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pe and Gratitude on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4, 2014년, pp.569 - 576  

조명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전원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spiritua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24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via SPSS WIN 18.0. Res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과 영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서 간호대학생의 영적 성장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과 영성 정도를 파악하고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희망과 감사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나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한 연구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희망, 감사성향과 영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영적 성장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성이란 무엇인가? 영성은 실존적, 종교적 의미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볼 수 있는데, 자신과 타인 및 상위 존재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통해 삶의 창조적 · 역동적 에너지로 작용하는 인간의 내적 자원의 총체로서, 현실을 초월한 경험을 통해 존재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고 충만한 삶을 살게 해주는 영적 태도 및 행위를 의미한다(Oh & Kang, 2000). 영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은 영성이 높을수록 우울과 자살생각이 감소하고 스트레스의 영향을 덜 받으며 알코올과 약물사용이 적고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ho & Kim, 2012; Koenig, 2009).
희망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긍정적인 사고체계를 구성하는 심리적 속성 중 하나인 희망은 보다 나은 삶을 염두에 두는 긍정적인 기대나 현재의 어려움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들을 생각하도록 이끄는 동기적 의미를 갖는다(Snyder, Rand, & Sigmon, 2002). 희망은 매일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서 경험하는 부정 정서를 감소시키고 적응적 대처방안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년 여성의 실존적 영적안녕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Cho, 2010; Park, 2003).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영적간호수행 역량이란? 최근 영성은 건강의 필수적 요소이며 대상자의 의학적, 심리적인 문제들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증가됨에 따라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oenig, 2009). 인간은 누구나 실존적 혹은 종교적 존재로서 영적 안녕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간호사는 대상자의 실제적, 잠재적 영적 고통을 사정하고 이를 중재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Chung & Eun, 2011). 이러한 영적간호수행 역량은 간호사의 영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간호사의 영성은 대학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자기 이해의 교육과정을 통해 개발 및 발전될 수 있다(Lantz,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H. (2010). The effects of hope on life stress, psychopathology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3), 839-852. 

  2. Choi, S. O., & Kim, S. N. (2011).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Education, 17(2), 190-199. 

  3. Cho, S. B., & Kim, S. H. (2012). Development of a spiritualit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2), 877-890. 

  4. Chung, M. J., & Eun, Y. (201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based on the ASSET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73-683. 

  5. Emmons, R. (2008). Gratitud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brain. The Science of SubjectiveWell-Being, 11, 469-489. 

  6. Howden, J. W. (1992). Development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Denton. 

  7. Jo, G. Y., & Park, H. S. (2011).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 160-169. 

  8. Jung, Y. M. (2011). Factors influencing meaning in life among the middle-age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3), 209-220. 

  9. Kim, J., Ahn, S., & Han, S. (2009).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spiri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5(1), 207-226. 

  10. Kim, S. N. (2010). Spirituality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metropolitan c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2), 143-153. 

  11. Kim, Y. J. (2004).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n self-esteem, hope and life quality of inpatients with mental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oenig, H. G. (2009). Research on religio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a review.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4, 283-291. 

  13. Kwon, S. J., Kim, K. H., & Lee, H. S. (200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177-190. 

  14. Kwon, Y. M. (2011). The experience of service-learning in connection with the major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Education, 17(2), 208-217. 

  15. Lantz, C. (2007). Teaching spiritual care in a public institution: Legal implications, standards of practice, and ethical obligatio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 33-38. 

  16. Lee, M. H. (2004). Spirituality of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3), 265-274. 

  17. Lyubomirsky, S., King, L. A.,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se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18.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112-127. 

  19. Milligan, S. (2004). Perceptions of spiritual care among nurses undertaking post-registratio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0(4), 162-171. 

  20. Nowotny, M. L. (1989).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6(1), 57-61. 

  21. Oh, E. J., Lee, S. Y., & Sung, K. M. (2013). Interpersonal relations, hop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491-500. 

  22. Oh, P. J., Chun, H. S., & So, W. S. (2001). Spiritual assessment scale :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Asian Oncology Nursing, 1(2), 168-179. 

  23. Oh, P. J., & Kang, K. A. (2000).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0, 1145-1155. 

  24. Park, H. S., & Jeong, K. S. (2013).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Education, 19(4), 549-557. 

  25. Park, M. H. (2003). Hope, self-empower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Education, 9(2), 222-233. 

  26. Park, S. S., & Lee, J. S. (2002). A research on the cultural validity of PIL and the level of the purpose in lif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2(2), 59-75. 

  27. Snyder, C. R., Rand, K. L., & Sigmon, D. R.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SA. 

  28.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lt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 431-451. 

  29. Yang, E. M. (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and roles of high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289-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