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인간 삶의 구체적 모습을 담은 회화인 ‘풍속화’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 작품 속에 표현된 일상성의 양상을 대표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선시대 풍속화에서는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 작품과 현대 한국회화에서는 최석운, 고찬규, 이동기의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 회화사에서 일상성이 부각된 특수한 두 시기의 회화들 간에 유의미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접근하여, 한국 회화에서 일상성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풍속화를 기본으로 현대 회화로 이어지는 일상성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은 인간과 그 주변의 생활상을 표현하며 삶의 의미와 인간의 조건을 탐구해왔다. 조선 후기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에 나타난 일상성은 그 구체적 양상은 다르지만, 각각 중세에서 근대, 근대에서 현대로의 이행시기에서, 국가적 위기 이후 뚜렷한 민족적 ...
본 연구에서는 인간 삶의 구체적 모습을 담은 회화인 ‘풍속화’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 작품 속에 표현된 일상성의 양상을 대표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선시대 풍속화에서는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 작품과 현대 한국회화에서는 최석운, 고찬규, 이동기의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 회화사에서 일상성이 부각된 특수한 두 시기의 회화들 간에 유의미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접근하여, 한국 회화에서 일상성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풍속화를 기본으로 현대 회화로 이어지는 일상성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은 인간과 그 주변의 생활상을 표현하며 삶의 의미와 인간의 조건을 탐구해왔다. 조선 후기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에 나타난 일상성은 그 구체적 양상은 다르지만, 각각 중세에서 근대, 근대에서 현대로의 이행시기에서, 국가적 위기 이후 뚜렷한 민족적 자아의식과 사실정신이 발현되면서 삶 주변의 소재에 관심을 가지고 그 구체적 모습을 작품에 주요하게 드러내었다는 발생 배경상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선시대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로 구분하여 선정한 개별 작가의 작품 속에서 일상이 어떻게 반영되고 표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와 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개별 작가의 조형 언어에 따라 일상을 해석하고, 반추해낸 결과로서 작품에 드러난 일상성 표현에는 차이점이 있었다. 최석운의 작품에서 일상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묵묵히 살아내며 그 속에서의 구체적 체험과 깨달음이 형상화 된 것으로, 인간 삶에 대한 그의 애정에서 비롯한 자연스러움이 돋보인다. 그의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풍속화와 유사한 관점에서 현대인의 통속적인 일상이 부각된다. 특히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익살과 해학이라는 은유적인 방법으로 풍자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풍속화와 유사하였다. 최석운은 이를 위해 조선시대 풍속화에서 보여지는 원형 구도를 활용하거나, 조선시대 풍속화의 구성과 내용을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고찬규의 작품에 표현된 일상성은 현대 산업사회의 도시적 특징을 반영한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일상의 배경인 삶의 공간이 변화하면서 그에 따른 도시적, 자본주의적 특징이 부각되어 나타난다. 김홍도, 김득신 등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노동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작품 속 인물들은 일하는 즐거움이나 여유가 아닌 고달프고 피폐한 모습이 부각되었다. 또한 색채 사용에서도 신윤복 작품 속 인물의 옷차림과 배경에서 드러나는 도회시정의 화려하고 향락적인 분위기와는 달리 고찬규 작품의 배경은 한결 같이 무채색으로 설정되어 비근하고 고독한 분위기로 인식된다. 그러나 작품 속 인물들의 표정과 자세를 중심으로 인간 존재의 부각을 통해 일상성을 드러내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이동기의 작품에서는 동시대의 대중적 이미지들이 수용되어 보다 다양한 층위에서 동시대의 일상을 환기시킨다. 이동기의 작품에서 다루는 일상의 대상은 주로 동시대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고 보여지는 대중문화 이미지들로, 인간의 구체적 삶의 모습 뿐 아니라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이미지들을 총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동기는 기호가 난무하고, 원본과 출처가 구분되지 않는 다양한 이미지들에 내포된 다원적 가치의 대립과 절충을 포괄하며, 동시대의 일상적 이미지들을 조합하고, 해체하고, 병치한 작품을 통해 이미지로서의 또다른 차원의 일상을 구성해 보여줌으로써 관람자들이 자신의 환경이나 자신의 삶, 자신의 사고, 사상 등 즉 자신의 개별적인 일상을 텍스트로 하여 읽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회화에서 표현되는 ‘일상성’의 다양한 모습을 탐구할 수 있었다. 