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문화적 수준이 비슷한 M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28명(실험집단)과 W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28명(비교집단)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Mayer와 Salovey(1997)가 개발한 도구를 이병래(1997)가 수정, 번안한 정서지능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유형별 특성을 근거로 이춘희(2008)가 구안한 관찰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문화적 수준이 비슷한 M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28명(실험집단)과 W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28명(비교집단)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Mayer와 Salovey(1997)가 개발한 도구를 이병래(1997)가 수정, 번안한 정서지능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유형별 특성을 근거로 이춘희(2008)가 구안한 관찰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고, 실험처치는 9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별 활동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와 방법으로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의 유아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의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에 대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 전체와 하위변인인 자기인식과 표현,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 전체와 하위변인인 규범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가치부여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교육활동이 가치부여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를 제외한 유아들의 배려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공감교육활동을 실시 할 때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문화적 수준이 비슷한 M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28명(실험집단)과 W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28명(비교집단)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Mayer와 Salovey(1997)가 개발한 도구를 이병래(1997)가 수정, 번안한 정서지능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ipman(200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유형별 특성을 근거로 이춘희(2008)가 구안한 관찰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고, 실험처치는 9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별 활동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와 방법으로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의 유아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의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에 대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 전체와 하위변인인 자기인식과 표현,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 유아의 배려적 사고 능력 전체와 하위변인인 규범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가치부여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교육활동이 가치부여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를 제외한 유아들의 배려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공감교육활동을 실시 할 때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