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발달 (Korean Infant Vocal and Articulate 리스트는 개월 Development, KIVAD) 1~24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자료를 분석하여 개월별 발성 및 조음발달 내역을 정리한 목록이다. 이는 청각장애 영아의 조기청각언어재활 시,발성 및 조음발달의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청능재활 프로그램 진행 결과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방법: 1~24개월의 정상 영유아를...
연구배경: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발달 (Korean Infant Vocal and Articulate 리스트는 개월 Development, KIVAD) 1~24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자료를 분석하여 개월별 발성 및 조음발달 내역을 정리한 목록이다. 이는 청각장애 영아의 조기청각언어재활 시,발성 및 조음발달의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청능재활 프로그램 진행 결과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방법: 1~24개월의 정상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3개월은 24명, 4∼5는 28명, 6∼7은 33명, 8~9 는 34명, 10∼11은 34명, 12~13은 35명, 14~15 는 36명, 16~17은 23명, 18∼19 는 35명, 20~21은 37명, 22~24 는 43명의 자료를 종단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한 발성 및 조음 자료는 총 34,065개였다. 발성 자료의 경우 국내의 독특한 발성인 /ŋ/을 포함한 24개의 발성유형으로 구분하여 한 월령구간의 총 산출량 중 해당 발성의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조음 자료의 경우, 해당음소의 1~24개월 총 산출량 중 한 월령구간 내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는 방법과 3번 이상 해당 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당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이를 출현단계(25~49%), 습득 1단계(50~74%), 습득 2단계(75%이상)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KIVAD의 발성과 조음목록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KIVAD목록은 1~24개월 영아의 발성 및 조음발달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발성 영역의 경우 'KIVAD_V'로 제시하였으며, 조음 영역의 경우 분석방법에 따라 'KIVAD_AA', ‘KIVAD_AB’로 제시하였다. 해당음소의 1~24개월 총 산출량 중 한 월령구간 내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KIVAD_AA'로 제시하였고, 해당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KIVAD_AB'로 제시하였다. 두 가지 목록을 비교하였을 때, 조음이 산출되는 순서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습득 시기는 KIVAD_AA가 KIVAD_AB보다 빠른 특징을 보였다. KIVAD목록은 청각장애 영아의 조기청각언어재활 시, 발성 및 조음 발달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발성 및 조음 목록의 기준선을 제시하여 청각장애 영아의 정상적 발성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청능재활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배경: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발달 (Korean Infant Vocal and Articulate 리스트는 개월 Development, KIVAD) 1~24 국내 영아의 발성 및 조음자료를 분석하여 개월별 발성 및 조음발달 내역을 정리한 목록이다. 이는 청각장애 영아의 조기청각언어재활 시,발성 및 조음발달의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청능재활 프로그램 진행 결과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방법: 1~24개월의 정상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3개월은 24명, 4∼5는 28명, 6∼7은 33명, 8~9 는 34명, 10∼11은 34명, 12~13은 35명, 14~15 는 36명, 16~17은 23명, 18∼19 는 35명, 20~21은 37명, 22~24 는 43명의 자료를 종단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한 발성 및 조음 자료는 총 34,065개였다. 발성 자료의 경우 국내의 독특한 발성인 /ŋ/을 포함한 24개의 발성유형으로 구분하여 한 월령구간의 총 산출량 중 해당 발성의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조음 자료의 경우, 해당음소의 1~24개월 총 산출량 중 한 월령구간 내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는 방법과 3번 이상 해당 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당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이를 출현단계(25~49%), 습득 1단계(50~74%), 습득 2단계(75%이상)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KIVAD의 발성과 조음목록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KIVAD목록은 1~24개월 영아의 발성 및 조음발달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발성 영역의 경우 'KIVAD_V'로 제시하였으며, 조음 영역의 경우 분석방법에 따라 'KIVAD_AA', ‘KIVAD_AB’로 제시하였다. 해당음소의 1~24개월 총 산출량 중 한 월령구간 내 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KIVAD_AA'로 제시하였고, 해당음소를 바르게 조음한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여 'KIVAD_AB'로 제시하였다. 