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어떠한 개인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자살의 위기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주요 생존요인의 유형과 특성들을 탐색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는 어떠한 주관적 인식 유형들이 존재하는가, 둘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 대한 각 주관적 인식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자살위험 대학생의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관점의 인식을 중요시하며, 미리 정해 놓은 조작적 개념이 아닌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발견하는데 초점을 둔 연구방법인 ...
본 연구는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어떠한 개인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자살의 위기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주요 생존요인의 유형과 특성들을 탐색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는 어떠한 주관적 인식 유형들이 존재하는가, 둘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 대한 각 주관적 인식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자살위험 대학생의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관점의 인식을 중요시하며, 미리 정해 놓은 조작적 개념이 아닌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발견하는데 초점을 둔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7단계로 구성된 Q 방법론의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개별 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총 475개의 Q 모집단을 구축하였다. 2단계에서는 총 5차례의 진술문 구조화 및 선정 과정을 통하여 총 50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Q 표본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총 33명의 P 표본을 선정하였다. 5단계에서는 총 50개의 Q 표본을 11점 척도(-5 ~ +5)의 Q 분류 분포도에 의거 분류하였다. 6단계와 7단계에서는 QUANL Program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통해 유형을 형성하였으며, 각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특성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위험 대학생이 자살생각 및 행동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할 수 있었던 생존요인에 대하여 총 5개의 유형이 의미있는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유형 1은 ‘자존감 중시형’으로, 자살생각 및 행동의 위기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하는데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지지와 격려보다는 자신이 중요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자리매김 되어지는 것을 주요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2는 ‘미래 실현 중시형’으로, 자신이 바라고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고자 목표를 정하고 실현하는 것, 자신이 성취하거나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것을 기억하고 그것에서 의미를 찾는 것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3은 ‘적극적 대처 중시형’으로, 자살위험의 생존요인에 대해 어렵고 힘든 상황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의 모습으로 해결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4는 ‘관계 경험 중시형’으로, 자신과 관계되어 있는 사람들과의 사랑과 지지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기에, 주변 사람들에게 슬픔과 고통을 주고 싶지 않는 마음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5는 ‘삶의 경험 중시형’으로, 살아 있는 자체에 의미를 두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는 것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여기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자살위험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개인의 내적 경험에 대해 실증적이며 경험적인 방법으로 생존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자살위험 대학생들의 생존요인에 대한 생각과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자살의 위기에서 경험하는 살고자 하는 다양한 개인적 경험과 인식에 대해 유형화하여 명료하게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 구분을 통해 각 유형으로 나누어진 주요 특성들을 중심으로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의 자살을 선택하지 않는 중요 가치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자살위험 대학생의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화는 상담현장에서 상담자들이 자살위기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중요 가치 및 태도들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유형이 가지고 있는 독특성을 중심으로 생존요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어떠한 개인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자살의 위기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주요 생존요인의 유형과 특성들을 탐색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는 어떠한 주관적 인식 유형들이 존재하는가, 둘째, 자살위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존요인에 대한 각 주관적 인식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자살위험 대학생의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관점의 인식을 중요시하며, 미리 정해 놓은 조작적 개념이 아닌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발견하는데 초점을 둔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7단계로 구성된 Q 방법론의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개별 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총 475개의 Q 모집단을 구축하였다. 2단계에서는 총 5차례의 진술문 구조화 및 선정 과정을 통하여 총 50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Q 표본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총 33명의 P 표본을 선정하였다. 5단계에서는 총 50개의 Q 표본을 11점 척도(-5 ~ +5)의 Q 분류 분포도에 의거 분류하였다. 6단계와 7단계에서는 QUANL Program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통해 유형을 형성하였으며, 각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특성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위험 대학생이 자살생각 및 행동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할 수 있었던 생존요인에 대하여 총 5개의 유형이 의미있는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유형 1은 ‘자존감 중시형’으로, 자살생각 및 행동의 위기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하는데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지지와 격려보다는 자신이 중요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자리매김 되어지는 것을 주요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2는 ‘미래 실현 중시형’으로, 자신이 바라고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고자 목표를 정하고 실현하는 것, 자신이 성취하거나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것을 기억하고 그것에서 의미를 찾는 것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3은 ‘적극적 대처 중시형’으로, 자살위험의 생존요인에 대해 어렵고 힘든 상황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의 모습으로 해결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4는 ‘관계 경험 중시형’으로, 자신과 관계되어 있는 사람들과의 사랑과 지지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기에, 주변 사람들에게 슬픔과 고통을 주고 싶지 않는 마음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5는 ‘삶의 경험 중시형’으로, 살아 있는 자체에 의미를 두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는 것을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여기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자살위험에서 벗어나거나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개인의 내적 경험에 대해 실증적이며 경험적인 방법으로 생존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자살위험 대학생들의 생존요인에 대한 생각과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자살의 위기에서 경험하는 살고자 하는 다양한 개인적 경험과 인식에 대해 유형화하여 명료하게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 구분을 통해 각 유형으로 나누어진 주요 특성들을 중심으로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들의 자살을 선택하지 않는 중요 가치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자살위험 대학생의 생존요인에 대한 유형화는 상담현장에서 상담자들이 자살위기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중요 가치 및 태도들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유형이 가지고 있는 독특성을 중심으로 생존요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jor surviv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how to overcome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 Two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by the study: (1) which subjective perception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jor surviv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how to overcome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 Two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by the study: (1) which subjective perception types exist as survival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and (2) which characteristics do exist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1(suicidal survival factor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fact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Seven step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as follows: (1) the Q-population was assembl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individual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FGI). As a result, 475 Q-population were constructed; (2) Q-population were examined to extract the Q-sample by conducting structuring statement and selection process for five time. As a result, 50 Q-samples were selected; (3) the reliability of the Q-samples was tested; (4) P-samples was selected (n=33); (5) 50 Q-samples were sorted according to Q-sort distribution, ranging in value from -5 (strongly disagree) through 0 (neutral) to + 5 (strongly agree); (6)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by using QUANL Program to analyze each survival factor type; and finally (7) the major characteristic were interpreted.