주어진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환경 등에 따라 일상에 대한 해석과 표현은 다양하고 개성적이었다. 그러나 일상은 작품에 어떤 형태로든 반영되는 예술의 근거이자 원천이며, 작품을 통해 새롭게 생산된 가치들은 우리의 삶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품 속 일상성의 의미를 읽어내고 미술에서 일상성의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삶의 구체적 모습을 담은 회화인 ‘풍속화’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 작품 속에 표현된 일상성의 양상을 대표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선시대 풍속화에서는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 작품과 현대 한국회화에서는 최석운, 고찬규, 이동기의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 회화사에서 일상성이 부각된 특수한 두 시기의 회화들 간에 유의미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접근하여, 한국 회화에서 일상성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풍속화를 기본으로 현대 회화로 이어지는 일상성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은 인간과 그 주변의 생활상을 표현하며 삶의 의미와 인간의 조건을 탐구해왔다. 조선 후기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에 나타난 일상성은 그 구체적 양상은 다르지만, 각각 중세에서 근대, 근대에서 현대로의 이행시기에서, 국가적 위기 이후 뚜렷한 민족적 자아의식과 사실정신이 발현되면서 삶 주변의 소재에 관심을 가지고 그 구체적 모습을 작품에 주요하게 드러내었다는 발생 배경상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선시대 풍속화와 현대 한국회화로 구분하여 선정한 개별 작가의 작품 속에서 일상이 어떻게 반영되고 표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와 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개별 작가의 조형 언어에 따라 일상을 해석하고, 반추해낸 결과로서 작품에 드러난 일상성 표현에는 차이점이 있었다. 최석운의 작품에서 일상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묵묵히 살아내며 그 속에서의 구체적 체험과 깨달음이 형상화 된 것으로, 인간 삶에 대한 그의 애정에서 비롯한 자연스러움이 돋보인다. 그의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풍속화와 유사한 관점에서 현대인의 통속적인 일상이 부각된다. 특히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익살과 해학이라는 은유적인 방법으로 풍자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풍속화와 유사하였다. 최석운은 이를 위해 조선시대 풍속화에서 보여지는 원형 구도를 활용하거나, 조선시대 풍속화의 구성과 내용을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고찬규의 작품에 표현된 일상성은 현대 산업사회의 도시적 특징을 반영한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일상의 배경인 삶의 공간이 변화하면서 그에 따른 도시적, 자본주의적 특징이 부각되어 나타난다. 김홍도, 김득신 등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노동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작품 속 인물들은 일하는 즐거움이나 여유가 아닌 고달프고 피폐한 모습이 부각되었다. 또한 색채 사용에서도 신윤복 작품 속 인물의 옷차림과 배경에서 드러나는 도회시정의 화려하고 향락적인 분위기와는 달리 고찬규 작품의 배경은 한결 같이 무채색으로 설정되어 비근하고 고독한 분위기로 인식된다. 그러나 작품 속 인물들의 표정과 자세를 중심으로 인간 존재의 부각을 통해 일상성을 드러내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이동기의 작품에서는 동시대의 대중적 이미지들이 수용되어 보다 다양한 층위에서 동시대의 일상을 환기시킨다. 이동기의 작품에서 다루는 일상의 대상은 주로 동시대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고 보여지는 대중문화 이미지들로, 인간의 구체적 삶의 모습 뿐 아니라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이미지들을 총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동기는 기호가 난무하고, 원본과 출처가 구분되지 않는 다양한 이미지들에 내포된 다원적 가치의 대립과 절충을 포괄하며, 동시대의 일상적 이미지들을 조합하고, 해체하고, 병치한 작품을 통해 이미지로서의 또다른 차원의 일상을 구성해 보여줌으로써 관람자들이 자신의 환경이나 자신의 삶, 자신의 사고, 사상 등 즉 자신의 개별적인 일상을 텍스트로 하여 읽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회화에서 표현되는 ‘일상성’의 다양한 모습을 탐구할 수 있었다. 주어진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환경 등에 따라 일상에 대한 해석과 표현은 다양하고 개성적이었다. 그러나 일상은 작품에 어떤 형태로든 반영되는 예술의 근거이자 원천이며, 작품을 통해 새롭게 생산된 가치들은 우리의 삶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품 속 일상성의 의미를 읽어내고 미술에서 일상성의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s on ‘genre painting’, a painting depicting scenes of human life, to examine the aspects of everyday-ness expressed in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n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Specifically, the works of Kim Hong-do, Shin Yun-bok,...
