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국내 민간투자사업의 이해관계자 별 만족도를 고려한 통합 성과평가지표 개발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s considering stakeholders in Korea원문보기
1994년 국내에 도입된 민간투자사업은 SOC 관련 정부재정을 줄이고,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간투자사업의 규모가 대규모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민간투자사업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대상이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대규모의 공공건설사업의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도입되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크게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로 나눌 수 있다.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는 시설을 직접 이용하고 관리하는 사용자의 의견 및 만족도를 수렴한다는 데에서 사업수행성과를 직접적으로 가늠하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문항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향후 프로젝트의 전략 및 운영에 이바지한다는 사후평가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종합평가는 비교적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평가 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합평가가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확하게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민간투자사업이 타 사업과 다른 특수성이 존재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추진될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민간투자사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하고, 유사 프로젝트 관련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사후평가 지표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향후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민간투자사업의 핵심성과요인을 기반으로 민간투자사업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후 통합 성과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투자사업의 성과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
1994년 국내에 도입된 민간투자사업은 SOC 관련 정부재정을 줄이고,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간투자사업의 규모가 대규모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민간투자사업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대상이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대규모의 공공건설사업의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도입되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크게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로 나눌 수 있다.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는 시설을 직접 이용하고 관리하는 사용자의 의견 및 만족도를 수렴한다는 데에서 사업수행성과를 직접적으로 가늠하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문항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향후 프로젝트의 전략 및 운영에 이바지한다는 사후평가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종합평가는 비교적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평가 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합평가가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확하게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민간투자사업이 타 사업과 다른 특수성이 존재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추진될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민간투자사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하고, 유사 프로젝트 관련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사후평가 지표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향후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민간투자사업의 핵심성과요인을 기반으로 민간투자사업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후 통합 성과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투자사업의 성과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민간투자사업 핵심성과요인(KPIs)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성과요인은 ‘목표’, ‘리스크/협상’, ‘입찰’, ‘계약’, ‘금융’, ‘시공’, ‘운영/유지관리’, ‘분석/평가’, ‘사업환경’이었다. 둘째, 민간투자사업 전문가 그룹을 조직하고,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요인 별 설문항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성과요인 별 설문항목은 총 38개로 구성되었다. 셋째, 민간투자사업의 이해관계자의 Needs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와 성공항목을 정의하였다. 이 후, 핵심성과요인과 성공항목을 매칭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와 핵심성과요인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르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계획/입찰’ 단계에서는 발주청이 0.7, 사업시행자가 0.3의 중요도를, ‘계약/시공’ 단계에서는 발주청이 0.4, 사업시행자가 0.6의 중요도를, ‘운영/유지관리’ 단계에서는 사업시행자이 0.6, 이용자가 0.4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계획/입찰’ 단계에서는 KPI_1이 0.4, KPI_2가 0.4, KPI_3이 0.2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계약/시공’ 단계에서는 KPI_4가 0.4, KPI_5가 0.3, KPI_6이 0.3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운영/유지관리’ 단계에서는 KPI_7이 0.6, KPI_8이 0.2, KPI_9가 0.2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더불어 통합 성과평가지표로서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평가항목 간 균형을 고려한 평가방법인 평균 표준편차일치법으로 평가점수를 보정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통합 성과평가지표를 실제사례에 적용하고, 실제 프로젝트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와 비교함으로써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설공사 사후 종합평가보다 이용자 만족도 평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성과평가지표를 분석해보면, 민간투자사업 핵심성과요인 별 평가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떠한 요인이 해당 프로젝트의 장점이며, 단점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민간투자사업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가 평가한 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유사 프로젝트를 수행할 시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을 운영 및 관리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성과를 품질, 시간, 비용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으므로, 향후 프로젝트 수행 시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1994년 국내에 도입된 민간투자사업은 SOC 관련 정부재정을 줄이고,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간투자사업의 규모가 대규모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민간투자사업은 건설공사 사후평가 대상이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대규모의 공공건설사업의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도입되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크게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로 나눌 수 있다.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는 시설을 직접 이용하고 관리하는 사용자의 의견 및 만족도를 수렴한다는 데에서 사업수행성과를 직접적으로 가늠하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문항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향후 프로젝트의 전략 및 운영에 이바지한다는 사후평가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종합평가는 비교적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평가 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와 종합평가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합평가가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확하게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민간투자사업이 타 사업과 다른 특수성이 존재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추진될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민간투자사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하고, 유사 프로젝트 관련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사후평가 지표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향후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민간투자사업의 핵심성과요인을 기반으로 민간투자사업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후 통합 성과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투자사업의 성과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민간투자사업 핵심성과요인(KPIs)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성과요인은 ‘목표’, ‘리스크/협상’, ‘입찰’, ‘계약’, ‘금융’, ‘시공’, ‘운영/유지관리’, ‘분석/평가’, ‘사업환경’이었다. 둘째, 민간투자사업 전문가 그룹을 조직하고,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요인 별 설문항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성과요인 별 설문항목은 총 38개로 구성되었다. 셋째, 민간투자사업의 이해관계자의 Needs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와 성공항목을 정의하였다. 이 후, 핵심성과요인과 성공항목을 매칭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와 핵심성과요인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르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계획/입찰’ 단계에서는 발주청이 0.7, 사업시행자가 0.3의 중요도를, ‘계약/시공’ 단계에서는 발주청이 0.4, 사업시행자가 0.6의 중요도를, ‘운영/유지관리’ 단계에서는 사업시행자이 0.6, 이용자가 0.4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계획/입찰’ 단계에서는 KPI_1이 0.4, KPI_2가 0.4, KPI_3이 0.2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계약/시공’ 단계에서는 KPI_4가 0.4, KPI_5가 0.3, KPI_6이 0.3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운영/유지관리’ 단계에서는 KPI_7이 0.6, KPI_8이 0.2, KPI_9가 0.2의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더불어 통합 성과평가지표로서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평가항목 간 균형을 고려한 평가방법인 평균 표준편차 일치법으로 평가점수를 보정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통합 성과평가지표를 실제사례에 적용하고, 실제 프로젝트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와 비교함으로써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설공사 사후 종합평가보다 이용자 만족도 평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성과평가지표를 분석해보면, 민간투자사업 핵심성과요인 별 평가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떠한 요인이 해당 프로젝트의 장점이며, 단점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민간투자사업 단계 별 주요 이해관계자가 평가한 점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유사 프로젝트를 수행할 시 보다 효율적으로 사업을 운영 및 관리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성과를 품질, 시간, 비용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으므로, 향후 프로젝트 수행 시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k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which were promoted from 1994 have been conducted activitly to reduce finance of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PPP projects are usually included in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because a scale of the projects is large. The ex-post evaluation...
