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및 소비되는 콩 품종 중 백태 및 서리태의 건조온도 50℃ 및 60℃의 2수준, 상대습도 30%, 40% 및 50%의 3수준의 건조 조건을 이용하여 평형함수율 및 건조속도를 측정하고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속도 예측이 가능한 박층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및 소비되는 콩 품종 중 백태 및 서리태의 건조온도 50℃ 및 60℃의 2수준, 상대습도 30%, 40% 및 50%의 3수준의 건조 조건을 이용하여 평형함수율 및 건조속도를 측정하고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속도 예측이 가능한 박층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백태 및 서리태의 건조속도는 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였으며, 건조 시작 후 2시간까지는 함수율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2시간 이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나타냈다. 백태의 건조속도는 건조온도 50℃의 건조속도는 0.67%,w.b./h 및 건조온도 60℃의 건조속도는 0.73%,w.b./h로 나타났다. 서리태의 건조속도는 0.66%,w.b./h 및 건조온도 60℃의 건조속도는 0.72%,w.b./h로 나타나 건조속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태 및 서리태의 평형함수율은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평형함수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백태 및 서리태의 평형함수율은 콩의 종류와 상관없이 비교적 비슷한 평형함수율을 나타냈다. 곡물에 건조 함수율 예측에 이용되는 박층건조모델 중 4개(Lewis, Page, Thompson 및 축소수분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실험상수는 건조온도와 상대습도의 함수로 나타냈다. 백태의 4개의 건조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의 와 RMSE로 건조방정식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모델 중 결정계수()는 0.97 이상, RMSE는 0.0508이하로 Thompson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리태는 Thompson 모델이 결정계수()는 0.97 이상, RMSE는 0.0308이하로 Thompson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태 및 서리태 모두 Thompson 모델이 적합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축소수분확산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콩의 건조모델로 사용되었던 Overhults 모델과 과 Thompson이 제시한 박층건조방정식의 예측값과 Thompson 모델을 비교한 결과 콩은 백태와 서리태의 박층건조모델의 차이는 없었으나 콩의 박층 건조에는 건조온도 및 상대습도를 이용한 건조모델을 사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및 소비되는 콩 품종 중 백태 및 서리태의 건조온도 50℃ 및 60℃의 2수준, 상대습도 30%, 40% 및 50%의 3수준의 건조 조건을 이용하여 평형함수율 및 건조속도를 측정하고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속도 예측이 가능한 박층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백태 및 서리태의 건조속도는 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였으며, 건조 시작 후 2시간까지는 함수율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2시간 이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나타냈다. 백태의 건조속도는 건조온도 50℃의 건조속도는 0.67%,w.b./h 및 건조온도 60℃의 건조속도는 0.73%,w.b./h로 나타났다. 서리태의 건조속도는 0.66%,w.b./h 및 건조온도 60℃의 건조속도는 0.72%,w.b./h로 나타나 건조속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태 및 서리태의 평형함수율은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평형함수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백태 및 서리태의 평형함수율은 콩의 종류와 상관없이 비교적 비슷한 평형함수율을 나타냈다. 곡물에 건조 함수율 예측에 이용되는 박층건조모델 중 4개(Lewis, Page, Thompson 및 축소수분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실험상수는 건조온도와 상대습도의 함수로 나타냈다. 백태의 4개의 건조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의 와 RMSE로 건조방정식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모델 중 결정계수()는 0.97 이상, RMSE는 0.0508이하로 Thompson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리태는 Thompson 모델이 결정계수()는 0.97 이상, RMSE는 0.0308이하로 Thompson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태 및 서리태 모두 Thompson 모델이 적합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축소수분확산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콩의 건조모델로 사용되었던 Overhults 모델과 과 Thompson이 제시한 박층건조방정식의 예측값과 Thompson 모델을 비교한 결과 콩은 백태와 서리태의 박층건조모델의 차이는 없었으나 콩의 박층 건조에는 건조온도 및 상대습도를 이용한 건조모델을 사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oybean by developing thin layer drying equations and evaluating various grain drying equations. The drying rate of white and black bean was dried to a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under the conditions of two leve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oybean by developing thin layer drying equations and evaluating various grain drying equations. The drying rate of white and black bean was dried to a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under the conditions of two levels of drying temperature (50˚C and 60˚C) and three levels of relative humidity (30%, 40% and 50%) to analyze the drying process and to investigate the drying conditions. The drying rate of white soybean was observed as 0.67%,w.b./h at a drying temperature 50℃, and 0.73%,w.b./h at 60℃. The drying rate of black soybean was observed as 0.66%,w.b./h at a drying temperature 50℃, and 0.72%,w.b./h at 60℃.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hite and black soybean decrease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and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hite and black soybean was similar. Lewis model, Page model, Thompson model, and Simplified diffusion model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ir accuracy and convenience to develop thin-layer drying equations for white and black soybean. Experimental constant was represented by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and RMSE values between the measured moisture content ratio and predicted one were compared to test the suitability of the drying equations for white and black soybean. Thompson model was calculated to be in good agreements with overall drying conditions by show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over 0.97 and RMSE of under 0.0308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white soybean at all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ompson model was calculated to be in good agreements with overall drying conditions by show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over 0.97 and RMSE of under 0.0508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black soybean at all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ompson model was sh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white and black soybean, followed by a Simplified diffusion mod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oybean by developing thin layer drying equations and evaluating various grain drying equations. The drying rate of white and black bean was dried to a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under the conditions of two levels of drying temperature (50˚C and 60˚C) and three levels of relative humidity (30%, 40% and 50%) to analyze the drying process and to investigate the drying conditions. The drying rate of white soybean was observed as 0.67%,w.b./h at a drying temperature 50℃, and 0.73%,w.b./h at 60℃. The drying rate of black soybean was observed as 0.66%,w.b./h at a drying temperature 50℃, and 0.72%,w.b./h at 60℃.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hite and black soybean decrease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and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hite and black soybean was similar. Lewis model, Page model, Thompson model, and Simplified diffusion model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ir accuracy and convenience to develop thin-layer drying equations for white and black soybean. Experimental constant was represented by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and RMSE values between the measured moisture content ratio and predicted one were compared to test the suitability of the drying equations for white and black soybean. Thompson model was calculated to be in good agreements with overall drying conditions by show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over 0.97 and RMSE of under 0.0308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white soybean at all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ompson model was calculated to be in good agreements with overall drying conditions by show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over 0.97 and RMSE of under 0.0508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black soybean at all dry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ompson model was sh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thin layer drying model of white and black soybean, followed by a Simplified diffusion mode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