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에 병설로 설립된 햇살유치원에서 만5세 나무반 유아들 26명과 나무반 교사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 약 12개월 간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신체활동 수업 녹화,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유아 및 동료 교사와의 면담 녹음, 교사 저널과 현장일지 작성, 수업 계획안 등의 관련 문서를 다양하게 수집하는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에 병설로 설립된 햇살유치원에서 만5세 나무반 유아들 26명과 나무반 교사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 약 12개월 간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신체활동 수업 녹화,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유아 및 동료 교사와의 면담 녹음, 교사 저널과 현장일지 작성, 수업 계획안 등의 관련 문서를 다양하게 수집하는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개방 코딩-범주화-범주 확인의 3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하여 김정한의 7단계 자기장학 과정을 참고하여 자기장학을 실시하였다. 자기장학 과정의 1단계부터 5단계까지는 예비 연구 단계에서 실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자신의 신체활동 운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기장학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실행 단계에서 수립된 자기장학 계획을 바탕으로 자기장학을 실행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하는 6-7단계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였다. 둘째, 교사는 자기장학을 통해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자기반성을 하게 되었고, 나아가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역량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연구 초기에 교사는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지식이 부족하여 교사 혼자만의 신체활동을 운영하는 딜레마를 겪고 있었다. 자기장학을 반복하면서 교사는 점차 신체활동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게 되었고 유아와 교사가 함께 하는 신체활동을 운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에 병설로 설립된 햇살유치원에서 만5세 나무반 유아들 26명과 나무반 교사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 약 12개월 간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신체활동 수업 녹화,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유아 및 동료 교사와의 면담 녹음, 교사 저널과 현장일지 작성, 수업 계획안 등의 관련 문서를 다양하게 수집하는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개방 코딩-범주화-범주 확인의 3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신체활동 운영 개선을 위하여 김정한의 7단계 자기장학 과정을 참고하여 자기장학을 실시하였다. 자기장학 과정의 1단계부터 5단계까지는 예비 연구 단계에서 실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자신의 신체활동 운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기장학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실행 단계에서 수립된 자기장학 계획을 바탕으로 자기장학을 실행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하는 6-7단계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였다. 둘째, 교사는 자기장학을 통해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자기반성을 하게 되었고, 나아가 신체활동 운영에 대한 역량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연구 초기에 교사는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지식이 부족하여 교사 혼자만의 신체활동을 운영하는 딜레마를 겪고 있었다. 자기장학을 반복하면서 교사는 점차 신체활동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게 되었고 유아와 교사가 함께 하는 신체활동을 운영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was the proc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was the proc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2. What was the mean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6 children of the 5 attending a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S city, Gyeonggi-do for about 12 months from May 1st, 2016 to April 30th, 2017. And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included one homeroom teacher of the Tree class who was also a researcher.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video of physical activity and interview of children and fellow teacher for teacher's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Also writing a teacher's journal and daily record and collecting of documents were collected.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udy, the method of triangulation was used by confirming the results of study using a variety of data, method and theories. The data analysis was done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collection, an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used. It consisted of three steps: open coding - categorization - category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applied her self-supervision by referring to Kim Jung han's 7-step self-supervision course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Steps 1 to 5 of the self-supervision process were carried out in the preliminary study phase. In this process, the teacher analyzed and evaluated he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and built a plan of self-supervision based on it. In addition, the self-supervis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elf-supervision plan established during the execution stage of the research, and the self-supervision was repeatedly performed. Second, the teacher was self-refreshed about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through self-supervision and the capacity fo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was changed positively. In detail,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the teacher was experiencing a dilemma of running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teacher alone due to lack of knowledge fo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By repeating self-supervision, the teacher gradually formed practical knowledge about physical activity and operated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was the proc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2. What was the mean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6 children of the 5 attending a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S city, Gyeonggi-do for about 12 months from May 1st, 2016 to April 30th, 2017. And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included one homeroom teacher of the Tree class who was also a researcher.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video of physical activity and interview of children and fellow teacher for teacher's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Also writing a teacher's journal and daily record and collecting of documents were collected.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udy, the method of triangulation was used by confirming the results of study using a variety of data, method and theories. The data analysis was done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collection, an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used. It consisted of three steps: open coding - categorization - category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applied her self-supervision by referring to Kim Jung han's 7-step self-supervision course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Steps 1 to 5 of the self-supervision process were carried out in the preliminary study phase. In this process, the teacher analyzed and evaluated he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and built a plan of self-supervision based on it. In addition, the self-supervis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elf-supervision plan established during the execution stage of the research, and the self-supervision was repeatedly performed. Second, the teacher was self-refreshed about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through self-supervision and the capacity fo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was changed positively. In detail,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the teacher was experiencing a dilemma of running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teacher alone due to lack of knowledge for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By repeating self-supervision, the teacher gradually formed practical knowledge about physical activity and operated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