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 덕 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기 옥
고전문학은 단순한 과거의 문학이 아니다. 과거를 넘어 현재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높지 않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텐츠화 되어 노출되면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보다 재미있고 의미 있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의 가치를 발현하는 데 있어 인물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인물은 작품 안의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행동하게 된다. 즉 고전소설에서 인물 교육은 학생이 작품을 접근함에 있어 용이할뿐더러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삶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씨전」은 전·후반부에서 가정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 국가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반복적 구조가 기본 골격을 이루며 구조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이 작품은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한 외모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그리고 있고, 후반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박씨의 서사가 매우 이질적으로 이어지며 작품의 통일성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각각의 사건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이루며 해결되고 있다. 「홍계월전」은 여성이 남장하고 출전하여 국가적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충실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계월은 남주인공인 보국보다 시종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고난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계월의 남복이 밝혀진 후에도 끝까지 여성영웅의 모습을 유지한다. 즉, 이 작품은 능력과 상관없이 남녀관계가 상하관계가 될 수 없다는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과 달리 당시의 유교이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자 노력했기에 여성의 독립을 성취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구조의 특성과 주인공의 활약을 살펴본 후,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과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국어 및 문학 교과서 수록 현황을 살펴보니 「박씨전」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5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개에 수록되어 있으며, 「홍계월전」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3개에 수록되어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에는 직접 ...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 덕 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기 옥
고전문학은 단순한 과거의 문학이 아니다. 과거를 넘어 현재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높지 않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텐츠화 되어 노출되면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보다 재미있고 의미 있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의 가치를 발현하는 데 있어 인물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인물은 작품 안의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행동하게 된다. 즉 고전소설에서 인물 교육은 학생이 작품을 접근함에 있어 용이할뿐더러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삶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씨전」은 전·후반부에서 가정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 국가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반복적 구조가 기본 골격을 이루며 구조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이 작품은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한 외모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그리고 있고, 후반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박씨의 서사가 매우 이질적으로 이어지며 작품의 통일성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각각의 사건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이루며 해결되고 있다. 「홍계월전」은 여성이 남장하고 출전하여 국가적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충실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계월은 남주인공인 보국보다 시종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고난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계월의 남복이 밝혀진 후에도 끝까지 여성영웅의 모습을 유지한다. 즉, 이 작품은 능력과 상관없이 남녀관계가 상하관계가 될 수 없다는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과 달리 당시의 유교이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자 노력했기에 여성의 독립을 성취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구조의 특성과 주인공의 활약을 살펴본 후,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과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국어 및 문학 교과서 수록 현황을 살펴보니 「박씨전」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5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개에 수록되어 있으며, 「홍계월전」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3개에 수록되어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에는 직접 교수 모형, 역할 놀이 모형,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전문가 협력 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반응 중심 학습 모형, 가치 탐구 학습 모형이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 중 반응 중심 교수·학습 방법은 주입식·암기식 문학교육에 대해 비판하던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시하는 교수·학습법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학생들이 문학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이론(독자 반응)에 기반을 둔 반응 중심 학습모형이 실제 수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반응 중심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육 실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고전문학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토대로 문학작품을 보다 다양하게 해석하고 의미를 재창조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학 교과 수업에서 교사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은 이 작품에 대한 절대적 지식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수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기존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역할은 최소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흥미는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업을 주도하고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내어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 중심 교육의 원리를 바탕으로 단계별 수업을 진행하며, 각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 등을 이끌어 내도록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주체적 수용을 돕는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박씨전」과 「홍계월전」이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 덕 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기 옥
고전문학은 단순한 과거의 문학이 아니다. 과거를 넘어 현재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높지 않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텐츠화 되어 노출되면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보다 재미있고 의미 있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의 가치를 발현하는 데 있어 인물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인물은 작품 안의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행동하게 된다. 즉 고전소설에서 인물 교육은 학생이 작품을 접근함에 있어 용이할뿐더러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삶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씨전」은 전·후반부에서 가정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 국가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반복적 구조가 기본 골격을 이루며 구조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이 작품은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한 외모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그리고 있고, 후반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박씨의 서사가 매우 이질적으로 이어지며 작품의 통일성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각각의 사건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이루며 해결되고 있다. 「홍계월전」은 여성이 남장하고 출전하여 국가적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충실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계월은 남주인공인 보국보다 시종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고난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계월의 남복이 밝혀진 후에도 끝까지 여성영웅의 모습을 유지한다. 즉, 이 작품은 능력과 상관없이 남녀관계가 상하관계가 될 수 없다는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과 달리 당시의 유교이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자 노력했기에 여성의 독립을 성취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구조의 특성과 주인공의 활약을 살펴본 후,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과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국어 및 문학 교과서 수록 현황을 살펴보니 「박씨전」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5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개에 수록되어 있으며, 「홍계월전」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3개에 수록되어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에는 직접 교수 모형, 역할 놀이 모형,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전문가 협력 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반응 중심 학습 모형, 가치 탐구 학습 모형이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 중 반응 중심 교수·학습 방법은 주입식·암기식 문학교육에 대해 비판하던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시하는 교수·학습법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학생들이 문학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이론(독자 반응)에 기반을 둔 반응 중심 학습모형이 실제 수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반응 중심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육 실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고전문학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토대로 문학작품을 보다 다양하게 해석하고 의미를 재창조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학 교과 수업에서 교사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은 이 작품에 대한 절대적 지식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수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기존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역할은 최소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흥미는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업을 주도하고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내어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 중심 교육의 원리를 바탕으로 단계별 수업을 진행하며, 각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 등을 이끌어 내도록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주체적 수용을 돕는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박씨전」과 「홍계월전」이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Research on the Plans for Response-centered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Kim Deok Hee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a literature from the past. It is connec...
