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세종특별자치시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주체에 따른 배치 및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공간구성의 특성 Spacial Distinction and Site Planning of Newly-established Schools in Sejong City by Educational Curriculum and Administrative Clients원문보기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started in 2007 with the aim of resolving the overpopul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by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ence. It is supposed to be completed by 2030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with a population of 500,000 people. As of Jan. 2015, its population was over 160,000 people.
Since beginning to move people to the first new apartment in December 2011, Sejong City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construct 150 new schools in the city (with 66 kindergartens, 41 elementary schools, 21 ...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started in 2007 with the aim of resolving the overpopul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by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ence. It is supposed to be completed by 2030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with a population of 500,000 people. As of Jan. 2015, its population was over 160,000 people.
Since beginning to move people to the first new apartment in December 2011, Sejong City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construct 150 new schools in the city (with 66 kindergartens, 41 elementary schools, 21 middle schools, 20 high schools, and 2 special schools). Until 2015, 59 schools have opened (22 kindergartens, 17 elementary schools, 9 middle schools, 8 high schools and 2 special schools).
The MACC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gency) had control over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in Sejong City until July 1, 2012, when Sejong City and its Office of Education was founded and took over the task of controlling the educational facilities from MACC.
Afterwards, through the public offering of designs, participation of BTL, and a study of basic plann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facility experts, creative planning concepts were actively tested and adopted to school architecture using various methods.
However, since 2012 when the new schools were beginning to be constructed, there was the introduction of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o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Meanwhile beginning 2016 a new educational policy and courses call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 has been introduced and is being tested in middle schools with the purpose of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find their own dreams and talents. Therefore,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how spatial organization in school architecture takes into account these kinds of new educational courses in its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layout of the newly constru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jong City which underwent both changes in quality and quantity at the same time has changed as depending on the change of clients and its ordering method. This will also focus on the concept and features of spatial organization in the new schools as a response to the new educational courses in addition to looking at how the schools have actively responded to the new educational courses such as the free term syste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eatures of spatial planning as depending on the changes of the client and ordering method
① MACC (Schematic Design + Working Drawing)
Under this system, the NAACC conducted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public offerings and BTL, but as far as the layout plan was concerned, the “ㄷ” type layout method was predominantly preferred as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5 schools out of 8 prefer this type of layout.
The preference of this layout method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n this layout the main classrooms are placed towards the south with special classes, study support space, and community space being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chool, thereby making the line of student traffic short and effective. However the dis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that it is too simple and also ignor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② MACC(Schematic Design) + Office of Education(Working Drawing)
Unlike the “ㄷ” shaped layout system predominant in the design ordered by the NAACC, this system showed various types of layouts. By dealing with the mass of the structures in the form of a curve, circle, and ellipse, variety of changes were attempted. That being said this system is a target of disputes due to the problems of a high construction cost, lack of time for construction, and the inefficient organization of space.
③ Office of Education (Schematic Design + Working Drawing)
To correct the problem of using excessive curves in school design by “MACC + Office of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has again adopted the “ㄷ”, and “modified ㄷ” shapes.
2)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① The general classroom is a place where the students receive their lessons and education. It is also the space for their life and is the center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For efficient teaching and education, a size of 1.8m2∼2.1m2 per student is most suitable. As for the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one classroom accommodates 25 students, which amounts to more than2.4m2 on average per student.
② The school has a net area of 56 ~ 57%, and 42~43% of the public area. A common area of more than 40% indicates that priority is placed on a hallway of 3m or wider for smooth student traffic, rest and play space, multi-purpose learning space, community and exchange space, and other specialized spaces for each school.
③ The space on the first floor which was usually taken up by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 school has become a space for the students, and creative spaces such as the library, art classroom, and music classes are being planned for the lower floors.
3)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s in Sejong City
① The spaces of those such as the practical subject classroom, open space, library, and atrium, etc. are allocated to the lower floo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job research activities, student selection program, club activities, and artistic and sports activities.
② The cafeteria and multi-purpose classroom are separated from the classroom building to allow direct access from outside.
