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몽골과 한국의 주민참여예산제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of Korea and Mongolia 원문보기


Tsengel Bayara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몽골은 1990년대 대혁명이 일어나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와 새로운 정치체제가 도입되어 1992년에 첫 민주주의 선거를 시행하였다. 자본주의 체제를 수용했으며, 현재 민주공화국으로 민주헌법을 수립하고 국민들의 평등과 자유 그리고 기본권을 보장하는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계적으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직접민주주의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 참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계기는 1991년 기초 및 광역지방의회 구성을 시발점으로 재개된 지방자치를 들 수 있다. 1999년 8월 31일에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주민감사청구제와 주민의 조례제정·개폐청구가 도입되었고, 주민소송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2006년 5월 24일에는 주민소환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2007년 주민소환투표청구제도, 주민참여예산제도 등이 도입이 되었다. 주민참여제도 가운데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는 예산편성 과정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자신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제도로 남미 브라질에서 기원해 라틴아메리카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각 지역으로 확산됐다.(Goldfrank, 2006).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자치단체의 예산편성과정에 지역주민이나 전문가가 참여하여 지방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이다. 즉, 행정부제출 예산제도가 법제화된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관이 독점적으로 행사해왔던 예산편성권을 지역사회와 지역주민들에게로의 분권화 또는 이양을 통해, 예산편성 과정에 해당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을 법적,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주민참여의 일종이다.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수요자 중심의 예산편성이고, 재정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직접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가치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제도이다.
몽골에서도 최근에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민들의 세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예산 투명성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몽골정부에서는 주민참여예산제 도입에 대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지방자치와 예산편성 과정에서 주민들의 자율적인 참여가 아직은 미흡한 상태에 있다. 지방자치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에게 주민의 생활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결정 과정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주민들의 참여의식 향상과 더불어 주민들이 정책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예산제가 더 활성화된 한국과의 비교를 통하여 몽골 `주민참여예산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민참여예산제의 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한국과 몽골의 주민참여예산 제도 및 운영을 분석하여 향후 몽골의 주민참여예산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례연구로는 서울특별시의 25개의 자치구청 중 주민참여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서울시 은평구와 서대문구, 몽골 울란바타르의 9개 구청 중 바양줄흐구와 칭길테구를 선정하여 비교분석을 하였다.
서울시와 울란바타르시의 주민참여예산제를 비교분석하여 본 결과 첫째,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서울의 두 자치구에서는 주민참여평가위원회, 주민참여학교, 예산방, 열린방,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이버반상회 등의 제도가 운영되어 있으며, 위원회 측면에서는 참여예산지역회의, 참여예산시민위원회, 정책기획시민위원회, 참여준비위원회 등이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울란바타르시에서는 아직 이러한 제도가 도입되어 있지 않거나 제도는 도입되어 있더라도 실제 운영은 거의 안 되고 있다. 몽골의 두 자치구는 주민참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주민들의 참여 수준이 매우 부족하다. 이는 공무원들의 비적극적인 태도와, 주민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의지의 부족으로 인해 지방자치와 위원회의 비능률성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몽골정부 관료들의 중앙집권적인 태도가 광범위하게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들의 부정부패, 또는 공무원의 전문성과 능률성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예산편성에 주민참여를 제고하기 위하여 주민참여예산제를 법률이나 조례에 강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한국처럼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적 시스템을 강화하여, 공무원 모두의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의지와 지속적인 노력이 주민참여예산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IT기술 분야가 고도로 발전한 한국과 비교할 때 몽골은 아직 주민참여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예산편성과정과 정책 결정 과정에 주민의 의견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렴하고 참여시킬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민의 의견을 수렴할 때, 전자투표, 모바일 앱 등을 통해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어 주민참여가 매우 활동적인 수준이다. 은평구, 서대문구 주민들은 의견제시와 더불어 예산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예산을 조정 및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주민들이 예산편성과정에 의견을 제시할 수만 있고, 직접 예산을 편성할 결정권이 없다.
반면에 몽골은 예산에 투명성과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golia has embraced the capitalism system with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power in the 1990s, it is aiming at a direct democracy that the Government establishes democratic constitution as a democratic republic and guarantees equality, freedom and basic rights of the people. Mongolian constituti...

학위논문 정보

저자 Tsengel Bayaraa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행정학과
지도교수 조택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vii, 137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390266&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