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메시지의 직접성 및 충분성에 따른 고기능자폐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 이해 능력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원문보기
화자와 청자가 특정 대상, 장소, 생각 등에 대한 정보를 나누는 과정을 참조적 의사소통이라고 하는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는 적절한 표현으로 공유하고 있는 참조물을 제시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예로, 화자가 청자와 함께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을 이미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해 생략하거나 자신만이 아는 정보로 설명하는 등 다양한 의사소통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 때 청자는 화자가 제시한 정보가 충분한지 또는 적절한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화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렇듯 성공적인 참조적 의사소통을 위해선 다른 사람의 생각, 믿음, 바람, 의도 등과 같은 마음상태를 추론하는 능력인 마음읽기(Perner, 1991)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고기능자폐 아동은 언어발달이 높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을 잘 관찰해보면 화용적 결함을 많이 나타내는데(Attwood, 1998; Landa, Klin, Volkmar & ...
화자와 청자가 특정 대상, 장소, 생각 등에 대한 정보를 나누는 과정을 참조적 의사소통이라고 하는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는 적절한 표현으로 공유하고 있는 참조물을 제시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예로, 화자가 청자와 함께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을 이미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해 생략하거나 자신만이 아는 정보로 설명하는 등 다양한 의사소통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 때 청자는 화자가 제시한 정보가 충분한지 또는 적절한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화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렇듯 성공적인 참조적 의사소통을 위해선 다른 사람의 생각, 믿음, 바람, 의도 등과 같은 마음상태를 추론하는 능력인 마음읽기(Perner, 1991)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고기능자폐 아동은 언어발달이 높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을 잘 관찰해보면 화용적 결함을 많이 나타내는데(Attwood, 1998; Landa, Klin, Volkmar & Sparrow, 2000) 이들의 화용적 결함은 마음이론의 결함 때문으로 설명되어 왔다(De Villiers, Stainton & Szatmari, 2007; Paul, Orlovski, Marcinko & Volkmar, 2009; Tager-Flusberg, 1989). 하지만 이들의 특성을 고려해 고기능자폐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는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자폐 아동의 참조적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화자가 메시지를 적절하게 제시한 경우(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자와 청자가 특정 참조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참조물의 상황적, 기능적 정보를 제시한 경우(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모호한 메시지의 경우(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로 조건을 나누어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아동의 참조적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생활연령 5-8세의 고기능자폐 아동 14명과 이들과 생활연령,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4명으로 총 28명이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과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에 대한 첫 번째 연구 질문의 연구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순으로 높은 과제 수행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집단과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에 관한 이차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차이에 비해 크게 나타났는데 즉,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이차상호작용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가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두 번째 연구 질문의 연구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집단의 경우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 ‘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는 언어평가 중 수용어휘력, 화용언어평가 중 ‘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는 기타 언어평가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는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에서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리고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가 참조적 이해 수행력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를 가장 잘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참조적 이해 과제와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참조적 이해 과제가 어휘능력에 비해 상위 능력인 화용언어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기능자폐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평가 및 중재 시 화자가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 상황, 공유하고 있는 참조물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 상황, 정보를 모호하게 제공한 상황 등 참조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메시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화자와 청자가 특정 대상, 장소, 생각 등에 대한 정보를 나누는 과정을 참조적 의사소통이라고 하는데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는 적절한 표현으로 공유하고 있는 참조물을 제시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예로, 화자가 청자와 함께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을 이미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해 생략하거나 자신만이 아는 정보로 설명하는 등 다양한 의사소통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 때 청자는 화자가 제시한 정보가 충분한지 또는 적절한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화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렇듯 성공적인 참조적 의사소통을 위해선 다른 사람의 생각, 믿음, 바람, 의도 등과 같은 마음상태를 추론하는 능력인 마음읽기(Perner, 1991)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고기능자폐 아동은 언어발달이 높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을 잘 관찰해보면 화용적 결함을 많이 나타내는데(Attwood, 1998; Landa, Klin, Volkmar & Sparrow, 2000) 이들의 화용적 결함은 마음이론의 결함 때문으로 설명되어 왔다(De Villiers, Stainton & Szatmari, 2007; Paul, Orlovski, Marcinko & Volkmar, 2009; Tager-Flusberg, 1989). 하지만 이들의 특성을 고려해 고기능자폐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는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자폐 아동의 참조적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화자가 메시지를 적절하게 제시한 경우(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자와 청자가 특정 참조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참조물의 상황적, 기능적 정보를 제시한 경우(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모호한 메시지의 경우(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로 조건을 나누어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아동의 참조적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생활연령 5-8세의 고기능자폐 아동 14명과 이들과 생활연령,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4명으로 총 28명이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과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에 대한 첫 번째 연구 질문의 연구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순으로 높은 과제 수행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집단과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에 관한 이차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차이에 비해 크게 나타났는데 즉,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의 집단 간 차이가 