③ The practical classrooms proper for artistic experiences such as the music classroom and the artistic classroom are placed on higher levels such as the 3rd floor or higher. Therefore the disadvantages are that it is hard for outside lecturers or local residents to access or use these classrooms, and that the classrooms are not separated from the learning space.
④ There is a need for the installation of a large and variable wall type space for the common study of 2 or more classes and common work, and a work station connected to the classrooms.
4)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in Sejong City
① For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classes there needs to be various kinds of classrooms. In addition, a complex space that facilitates life, talking, resting, conversation, studying, re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which has lockers and change rooms for the students is also needed.
② It is ideal if the home bas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line of the students. As an open space, it is best to connect it with other open spaces.
③ As the space for the servicing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specific subjects, the independent media space shall be planned in a way that allows it to be close to the subject classroom and teacher’s research room.
④ The media space shall be located in a way that allows the students free access for various activities during rest time and time after class.
⑤ In consideration of the migratory class system, the hallway shall have a width of at least 3.0m and it shall be designed in a way that connects it to various open spaces, such as the home base, media space, and resting space.
⑥ The hallway is not just traffic space but is also another place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meeting, play, and learning. It should be the most comfortable and healthy space.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는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 규모의 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2007년부터 단계별로 조성해 나가고 있으며, 세종시의 인구는 2015년 1월말 기준으로 16만 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2011년 12월 첫마을 1단계 아파트의 주민입주를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150개교(유치원 66, 초등학교 41, 중학교 21, 고등학교 20, 특수학교 2)를 설립하여야 하며, 2015년 현재 58개의 학교(유치원 22, 초등학교 17, 중학교 9, 고등학교 8, 특수학교 2)가 개교하였다.
세종시의 신축학교들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및 교육청이 출범하여 교육시설 업무가 이관되기까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에서 교육시설 설립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등 사업주체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후 설계공모 및 BTL(민간투자사업), 학교시설 전문가의 참여를 통한 기본계획 연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의적인 계획개념들을 학교건축에 적극적으로 시도하였고,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의 신설학교들이 설립되기 시작한 2012년 이후로 중·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가 도입되고 확산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한 학기 동안 자신의 꿈과 끼를 찾는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이 중학교 현장에 도입·시도되고 있어, 학교 건축의 공간 구성이 이러한 교육과정에 얼마나 대응해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시간에 질적 향상과 양적 팽창을 동시에 겪고 있는 세종시의 신설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주체 및 발주방시의 변화에 따른 배치계획의 특성 및 변화,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공간 구성의 개념 및 특성, 새로운 자유학기제 등 교육과정의 변화에 세종시 학교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업주체 및 발주방식의 변화에 따른 배치계획의 특성
① 건설청 (기본계획 + 실시설계) : 설계공모 / BTL
건설청에서 설계공모 및 BTL을 통하여 건축계획을 진행하였으나 배치계획에서는 학교시설에서 공간구성에 가장 무리가 없는 ‘ㄷ’자형의 배치를 조사대상 8개학교중 5개 학교가 적용할 정도로 선호하고 있다.
이는 주요 교실을 남측으로 배치하고 중심부에 특별교실 및 학습 지원공간, 커뮤니티 공간을 배치하여 학생들의 이동 동선을 짧고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장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자칫 단조롭고, 각 학교의 특성이 무시된 획일적인 배치로 전락할 수 있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② 건설청(기본계획) + 교육청(실시설계) : PQ입찰
‘건설청’에서 발주한 학교에서 주로 보이던 ‘ㄷ’자형의 배치에서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배치 유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건축물의 매스를 곡선 및 원형, 타원형 등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하여 공사비 및 공사기간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 발생과 내부공간의 비효율적 구성으로 인하여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③ 교육청(기본계획+실시설계) : PQ입찰
‘건설청+교육청’에서 과도한 곡선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청’에서 발주한 학교들은 다시 ㄷ자형 및 ㄷ자형에서 변형된 배치유형을 적용함으로서 이전 학교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2) 세종시 초등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일반교실은 학생들의 교수·학습의 장소이며, 동시에 생활공간으로서 학교의 모든 교육활동의 중심으로 효율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위하여 학생1인당 1.8m2∼2.1m2의 면적확보가 적정하며, 세종시의 초등학교는 1학급당 학생 수를 25명, 학생1인당 면적을 평균적으로 2.4m2이상으로 확보하고 있다.
