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화재통계연보에 따르면 주방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한 화재는 11,286건으로 21.17%이었다. 그 중 튀김유를 사용하여 발생한 사고 건수는 2256건으로 19.9%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방화재의 경우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후드 및 조리 공간 주변 찌든 기름때까지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소화방법을 인지하지 못하거...
국민안전처 화재통계연보에 따르면 주방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한 화재는 11,286건으로 21.17%이었다. 그 중 튀김유를 사용하여 발생한 사고 건수는 2256건으로 19.9%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방화재의 경우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후드 및 조리 공간 주변 찌든 기름때까지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소화방법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당황하여 불을 끄기 위해 물을 붓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유지류는 물보다 비점이 높고, 밀도가 낮아 주수소화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경우 불이 붙은 기름에 물이 닿으면서 기액팽창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 물의 부피가 약 1600배 증가하여 기름이 비산하게 되며 폭발적인 화염을 일으켜 주위 가연물이나 기름때까지 화재를 전이시켜 대형화재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제가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국외에 비해 규제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유지를 선정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주수소화 할 경우 발생하는 화염에 의한 온도 변화 및 화염 형상을 알아보고, 주수량에 따른 화염 형상을 비교하여 인접가연물의 전이 여부를 통해 위험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동·식물성유지에 주수소화 시 발생하는 위험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로 인한 피해 저감을 위한 예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안전처 화재통계연보에 따르면 주방에서 음식물조리 중 발생한 화재는 11,286건으로 21.17%이었다. 그 중 튀김유를 사용하여 발생한 사고 건수는 2256건으로 19.9%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방화재의 경우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후드 및 조리 공간 주변 찌든 기름때까지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지류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소화방법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당황하여 불을 끄기 위해 물을 붓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유지류는 물보다 비점이 높고, 밀도가 낮아 주수소화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경우 불이 붙은 기름에 물이 닿으면서 기액팽창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 물의 부피가 약 1600배 증가하여 기름이 비산하게 되며 폭발적인 화염을 일으켜 주위 가연물이나 기름때까지 화재를 전이시켜 대형화재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제가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국외에 비해 규제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유지를 선정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주수소화 할 경우 발생하는 화염에 의한 온도 변화 및 화염 형상을 알아보고, 주수량에 따른 화염 형상을 비교하여 인접가연물의 전이 여부를 통해 위험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동·식물성유지에 주수소화 시 발생하는 위험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로 인한 피해 저감을 위한 예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statistics, fires in the kitchen accounted for 21.17% of 11,286 cases. Among them, 2,256 cases of frying oil accidents accounted for 19.9%. In the case of kitchen fire, there are two main causes of fire by overheating of the oils or by grease around the hood and co...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statistics, fires in the kitchen accounted for 21.17% of 11,286 cases. Among them, 2,256 cases of frying oil accidents accounted for 19.9%. In the case of kitchen fire, there are two main causes of fire by overheating of the oils or by grease around the hood and cooking area. Users do not recognize how to digest when a fire occurs due to overheating of oils and fats. It is also often the case that pour water to quell the fire. If water is poured to quench the fire, i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burned oil and cause gas-liquid expansion. Because the oil has a higher boiling point and lower density than water. At this point the volume of water increases by about 1600 times. Therefore oil splash and generates explosive flames. There is a danger of a large fire by transferring fire to adjacent combustible materials. In Korea, regulation is minimal compared to overseas. Therefore, regulations are needed to prevent these accident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change and flame shape caused by flame when water is poured while a fire is generated by selecting Oils and Fats used in the kitchen. Also, compare the flame shap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o determine the risk through fire transfer of adjacent combustible materials. Therefore, Provides basic data on the hazards of pouring water on fire caused by vegetable oils and animal fats. It also provides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is.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statistics, fires in the kitchen accounted for 21.17% of 11,286 cases. Among them, 2,256 cases of frying oil accidents accounted for 19.9%. In the case of kitchen fire, there are two main causes of fire by overheating of the oils or by grease around the hood and cooking area. Users do not recognize how to digest when a fire occurs due to overheating of oils and fats. It is also often the case that pour water to quell the fire. If water is poured to quench the fire, i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burned oil and cause gas-liquid expansion. Because the oil has a higher boiling point and lower density than water. At this point the volume of water increases by about 1600 times. Therefore oil splash and generates explosive flames. There is a danger of a large fire by transferring fire to adjacent combustible materials. In Korea, regulation is minimal compared to overseas. Therefore, regulations are needed to prevent these accident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change and flame shape caused by flame when water is poured while a fire is generated by selecting Oils and Fats used in the kitchen. Also, compare the flame shap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o determine the risk through fire transfer of adjacent combustible materials. Therefore, Provides basic data on the hazards of pouring water on fire caused by vegetable oils and animal fats. It also provides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