As a result, five significant types were classified as survival factor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how to overcome their suicidal ideation. Type 1: 'Self-esteem'. Participants who were classified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recognized as significant people as a major survival factor, rather than other people's support and encouragement. Type 2: 'Future Realization'. Participants in this type stressed the importance of setting and realizing goals by consistently thinking what they want and need for their future, and searching the meaning by remembering their previous achievement and good results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3: 'Active Coping'. Participants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coping strategies regarding their difficult and stressful situation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4: 'Relationship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type stressed the importance of significant people's love and support, not to give others pain and sorrow. In addition, their fear regarding death itself which cannot be turning back is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5: 'Life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fe itself as well as trying to find meaning of life as a major survival factor.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five survival factors type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inner experience regarding how to overcome suicidal ideation by using empirical method(Q-methodology). Second, this study confirmed in terms of survival factor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 regarding their various experience and perception by clarifying five type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thought and experience regarding survival factor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t value regarding not to commit suicid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based on five survival factor types and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five types of survival factors can be an fundamental resources for counselors understanding not only subjective important value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but also survival factors based on their uniqueness of each type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jor surviv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how to overcome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 Two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by the study: (1) which subjective perception types exist as survival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and (2) which characteristics do exist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1(suicidal survival factor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fact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Seven step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as follows: (1) the Q-population was assembl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individual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FGI). As a result, 475 Q-population were constructed; (2) Q-population were examined to extract the Q-sample by conducting structuring statement and selection process for five time. As a result, 50 Q-samples were selected; (3) the reliability of the Q-samples was tested; (4) P-samples was selected (n=33); (5) 50 Q-samples were sorted according to Q-sort distribution, ranging in value from -5 (strongly disagree) through 0 (neutral) to + 5 (strongly agree); (6)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by using QUANL Program to analyze each survival factor type; and finally (7) the major characteristic were interpreted.
As a result, five significant types were classified as survival factor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how to overcome their suicidal ideation. Type 1: 'Self-esteem'. Participants who were classified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recognized as significant people as a major survival factor, rather than other people's support and encouragement. Type 2: 'Future Realization'. Participants in this type stressed the importance of setting and realizing goals by consistently thinking what they want and need for their future, and searching the meaning by remembering their previous achievement and good results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3: 'Active Coping'. Participants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coping strategies regarding their difficult and stressful situation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4: 'Relationship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type stressed the importance of significant people's love and support, not to give others pain and sorrow. In addition, their fear regarding death itself which cannot be turning back is as a major survival factor. Type 5: 'Life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typ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fe itself as well as trying to find meaning of life as a major survival factor.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five survival factors type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inner experience regarding how to overcome suicidal ideation by using empirical method(Q-methodology). Second, this study confirmed in terms of survival factors of suicidal risk among university student regarding their various experience and perception by clarifying five types through investigating their thought and experience regarding survival factor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t value regarding not to commit suicid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based on five survival factor types and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e five types of survival factors can be an fundamental resources for counselors understanding not only subjective important value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uicidal risk, but also survival factors based on their uniqueness of each types' characteristic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