② 순면적 56∼57%, 공용면적 42∼43%의 공통된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공용면적의 비율이 40%이상인 것은 학생들의 원활한 이동을 고려하여 최소 3m이상의 복도, 휴게 및 놀이공간, 다목적 학습공간, 커뮤니티 및 교류공간 등과 각 학교별 특성 등을 반영한 특화 공간이 조성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③ 학교를 유지·관리하는 기능의 행정·관리 공간 등이 차지하고 있던 1층이 점차 학생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되어, 도서실, 미술실 및 음악실 등 창의·체험공간이 저층부에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세종시 중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진로탐색활동, 학생선택프로그램 및 동아리활동, 예술·체육 활동에 대응가능 하도록 실습교과교실 및 오픈스페이스, 도서실, 아트리움 등의 공간이 저층부에 주로 배치되었다.
② 식당 및 다목적교실은 교사동과 분리되어 외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③ 2개 학급 이상의 공동수업 및 공동 작업이 가능한 대공간 및 가변형 벽체의 설치, 교실과 연계한 워크스페이스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세종시 고등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교과교실제 수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교실 확보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거점공간으로서 생활, 친교, 휴게, 대화, 공부, 정보검색, 사물함, 탈의 기능 등을 갖춘 복합적인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② 홈베이스는 가급적 학생들의 이동동선을 고려하여 건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개방된 공간으로서 다른 오픈스페이스 공간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해당 교과의 학습자료 및 정보를 서비스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교과교실 및 교사연구실과 인접하여 독립적인 미디어스페이스를 계획하여야 한다.
④ 미디어스페이스는 쉬는 시간 및 방과 후 등 학생들이 자유롭게 접근 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배치가 필요하다.
⑤ 이동식 수업을 고려하여 복도의 폭을 최소 3m이상으로 확보하여야 하며, 홈베이스 및 미디어 스페이스, 휴게공간 등 다양한 오픈 스페이스와 연계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⑥ 더 이상 복도는 단순한 통행공간이 아니라, 또 다른 교육적 소통, 만남, 놀이, 학습 등의 장소이며, 가장 쾌적하고 건강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started in 2007 with the aim of resolving the overpopul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by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ence. It is supposed to be completed by 2030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with a population of 500,000 people. As of Jan. 2015, its population was over 160,000 people.
Since beginning to move people to the first new apartment in December 2011, Sejong City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construct 150 new schools in the city (with 66 kindergartens, 41 elementary schools, 21 middle schools, 20 high schools, and 2 special schools). Until 2015, 59 schools have opened (22 kindergartens, 17 elementary schools, 9 middle schools, 8 high schools and 2 special schools).
The MACC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gency) had control over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in Sejong City until July 1, 2012, when Sejong City and its Office of Education was founded and took over the task of controlling the educational facilities from MACC.
Afterwards, through the public offering of designs, participation of BTL, and a study of basic plann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facility experts, creative planning concepts were actively tested and adopted to school architecture using various methods.
However, since 2012 when the new schools were beginning to be constructed, there was the introduction of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o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Meanwhile beginning 2016 a new educational policy and courses call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 has been introduced and is being tested in middle schools with the purpose of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find their own dreams and talents. Therefore,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how spatial organization in school architecture takes into account these kinds of new educational courses in its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layout of the newly constru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jong City which underwent both changes in quality and quantity at the same time has changed as depending on the change of clients and its ordering method. This will also focus on the concept and features of spatial organization in the new schools as a response to the new educational courses in addition to looking at how the schools have actively responded to the new educational courses such as the free term syste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eatures of spatial planning as depending on the changes of the client and ordering method
① MACC (Schematic Design + Working Drawing)
Under this system, the NAACC conducted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public offerings and BTL, but as far as the layout plan was concerned, the “ㄷ” type layout method was predominantly preferred as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5 schools out of 8 prefer this type of layout.