두 가지 목록을 비교하였을 때, 조음이 산출되는 순서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습득 시기는 KIVAD_AA가 KIVAD_AB보다 빠른 특징을 보였다. KIVAD목록은 청각장애 영아의 조기청각언어재활 시, 발성 및 조음 발달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발성 및 조음 목록의 기준선을 제시하여 청각장애 영아의 정상적 발성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청능재활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Infant Vocal & Articulatory Development (KIVAD) index for setting a baseline and goals for articulations and vocalization in the infant’s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24 normal hearing infants at 1~3 month age group, 28 at 4~5, 33 at 6~7, 34 at 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Infant Vocal & Articulatory Development (KIVAD) index for setting a baseline and goals for articulations and vocalization in the infant’s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24 normal hearing infants at 1~3 month age group, 28 at 4~5, 33 at 6~7, 34 at 8~9, 34 at 10~11, 35 at 12~13, 36 at 14~15, 23 at 16~17, 35 at 18~19, 37 at 20~21, and 43 at 22~24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videotaped and analysed their 34,065 vocalizations and articulations. The vocalization samples were analyzed based on 24 types of vocalization included Korean unique vocalization /ŋ/. Out of all kinds of vocalization, a certain vocalization production numbers were calculated and showed the ratio in percentage. The articulation samples were analyzed based on 17 vowels, 18 initial consonants and 7 final consonants. In analysis of articulation, two analysis methods were used. One was the proportion in percentage of total production for a certain month period of each articulation, The other was the aquisition age analyzed by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who produced the certain articulation more than three times, classifying emerging level(25~49%), acquisition level 1(50~74%), acquisition level 2(75% and over). Based on these analyses, KIVAD was composed. KIVAD list was parent report checklist to determine 1~24 infants' vocal and articulatory development. Vocal developmental section was presented at 'KIVAD_V' and articulatory developmental section was presented at 'KIVAD_AA' and 'KIVAD_AB'. KIVAD_AA by the proportion in percentage of total production of each articulation at a certain month period and KIVAD_AB by the aquisition age analyzed by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who produced a certain articulation. Developmental sequence of two forms was similar but acquisition ages of the KIVAD_AA were faster than the acquisition ages of the KIVAD_AB. KIVAD can be utilized to determine an infant’s vocalization and articulation stage and be useful for setting a goal in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Infant Vocal & Articulatory Development (KIVAD) index for setting a baseline and goals for articulations and vocalization in the infant’s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24 normal hearing infants at 1~3 month age group, 28 at 4~5, 33 at 6~7, 34 at 8~9, 34 at 10~11, 35 at 12~13, 36 at 14~15, 23 at 16~17, 35 at 18~19, 37 at 20~21, and 43 at 22~24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videotaped and analysed their 34,065 vocalizations and articulations. The vocalization samples were analyzed based on 24 types of vocalization included Korean unique vocalization /ŋ/. Out of all kinds of vocalization, a certain vocalization production numbers were calculated and showed the ratio in percentage. The articulation samples were analyzed based on 17 vowels, 18 initial consonants and 7 final consonants. In analysis of articulation, two analysis methods were used. One was the proportion in percentage of total production for a certain month period of each articulation, The other was the aquisition age analyzed by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who produced the certain articulation more than three times, classifying emerging level(25~49%), acquisition level 1(50~74%), acquisition level 2(75% and over). Based on these analyses, KIVAD was composed. KIVAD list was parent report checklist to determine 1~24 infants' vocal and articulatory development. Vocal developmental section was presented at 'KIVAD_V' and articulatory developmental section was presented at 'KIVAD_AA' and 'KIVAD_AB'. KIVAD_AA by the proportion in percentage of total production of each articulation at a certain month period and KIVAD_AB by the aquisition age analyzed by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who produced a certain articulation. Developmental sequence of two forms was similar but acquisition ages of the KIVAD_AA were faster than the acquisition ages of the KIVAD_AB. KIVAD can be utilized to determine an infant’s vocalization and articulation stage and be useful for setting a goal in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