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항암제 내성으로 인한 재발로 인해 여성생식기의 악성종양 가운데 예후가 가장 나쁘며, 생존율도 낮은 무서운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암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를 찾아내고, 그들과 여러 예후 관련인자들간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17예의 난소암 조직과 20예의 항암제 내성 종양, 39예의 항암제 반응성 종양을 포함한 59예의 난소 상피 세포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10개의 정상 난소 상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난소암 환자 조직에서 난소암 ...
난소암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항암제 내성으로 인한 재발로 인해 여성생식기의 악성종양 가운데 예후가 가장 나쁘며, 생존율도 낮은 무서운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암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를 찾아내고, 그들과 여러 예후 관련인자들간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17예의 난소암 조직과 20예의 항암제 내성 종양, 39예의 항암제 반응성 종양을 포함한 59예의 난소 상피 세포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10개의 정상 난소 상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난소암 환자 조직에서 난소암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마이크로RNA microarray와 qRT-PCR로 난소암 줄기세포 특이적인 마이크로RNA를 발굴하여, 난소암에서 이들 마이크로RNA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그들과 임상 병기 및 조직학적 특성 등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와 miR-320b가 난소암 조직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하였으며, 정상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miR-5703, miR-1246와 miR-424-5p가 난소암세포에서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 miR-5703와 miR-1246이 항암제에 감수성이 있는 그룹에 비해 내성이 있는 그룹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miR-5703의 증가와 miR-424-5p, miR-320b의 감소는 난소암의 항암제 내성과, miR-1246의 증가는 전이와 연관이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RNA는 전사 후 단계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인간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상위 조절인자(upstream regulators)로 매력적인 연구대상으로서, 밝혀진 특징적인 마이크로RNA들이 난소암에서 어떠한 의미와 역할을 하는지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난소암 예후 관련 인자 및 새로운 표적 마이크로RNA로서 기대되는 바이다.
난소암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항암제 내성으로 인한 재발로 인해 여성생식기의 악성종양 가운데 예후가 가장 나쁘며, 생존율도 낮은 무서운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암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를 찾아내고, 그들과 여러 예후 관련인자들간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17예의 난소암 조직과 20예의 항암제 내성 종양, 39예의 항암제 반응성 종양을 포함한 59예의 난소 상피 세포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10개의 정상 난소 상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난소암 환자 조직에서 난소암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마이크로RNA microarray와 qRT-PCR로 난소암 줄기세포 특이적인 마이크로RNA를 발굴하여, 난소암에서 이들 마이크로RNA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그들과 임상 병기 및 조직학적 특성 등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와 miR-320b가 난소암 조직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하였으며, 정상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miR-5703, miR-1246와 miR-424-5p가 난소암세포에서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 miR-5703와 miR-1246이 항암제에 감수성이 있는 그룹에 비해 내성이 있는 그룹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miR-5703의 증가와 miR-424-5p, miR-320b의 감소는 난소암의 항암제 내성과, miR-1246의 증가는 전이와 연관이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RNA는 전사 후 단계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인간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상위 조절인자(upstream regulators)로 매력적인 연구대상으로서, 밝혀진 특징적인 마이크로RNA들이 난소암에서 어떠한 의미와 역할을 하는지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난소암 예후 관련 인자 및 새로운 표적 마이크로RNA로서 기대되는 바이다.
Background: Ovarian carcinoma is a highly lethal gynecological malignancy due to frequent relapse and drug resistance. Cancer stem cells (CSCs) are thought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isease relapse and 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a subpopulation of CSCs of ovarian carcinoma was isolated and...
Background: Ovarian carcinoma is a highly lethal gynecological malignancy due to frequent relapse and drug resistance. Cancer stem cells (CSCs) are thought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isease relapse and 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a subpopulation of CSCs of ovarian carcinoma was isolated and the microRNAs (miRN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se cells were identified to characterize CSCs, and to find candidate biomarkers. Methods: Ovarian carcinoma cells from patients were primarily cultured, and spheroid-forming cells (SFC) were isolated. The characteristic miRNAs of SFCs were identified through miRNA microarray and valid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the association of their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Five miRNAs including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 and miR-320b were significantly dysregulated in SFCs compared with parental cancer cells. With validation for human ovarian carcinoma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and miR-424-5p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ancer cells compared with normal fallopian tube cell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chemoresistant carcinomas compared with chemosensitive ones. Overexpression of miR-5703(P=0.029),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P=0.018) and miR-320b (P=0.02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emoresistance, and overexpression of miR-1246(P=0.03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by qRT-PCR.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miRNAs are useful biomarkers for enriching ovarian CSCs, and particularly overexpression of miR-5703 and miR-1246,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and miR-320b are significantly implicated in chemoresistance and tumor progression in ovarian carcinomas.
Background: Ovarian carcinoma is a highly lethal gynecological malignancy due to frequent relapse and drug resistance. Cancer stem cells (CSCs) are thought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isease relapse and 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a subpopulation of CSCs of ovarian carcinoma was isolated and the microRNAs (miRN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se cells were identified to characterize CSCs, and to find candidate biomarkers. Methods: Ovarian carcinoma cells from patients were primarily cultured, and spheroid-forming cells (SFC) were isolated. The characteristic miRNAs of SFCs were identified through miRNA microarray and valid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the association of their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Five miRNAs including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 and miR-320b were significantly dysregulated in SFCs compared with parental cancer cells. With validation for human ovarian carcinoma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and miR-424-5p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ancer cells compared with normal fallopian tube cell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chemoresistant carcinomas compared with chemosensitive ones. Overexpression of miR-5703(P=0.029),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P=0.018) and miR-320b (P=0.02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emoresistance, and overexpression of miR-1246(P=0.03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by qRT-PCR.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miRNAs are useful biomarkers for enriching ovarian CSCs, and particularly overexpression of miR-5703 and miR-1246,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and miR-320b are significantly implicated in chemoresistance and tumor progression in ovarian carcinomas.
Keyword
#Ovarian carcinoma cancer stem cell microRNA prognosis
학위논문 정보
저자
차소연
학위수여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의학과 병리학
지도교수
안희정
발행연도
2015
총페이지
vii, 35 p.
키워드
Ovarian carcinoma cancer stem cell microRNA progno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