Publick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which were promoted from 1994 have been conducted activitly to reduce finance of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PPP projects are usually included in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because a scale of the projects is large. The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was imposed to achieve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hen similar projects were pursed by evaluating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projects. The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can be divided into a satisfaction survey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e satisfaction survey is important performance index which can directly measure performance of project because it converges satisfaction of people who use and manage the facilit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strategy and operation of the future projects, which is original goal of the ex-post evaluation as questionnaire items are not specific. On the other h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can get information which help carry out project efficiently because the evaluation has quantitative and specific evaluation items. Bu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satisfaction survey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 the PPP projects, which means it is difficult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to function as the performance index. This is because PPP projec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projects and conflicts exist among various stakeholders in PPP pro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x-post evaluation index which can consider th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and characteristics of PPP projects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similar project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that can reflect th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based on key performance index for solving ex-post evaluation’s problem in PPP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to achieve this goal as follow. First, the performance indexes were examined to derive the key performance indexes by the precedent studies. Based on thi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key performance indexes(KPIs) of PPP projects. KPI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Goal’, ‘Risk/Negotiation’, ‘Bidding’,‘Contract’, ‘Finance’, ‘Construction’, ‘Operation/Maintenance’, ‘Analysis/Evaluation’and ‘Business Environment’. Second, the author organized a group of PPP project’s experts and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by KPIs that can measure the performance of projects using Delphi technique.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KPIs proposed in this paper are consisted of 38 items. Third,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stakeholders in PPP projects, major stakeholders and success items were defined at project process. Afterward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atch KPIs and success items. Fourth, AH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flect the effect of key stakeholders and KPIs on projec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valuation score was corrected by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atching method which can consider the balance between evaluation items to emphasize the meaning as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ifth, the developed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was applied to actual projects and compared with actual project users' satisfaction survey. As a result,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ex-post evaluation. If the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s analyzed, it is possible to grasp that which factors are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 of the PPP projects. Also, this index will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imilar projects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core of the major stakeholders. In addition, performance can be segmented into quality, time, and cost, so that a more specific strategy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due to time and cost limitations, this paper applied only three projects. Therefore, in order to more objectively verify the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and supplement the project to a larger number of projects. Also, The importance of stakeholders and KPIs will change depending o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eight of stakeholders and KPIs according to projects while this paper considered fixed weight.
Publick Private Partnership(PPP) projects which were promoted from 1994 have been conducted activitly to reduce finance of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PPP projects are usually included in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because a scale of the projects is large. The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was imposed to achieve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hen similar projects were pursed by evaluating performance of large construction projects. The ex-post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s can be divided into a satisfaction survey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e satisfaction survey is important performance index which can directly measure performance of project because it converges satisfaction of people who use and manage the facilit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strategy and operation of the future projects, which is original goal of the ex-post evaluation as questionnaire items are not specific. On the other h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can get information which help carry out project efficiently because the evaluation has quantitative and specific evaluation items. Bu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satisfaction survey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 the PPP projects, which means it is difficult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to function as the performance index. This is because PPP projec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projects and conflicts exist among various stakeholders in PPP pro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x-post evaluation index which can consider th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and characteristics of PPP projects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similar project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that can reflect th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based on key performance index for solving ex-post evaluation’s problem in PPP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to achieve this goal as follow. First, the performance indexes were examined to derive the key performance indexes by the precedent studies. Based on thi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key performance indexes(KPIs) of PPP projects. KPI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Goal’, ‘Risk/Negotiation’, ‘Bidding’,‘Contract’, ‘Finance’, ‘Construction’, ‘Operation/Maintenance’, ‘Analysis/Evaluation’and ