조화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은 전시 이해와 박물관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기계적인 협동이나 활동을 요구하는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자율적 참여와 상호작용이 아닌 단순한 모둠 간 경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자율적인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GI 모형과 역사뉴스를 연계한 프로그램을 제안한 것과 같이 대상 박물관에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과 활동을 결합한 다양한 박물관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