The preference of this layout method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n this layout the main classrooms are placed towards the south with special classes, study support space, and community space being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chool, thereby making the line of student traffic short and effective. However the dis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that it is too simple and also ignor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② MACC(Schematic Design) + Office of Education(Working Drawing)
Unlike the “ㄷ” shaped layout system predominant in the design ordered by the NAACC, this system showed various types of layouts. By dealing with the mass of the structures in the form of a curve, circle, and ellipse, variety of changes were attempted. That being said this system is a target of disputes due to the problems of a high construction cost, lack of time for construction, and the inefficient organization of space.
③ Office of Education (Schematic Design + Working Drawing)
To correct the problem of using excessive curves in school design by “MACC + Office of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has again adopted the “ㄷ”, and “modified ㄷ” shapes.
2)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① The general classroom is a place where the students receive their lessons and education. It is also the space for their life and is the center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For efficient teaching and education, a size of 1.8m2∼2.1m2 per student is most suitable. As for the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one classroom accommodates 25 students, which amounts to more than2.4m2 on average per student.
② The school has a net area of 56 ~ 57%, and 42~43% of the public area. A common area of more than 40% indicates that priority is placed on a hallway of 3m or wider for smooth student traffic, rest and play space, multi-purpose learning space, community and exchange space, and other specialized spaces for each school.
③ The space on the first floor which was usually taken up by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 school has become a space for the students, and creative spaces such as the library, art classroom, and music classes are being planned for the lower floors.
3)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s in Sejong City
① The spaces of those such as the practical subject classroom, open space, library, and atrium, etc. are allocated to the lower floo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job research activities, student selection program, club activities, and artistic and sports activities.
② The cafeteria and multi-purpose classroom are separated from the classroom building to allow direct access from outside.
③ The practical classrooms proper for artistic experiences such as the music classroom and the artistic classroom are placed on higher levels such as the 3rd floor or higher. Therefore the disadvantages are that it is hard for outside lecturers or local residents to access or use these classrooms, and that the classrooms are not separated from the learning space.
④ There is a need for the installation of a large and variable wall type space for the common study of 2 or more classes and common work, and a work station connected to the classrooms.
4)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in Sejong City
① For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classes there needs to be various kinds of classrooms. In addition, a complex space that facilitates life, talking, resting, conversation, studying, re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which has lockers and change rooms for the students is also needed.
② It is ideal if the home bas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line of the students. As an open space, it is best to connect it with other open spaces.
③ As the space for the servicing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specific subjects, the independent media space shall be planned in a way that allows it to be close to the subject classroom and teacher’s research room.
④ The media space shall be located in a way that allows the students free access for various activities during rest time and time after class.
⑤ In consideration of the migratory class system, the hallway shall have a width of at least 3.0m and it shall be designed in a way that connects it to various open spaces, such as the home base, media space, and resting space.
⑥ The hallway is not just traffic space but is also another place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meeting, play, and learning. It should be the most comfortable and healthy space.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는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 규모의 신도시 건설을 목표로 2007년부터 단계별로 조성해 나가고 있으며, 세종시의 인구는 2015년 1월말 기준으로 16만 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2011년 12월 첫마을 1단계 아파트의 주민입주를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150개교(유치원 66, 초등학교 41, 중학교 21, 고등학교 20, 특수학교 2)를 설립하여야 하며, 2015년 현재 58개의 학교(유치원 22, 초등학교 17, 중학교 9, 고등학교 8, 특수학교 2)가 개교하였다.
세종시의 신축학교들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및 교육청이 출범하여 교육시설 업무가 이관되기까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에서 교육시설 설립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등 사업주체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후 설계공모 및 BTL(민간투자사업), 학교시설 전문가의 참여를 통한 기본계획 연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의적인 계획개념들을 학교건축에 적극적으로 시도하였고,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의 신설학교들이 설립되기 시작한 2012년 이후로 중·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가 도입되고 확산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한 학기 동안 자신의 꿈과 끼를 찾는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이 중학교 현장에 도입·시도되고 있어, 학교 건축의 공간 구성이 이러한 교육과정에 얼마나 대응해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시간에 질적 향상과 양적 팽창을 동시에 겪고 있는 세종시의 신설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주체 및 발주방시의 변화에 따른 배치계획의 특성 및 변화,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공간 구성의 개념 및 특성, 새로운 자유학기제 등 교육과정의 변화에 세종시 학교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업주체 및 발주방식의 변화에 따른 배치계획의 특성
① 건설청 (기본계획 + 실시설계) : 설계공모 / BTL
건설청에서 설계공모 및 BTL을 통하여 건축계획을 진행하였으나 배치계획에서는 학교시설에서 공간구성에 가장 무리가 없는 ‘ㄷ’자형의 배치를 조사대상 8개학교중 5개 학교가 적용할 정도로 선호하고 있다.