This study focuses on ‘genre painting’, a painting depicting scenes of human life, to examine the aspects of everyday-ness expressed in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n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Specifically, the works of Kim Hong-do, Shin Yun-bok, and Kim Deuk-shin were used to analyze everyday-ness for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for modern Korean paintings, the works of Choi Seok-un, Koh Chan-gyu and Lee Dong-gi were analyzed.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everyday-ness in Korean art painting by approaching the issue of whether a significant connection can be found between paintings of two specific periods in Korean art history highlighting everyday-ness. First, the trend of everyday-ness leading to modern paintings based on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From prehistoric time to the Joseon era and to the present, Korean art has been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 conditions by expressing the lives of people and their surroundings. Although everyday-nesse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n paintings are different, there are similarities to be found in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Artists from both eras were starting to take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s and they were exposing its specific features in their works by expressing manifestation of clear national consciousness and spirit of pursuing realness after national crisis. Next, the researcher analyzed how daily life is reflected and expressed in the works of individual artists in the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 and modern Korean painting. Everyday-ness wa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wo different time periods and each artist’s formative language, and thi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daily life. In Choi Seok-un’s works, everyday-ness is embodied by people’s specific experience and enlightenment from them living their own given lives and it shows naturalness deriving from his affection for human lives. In his work, the common daily life of modern people is highlighted from a point of view similar to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rather than directly expressing the criticism of reality, it is similar to the genre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satirized by metaphorical method of humor and wit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For this purpose, Choi used a circular composition found in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or reinterpreted their contents or compositions. The everyday-ness expressed in the works of Koh Chan-gyu reflects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As time goes by, the space of life, which is the background of everyday life, changes, and the urban and capitalistic features of it are highlighted. In contrast to how labor is portrayed in the works of Kim Hong-do and Kim Deuk-shin, the characters in Koh’s works are not seen to be working with pleasure but rather worn out and exhausted. Also, with respect to the use of color, unlike Shin Yoon-bok who used colorful and pleasant atmosphere of town life and feeling revealed in characters’ attire and background, Koh used achromatic colors giving it a plain and lonely atmosphere in background. However, it is common that they reveal everyday-ness through the incidence of human existence centering on expression and attitude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s. In Lee Dong-gi’s works, contemporary popular images are accepted, which awakens contemporary daily life on various levels. The everyday objects that are covered in the works of Lee are mostly popular culture images produced and seen through contemporary media, and they reflect the images that encompass not only the concrete life of human but also the culture as a whole. Lee embraces the opposition and compromise of pluralistic values contained in various images full of symbols and in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 and has viewers read their environment, lives, thoughts and daily lives as a text by combining, disassembling and juxtaposing contemporary daily images to construct another dimension of daily life as an image . As mentioned above, various aspects of 'everyday-ness' expressed in Korean paintings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As a human being in a given age,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everyday life were diverse and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social environment. However, everyday life is the basis and source of art reflected in any form of art, and newly produced values through these works awaken our l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attempt to read the meaning of everyday-ness in the works and to re-recognize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art.
This study focuses on ‘genre painting’, a painting depicting scenes of human life, to examine the aspects of everyday-ness expressed in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n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Specifically, the works of Kim Hong-do, Shin Yun-bok, and Kim Deuk-shin were used to analyze everyday-ness for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for modern Korean paintings, the works of Choi Seok-un, Koh Chan-gyu and Lee Dong-gi were analyzed.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everyday-ness in Korean art painting by approaching the issue of whether a significant connection can be found between paintings of two specific periods in Korean art history highlighting everyday-ness. First, the trend of everyday-ness leading to modern paintings based on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From prehistoric time to the Joseon era and to the present, Korean art has been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 conditions by expressing the lives of people and their surroundings. Although everyday-nesse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n paintings are different, there are similarities to be found in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Artists from both eras were starting to take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s and they were exposing its specific features in their works by expressing manifestation of clear national consciousness and spirit of pursuing realness after national crisis. Next, the researcher analyzed how daily life is reflected and expressed in the works of individual artists in the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 and modern Korean painting. Everyday-ness wa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wo different time periods and each artist’s formative language, and thi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daily life. In Choi Seok-un’s works, everyday-ness is embodied by people’s specific experience and enlightenment from them living their own given lives and it shows naturalness deriving from his affection for human lives. In his work, the common daily life of modern people is highlighted from a point of view similar to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rather than directly expressing the criticism of reality, it is similar to the genre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at it satirized by metaphorical method of humor and wit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For this purpose, Choi used a circular composition found in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or reinterpreted their contents or compositions. The everyday-ness expressed in the works of Koh Chan-gyu reflects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As time goes by, the space of life, which is the background of everyday life, changes, and the urban and capitalistic features of it are highlighted. In contrast to how labor is portrayed in the works of Kim Hong-do and Kim Deuk-shin, the characters in Koh’s works are not seen to be working with pleasure but rather worn out and exhausted. Also, with respect to the use of color, unlike Shin Yoon-bok who used colorful and pleasant atmosphere of town life and feeling revealed in characters’ attire and background, Koh used achromatic colors giving it a plain and lonely atmosphere in background. However, it is common that they reveal everyday-ness through the incidence of human existence centering on expression and attitude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s. In Lee Dong-gi’s works, contemporary popular images are accepted, which awakens contemporary daily life on various levels. The everyday objects that are covered in the works of Lee are mostly popular culture images produced and seen through contemporary media, and they reflect the images that encompass not only the concrete life of human but also the culture as a whole. Lee embraces the opposition and compromise of pluralistic values contained in various images full of symbols and in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 and has viewers read their environment, lives, thoughts and daily lives as a text by combining, disassembling and juxtaposing contemporary daily images to construct another dimension of daily life as an image . As mentioned above, various aspects of 'everyday-ness' expressed in Korean paintings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As a human being in a given age,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everyday life were diverse and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social environment. However, everyday life is the basis and source of art reflected in any form of art, and newly produced values through these works awaken our l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attempt to read the meaning of everyday-ness in the works and to re-recognize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ar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