Research on the Plans for Response-centered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Kim Deok Hee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a literature from the past. It is connected with the present beyond the past and could even show the future.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school education field and does a role in curriculum. Nevertheless,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high. There could be a lot of reasons for this phenomenon, but, fortunately, the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exposed in various ways these days, which allows students to take an easy approach to th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each it in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m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of characters which are thought to reveal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form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re placed in diverse situations, and behave. That is, focusing on characters i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it effectively as well as to make an easy access to it.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readers reflect their lives and generally figure out others’ lives from this reflection. 「Bakssijeon」 has a consistently repetitive frame in which family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first half and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second half appear. By th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Bakssi, this literary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half and second half respectively. In the first half, story continues at home and is about conflicts and solutions from ugly appearance. In the second half, the main story is about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narration about Bakssi continues heterogeneously, so issues about the unity of the literary work have been raised but solved as each episode in the work shows organic association. In 「Honggyewoljeon」, a female attired as a male goes to war and helps to overcome national hardship. Its narrative structure is typical of a female heroic novel. However, Gyewol, the female main character, shows superior abilities to Boguk, the male main character throughout the story. She gets over hardship and maintains the figure as a heroine even after her disguise is unveiled. Namely, this literary work shows the change of females’ awarenes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cannot be vertical regardless of abilities. This work tries to break from confucianism ideology unlike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and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females. After a close consideration of the frame traits and characters’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two literary works, I took a careful look at their textbook inclusion and education plan. In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kssijeon」 is contained in fiv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one high school Korean Ⅱ textbook while 「Honggyewoljeon」 in thre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fact proves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literary values but also educational on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the subject “Korean”, there are direct instruction model, role-play model,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knowledge-quest learning model, experts-cooperation learning model, discussion-debate learning model,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nd values-quest learning model. Of various learning models, response-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introduced at the time when cramming and rote education of literature had been criticized. The new method was known to put emphasis on students’ response to literary works and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t features students’ respons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bout their own literary experiences. This study deals with educational practice pla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based on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s the model with its basis on a literary theory (readers’ response) is considered as most appropriate for actual lessons. This is not the read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but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construction of meanings by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values. It is highly likely that in existing literature classes, teachers have unilaterally transferred knowledge about the works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and students have believed and accepted that absolute knowledge about these two works exists. In these literature classes, students’ role is shrunk to the minimum, which naturally decreases students’ interest in literary works. Thus,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take a leading role in literature classes and have enough time an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internalize their own meanings and have a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the works. For this, classes should be progress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response-centered education and in each stage, teachers should perform a lot of roles to elicit students’ diverse thoughts and feelings. The continuous research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help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autonomous acceptance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active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Research on the Plans for Response-centered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Kim Deok Hee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a literature from the past. It is connected with the present beyond the past and could even show the future.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school education field and does a role in curriculum. Nevertheless,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high. There could be a lot of reasons for this phenomenon, but, fortunately, the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exposed in various ways these days, which allows students to take an easy approach to th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each it in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m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of characters which are thought to reveal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form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re placed in diverse situations, and behave. That is, focusing on characters i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it effectively as well as to make an easy access to it.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readers reflect their lives and generally figure out others’ lives from this reflection. 「Bakssijeon」 has a consistently repetitive frame in which family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first half and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second half appear. By th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Bakssi, this literary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half and second half respectively. In the first half, story continues at home and is about conflicts and solutions from ugly appearance. In the second half, the main story is about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narration about Bakssi continues heterogeneously, so issues about the unity of the literary work have been raised but solved as each episode in the work shows organic association. In 「Honggyewoljeon」, a female attired as a male goes to war and helps to overcome national hardship. Its narrative structure is typical of a female heroic novel. However, Gyewol, the female main character, shows superior abilities to Boguk, the male main character throughout the story. She gets over hardship and maintains the figure as a heroine even after her disguise is unveiled. Namely, this literary work shows the change of females’ awarenes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cannot be vertical regardless of abilities. This work tries to break from confucianism ideology unlike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and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females. After a close consideration of the frame traits and characters’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two literary works, I took a careful look at their textbook inclusion and education plan. In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kssijeon」 is contained in fiv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one high school Korean Ⅱ textbook while 「Honggyewoljeon」 in thre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fact proves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literary values but also educational on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the subject “Korean”, there are direct instruction model, role-play model,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knowledge-quest learning model, experts-cooperation learning model, discussion-debate learning model,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nd values-quest learning model. Of various learning models, response-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introduced at the time when cramming and rote education of literature had been criticized. The new method was known to put emphasis on students’ response to literary works and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t features students’ respons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bout their own literary experiences. This study deals with educational practice pla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based on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s the model with its basis on a literary theory (readers’ response) is considered as most appropriate for actual lessons. This is not the read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but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construction of meanings by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values. It is highly likely that in existing literature classes, teachers have unilaterally transferred knowledge about the works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and students have believed and accepted that absolute knowledge about these two works exists. In these literature classes, students’ role is shrunk to the minimum, which naturally decreases students’ interest in literary works. Thus,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take a leading role in literature classes and have enough time an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internalize their own meanings and have a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the works. For this, classes should be progress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response-centered education and in each stage, teachers should perform a lot of roles to elicit students’ diverse thoughts and feelings. The continuous research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help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autonomous acceptance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active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