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도시공원녹지 이용행태 및 만족도 연구 : 전주시 3개 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Green in Urban Parks : Focused on three parks in Jeonju city원문보기
최근 들어 도시민의 건강과 휴양을 위한 공간으로 도심 공원녹지 확보가 많이 요구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공원녹지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이 용이하며 등산이나 산책, 휴식, 운동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주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에 대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이용자중심의 계획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원녹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하여 자발적인 지역주민의 유지관리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자료를 통하여 공원녹지 이용행태 및 만족도와공원녹지 만족도 모델에 관하여 고찰 하였다. 또한 대상지에 대한 환경분석과 설문을 통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
최근 들어 도시민의 건강과 휴양을 위한 공간으로 도심 공원녹지 확보가 많이 요구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공원녹지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이 용이하며 등산이나 산책, 휴식, 운동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주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에 대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이용자중심의 계획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원녹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하여 자발적인 지역주민의 유지관리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자료를 통하여 공원녹지 이용행태 및 만족도와공원녹지 만족도 모델에 관하여 고찰 하였다. 또한 대상지에 대한 환경분석과 설문을 통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SPSS Ver. 1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밝혔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른 공원녹지 이용행태에서는 성별, 연령별로 이용빈도, 이동수단, 체류시간, 이용시간, 방문목적 등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공원녹지 이용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전반적으로 접근성, 시설관리상태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 시설, 운영관리에 따른 만족도 평가는 각 대상지마다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 평가는 덕진근린공원의 건지산일대(SITE A)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 황방산근린공원(SITE C)이며,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공원녹지요구시설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등산로/계단/데크, 음수전/약수터, 화장실 등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지관리 방안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시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지관리 참여의사는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와 황방산근린공원(SITE C)의 이용자는 불참하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유지관리 참여분야는 전체대상지에서 이용관리 분야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요인분석결과를 토대로 공원녹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덕진근린공원의 건지산일대(SITE A)는 시설관리상태,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는 녹지경관만족도, 황방산근린공원(SITE C)는 시설상태 및 불편함 정도가 공원녹지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공원녹지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SITE A․SITE B․SITE C의 공원녹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각 각 5개․9개․6개의 변수들이 공원녹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주시 공원녹지 정책에 연구결과가 반영된다면 전주시민들의 의견과 요구를 통한 이용자의 쾌적한 휴식과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들어 도시민의 건강과 휴양을 위한 공간으로 도심 공원녹지 확보가 많이 요구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공원녹지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이 용이하며 등산이나 산책, 휴식, 운동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주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에 대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이용자중심의 계획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원녹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하여 자발적인 지역주민의 유지관리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자료를 통하여 공원녹지 이용행태 및 만족도와공원녹지 만족도 모델에 관하여 고찰 하였다. 또한 대상지에 대한 환경분석과 설문을 통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SPSS Ver. 1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밝혔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른 공원녹지 이용행태에서는 성별, 연령별로 이용빈도, 이동수단, 체류시간, 이용시간, 방문목적 등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공원녹지 이용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는 전반적으로 접근성, 시설관리상태가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 시설, 운영관리에 따른 만족도 평가는 각 대상지마다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 평가는 덕진근린공원의 건지산일대(SITE A)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 황방산근린공원(SITE C)이며,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공원녹지요구시설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등산로/계단/데크, 음수전/약수터, 화장실 등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지관리 방안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시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지관리 참여의사는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와 황방산근린공원(SITE C)의 이용자는 불참하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유지관리 참여분야는 전체대상지에서 이용관리 분야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요인분석결과를 토대로 공원녹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덕진근린공원의 건지산일대(SITE A)는 시설관리상태, 완산칠봉의 건지산일대(SITE B)는 녹지경관만족도, 황방산근린공원(SITE C)는 시설상태 및 불편함 정도가 공원녹지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공원녹지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SITE A․SITE B․SITE C의 공원녹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각 각 5개․9개․6개의 변수들이 공원녹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주시 공원녹지 정책에 연구결과가 반영된다면 전주시민들의 의견과 요구를 통한 이용자의 쾌적한 휴식과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ly, as a space for the health and recreation of the citizens, it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o secure parks and green in urban parks that should be easy to access in time and space, and provid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ountain climbing, walking, rest, and exercise.
Th...
In recently, as a space for the health and recreation of the citizens, it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o secure parks and green in urban parks that should be easy to access in time and space, and provid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ountain climbing, walking, rest, and exerci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for local residents who use parks and green in Jeonju city to provide basic data that user oriented planning can be mad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at was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by increasing interest in parks and green.
In this study, the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and their satisfaction model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data. Also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through questionnaire were compared with SPSS Ver. 18 that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use, transportation, stay time, usage time, and purpose of visit by gender and age.
Second, the rankings that are important for the use of parks and green are generally in the order of accessibility and facility management status.
Third,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vegetation, facilities and operation management showed differences in each site. Also, the overall evaluation showed that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followed by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and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had low satisfaction When we look at the priority of parks and green requirements, the demand for trail/stairs/deck, drinking fountain/water spring, toilet is high.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aintenance plan shows that it is preferable to city should be manage the overall plan. Also,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and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users were highly likely to be absent from the maintenance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part of maintenance participation,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utilization management field in the whole area.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were in case of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is 'facility management status',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is 'green landscape satisfaction',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is 'facility status and discomfort'.
Six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the parks and green, 5․9․6 variables in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and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f the research result is reflected in the parks and green policy of Jeonju city in the future, it will help to establish a desirable plan to satisfy user's comfortable rest and desire through opinions and requests of Jeonju citizens.
In recently, as a space for the health and recreation of the citizens, it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o secure parks and green in urban parks that should be easy to access in time and space, and provid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ountain climbing, walking, rest, and exerci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for local residents who use parks and green in Jeonju city to provide basic data that user oriented planning can be mad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at was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by increasing interest in parks and green.
In this study, the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and their satisfaction model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data. Also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through questionnaire were compared with SPSS Ver. 18 that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use, transportation, stay time, usage time, and purpose of visit by gender and age.
Second, the rankings that are important for the use of parks and green are generally in the order of accessibility and facility management status.
Third,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vegetation, facilities and operation management showed differences in each site. Also, the overall evaluation showed that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followed by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and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had low satisfaction When we look at the priority of parks and green requirements, the demand for trail/stairs/deck, drinking fountain/water spring, toilet is high.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aintenance plan shows that it is preferable to city should be manage the overall plan. Also,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and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users were highly likely to be absent from the maintenance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e part of maintenance participation,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utilization management field in the whole area.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were in case of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is 'facility management status',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is 'green landscape satisfaction',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is 'facility status and discomfort'.
Six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the parks and green, 5․9․6 variables in Site of the Geonji mountain in the Deokjin neighborhood park(SITE A), Site of the Wansanchilbong in the Wansan neighborhood park(SITE B) and Hwangbangsan neighborhood park(SITE 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f the research result is reflected in the parks and green policy of Jeonju city in the future, it will help to establish a desirable plan to satisfy user's comfortable rest and desire through opinions and requests of Jeonju citize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