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녹지의 시민만족도 모형 - 안양시를 사례로 한 교류적 접근 -
Citizen Satisfaction Model for Urban Parks and Greens - A Transactional Approach in the Case of Anyang City, Kore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3, 2010년, pp.62 - 74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김정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안진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아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원과 녹지공간의 이용과 미적 측면에서 도시민들이 중요하게 가치를 두고 있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다양한 공원녹지 요소에 대해 이용자 만족도 변화를 다루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의 1999년과 2007년의 환경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류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동적모형과 공원녹지만족도 개념모형을 발전시킨다. 그리고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1999년과 2007년의 공원녹지 환경 조사와 1999년의 573개, 2007년의 982개의 설문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첫째, 공원녹지만족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도시공원'이고, 그 다음으로 '도시경관'이었다. 둘째, 모형에서 공원녹지만족도는 도시거주성과 경관의 질을 포함한 도시환경의 질적 만족도의 원인이 된다. 셋째, 요인분석결과, 평가인자는 도시경관, 도시녹지, 선형시설, 도시공원, 하천녹지, 산림녹지의 6개 요인이었으며 2007년에는 시민들이 참여한 '안양천 되살리기 운동'으로 인해 하천녹지 요인이 새로이 나타났다. 넷째, 교류적 관점에서 환경변화 결과는 시민들의 태도변화 측면, 안정성 측면의 양면을 보여주고 있다. 만족도는 향상되었지만 대부분의 요인에서 만족-불만족 항목의 패턴은 변화되지 않았다. 녹도를 포함한 하천녹지와 선형시설(보행자전용도로, 자전거도로, 조깅로 등)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2007년에 공원녹지만족도는 안양시의 노력과 시민운동으로 조성된 도시공원 및 하천과 녹도로 인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citizens value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terms of usage and aesthetic value and to find ways to deal with the changing patterns of user satisfaction for these various green ele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developed a dynamic model employing a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원녹지 및 자연환경분야의 정책적 목표와 도시개발에서의 지방정부의 집행과 괴리는 더 크게 느껴지면서 공원녹지 연구 분야가 QOL의 일부분이라는 의식확장과 환경의 질을 평가하는 모형 공유가 절실하다. QOL의 한 영역(dom瓦n)이며, 도시 또는 커뮤니티 레벨의 개발 영역 중의 하나인 도시경관 및 여가공간을 포함한 공원녹지 영역에 대한 이론적 또한 방법론 고찰을 통해 실제 프로젝트의 자료를 기초로 논의하고자 한다.
  • 그리고 경기도 안양시에 대해 안양시 그린플랜(안양시, 2000)과 공원녹지기본계획(안양시, 2009) 수립을 위해 실시했던 안양시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의식조사를 통하여 1999년부터 2007 년까지 8년간 시간적 경과에 따른 시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원녹지의 평가를 토대로 첫째, 만족도의 주요 요인의 구성적 변화 패턴을 고찰하고 둘째, 내용적으로는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인과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연구사를 통하여 도시 차원에서 주민들이 생활의 질 및 공원녹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등을 검토하고, 셋째, 성균관대학교에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실증적인 접근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도시민의 도시공원 및 녹지환경의 평가에 기초한 공원녹지 만족도에 대한 개념모형을 설정하여 실제 안양시민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1999년과 2007년 사이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교류적 접근방법에서 변화의 패턴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양시를 대상으로 공원녹지 영역에 대해 도시민들이 중요하게 가치를 두고 있는 요소를 밝혀 도시 공원 및 녹지의 인식 구조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도시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지표를 찾고자 하는데 있다.
  • 접근방법의 차이 등의 많은 과제와 직면한다. 연구에서는 환경-인간 상호의존적인 교류적 접근방법을 시간차에 따른 동적 모형으로서 분석하고자 한다. Altman(1981)은 환경심리학에서 Aitken and Bjorklund(:1988)은 행동지리학에서 이점을 논의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두 방법론상의 특징은 첫째, 그림 3에서와 같이 두 시점에서의 패턴의 변화를 비교하여 파악하는 것이고 둘째, 그림 4에서와 같이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구성요소 내에서의 속성 차이를 비교하여 보는데 의의가 있다. 시점에서의 인식(schemata)의 변화에 따른 만족도 평가요인의 차이를 설명하는 '구조적 패턴은 변화할 것이며 단계적이며 환경변화에 따른 만족도 상승의 경향은 안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을 만족도 모형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계수(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 심준영, 김유일, 이시영(2010)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7(6): 19-27. 

  3. 안양시(2000) 안양시 그린플랜 기본정책 수립연구. 안양시청. 

  4. 안양시(2009) 안양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안양시청. 

  5. 이학식, 임지훈(2007)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파주: 법문사. 

  6. Aitken, S. C. and E. M. Bjorklund(1988)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theories in behavioral geography. Professional Geographer 40(1): 54-64. 

  7. Altman, I.(1981)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y and Crowding. New York: Irvington. 

  8. Amerigo, M. and J. I. Aragones(1997)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residential satisf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1): 47-57. 

  9. Bonaiuto, M., F. Fornara and M. Bonnes(2003) Indexes of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neighbourhood attachment in urban environments: a confirmation study on the city Rom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5: 41-52. 

  10. Campbell, A. P. Converse and W. Rodgers(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1. Dewey, J. and A. F. Bentley(1949) Knowing and the Known. Boston: Beacon. 

  12. Francescato, G., S. Weidenmann, J. R. Anderson, and R. Chenoweth(1977) Predictors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high-rise and lowrise housing. In Conway, D.. eds, Human Response to Tall Buildings. Dowden: Hutchinson and Ross, Inc. 

  13. Kamp, I. V., K. Leidelmeijer, G. Marsman, and A. D. Hollander(2003) Urban environmental quality and human well-being: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demarcation of concep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5: 5-18. 

  14. Marans, R. W. and M. Couper(2000) Measuring the quality of community life: a program for longitudinal and comparative international research.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Quality of Life in Cities 2: 386-400. 

  15. Marans, R. W. and K. Spreckelmeyer(1981) Evaluating Built Environments: A Behavioral Approach.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Survey Research. 

  16. Mitchell, G.(2000) Indicators as tools to guide progress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thway. Sustaining Human Settlement: A Challenge for the New Millennium. UK: Urban International Press. 

  17. Pepper, S. C.(1942) World Hypotheses: A Study in Evidenc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Pepper, S. C.(1967) Concept and Quality: A World Hypotheses. La Salle, IL: Open Court. 

  19. Shafer. C. S., B. K Lee and S. Tumer(2000) A tale of three greenway trails: user perceptions related to quality of lif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 163-178. 

  20. Weidemann, S. and J. R. Anderson(1985) A conceptual framework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ltman. I. and C. M. Werner. eds., Home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