이차상호작용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가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두 번째 연구 질문의 연구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집단의 경우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 ‘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는 언어평가 중 수용어휘력, 화용언어평가 중 ‘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는 기타 언어평가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는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메시지에 따른 참조적 이해 과제 수행력에서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충분한 간접적인 메시지,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리고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에서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불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가 참조적 이해 수행력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를 가장 잘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참조적 이해 과제와 화용언어평가 및 언어평가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충분한 직접적인 메시지와 화용언어평가 중‘상위언어: 간접표현 이해 및 대처’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참조적 이해 과제가 어휘능력에 비해 상위 능력인 화용언어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기능자폐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평가 및 중재 시 화자가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 상황, 공유하고 있는 참조물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 상황, 정보를 모호하게 제공한 상황 등 참조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메시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High-functioning autism (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Twenty eight children (14 HFA, 14 TD) aged from 5 to 8 years were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High-functioning autism (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Twenty eight children (14 HFA, 14 TD) aged from 5 to 8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performance of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wo group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and vocabulary test, pragmatic assessments of each group?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three conditions(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insufficient direct message). Pictures and verbal stories about specific referent were provided to children and they were asked to choose one answer in six selection type referents on screen.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re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Also,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ference task, vocabulary test, and pragmatic assessments.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First, HFA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f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than TD group. Second, among the message conditions, both groups showed high performance in the order of 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and insufficient direct message. Third,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between groups and message conditions. Group differences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group differences in 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indicating that group differences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were due to the effects of two-way interaction.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fficient direct message and 'KOPLAC: Indirect speech comprehension' in both group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fficient indirect message and receptive vocabulary, 'KOPLAC: Indirect speech comprehension' in HFA group.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and vocabulary test, pragmatic assessments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have a weak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with more difficulty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Based on these findings, High-functioning autism children are seemed to need more support for referential compreh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High-functioning autism (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Twenty eight children (14 HFA, 14 TD) aged from 5 to 8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performance of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wo group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and vocabulary test, pragmatic assessments of each group?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three conditions(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insufficient direct message). Pictures and verbal stories about specific referent were provided to children and they were asked to choose one answer in six selection type referents on screen.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re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directness and sufficiency of message. Also,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ference task, vocabulary test, and pragmatic assessments.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First, HFA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f referential comprehension task than TD group. Second, among the message conditions, both groups showed high performance in the order of 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and insufficient direct message. Third,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between groups and message conditions. Group differences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group differences in sufficient direct message, sufficient indirect message, indicating that group differences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were due to the effects of two-way interaction.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fficient direct message and 'KOPLAC: Indirect speech comprehension' in both group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fficient indirect message and receptive vocabulary, 'KOPLAC: Indirect speech comprehension' in HFA group.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and vocabulary test, pragmatic assessments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have a weak comprehension abilit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with more difficulty in insufficient direct message. Based on these findings, High-functioning autism children are seemed to need more support for referential comprehens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