이는 주요 교실을 남측으로 배치하고 중심부에 특별교실 및 학습 지원공간, 커뮤니티 공간을 배치하여 학생들의 이동 동선을 짧고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장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자칫 단조롭고, 각 학교의 특성이 무시된 획일적인 배치로 전락할 수 있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② 건설청(기본계획) + 교육청(실시설계) : PQ입찰
‘건설청’에서 발주한 학교에서 주로 보이던 ‘ㄷ’자형의 배치에서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배치 유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건축물의 매스를 곡선 및 원형, 타원형 등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하여 공사비 및 공사기간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 발생과 내부공간의 비효율적 구성으로 인하여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③ 교육청(기본계획+실시설계) : PQ입찰
‘건설청+교육청’에서 과도한 곡선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청’에서 발주한 학교들은 다시 ㄷ자형 및 ㄷ자형에서 변형된 배치유형을 적용함으로서 이전 학교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2) 세종시 초등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일반교실은 학생들의 교수·학습의 장소이며, 동시에 생활공간으로서 학교의 모든 교육활동의 중심으로 효율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위하여 학생1인당 1.8m2∼2.1m2의 면적확보가 적정하며, 세종시의 초등학교는 1학급당 학생 수를 25명, 학생1인당 면적을 평균적으로 2.4m2이상으로 확보하고 있다.
② 순면적 56∼57%, 공용면적 42∼43%의 공통된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공용면적의 비율이 40%이상인 것은 학생들의 원활한 이동을 고려하여 최소 3m이상의 복도, 휴게 및 놀이공간, 다목적 학습공간, 커뮤니티 및 교류공간 등과 각 학교별 특성 등을 반영한 특화 공간이 조성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③ 학교를 유지·관리하는 기능의 행정·관리 공간 등이 차지하고 있던 1층이 점차 학생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되어, 도서실, 미술실 및 음악실 등 창의·체험공간이 저층부에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세종시 중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진로탐색활동, 학생선택프로그램 및 동아리활동, 예술·체육 활동에 대응가능 하도록 실습교과교실 및 오픈스페이스, 도서실, 아트리움 등의 공간이 저층부에 주로 배치되었다.
② 식당 및 다목적교실은 교사동과 분리되어 외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③ 2개 학급 이상의 공동수업 및 공동 작업이 가능한 대공간 및 가변형 벽체의 설치, 교실과 연계한 워크스페이스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세종시 고등학교 공간구성의 특성
① 교과교실제 수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교실 확보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거점공간으로서 생활, 친교, 휴게, 대화, 공부, 정보검색, 사물함, 탈의 기능 등을 갖춘 복합적인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② 홈베이스는 가급적 학생들의 이동동선을 고려하여 건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개방된 공간으로서 다른 오픈스페이스 공간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해당 교과의 학습자료 및 정보를 서비스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교과교실 및 교사연구실과 인접하여 독립적인 미디어스페이스를 계획하여야 한다.
④ 미디어스페이스는 쉬는 시간 및 방과 후 등 학생들이 자유롭게 접근 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배치가 필요하다.
⑤ 이동식 수업을 고려하여 복도의 폭을 최소 3m이상으로 확보하여야 하며, 홈베이스 및 미디어 스페이스, 휴게공간 등 다양한 오픈 스페이스와 연계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⑥ 더 이상 복도는 단순한 통행공간이 아니라, 또 다른 교육적 소통, 만남, 놀이, 학습 등의 장소이며, 가장 쾌적하고 건강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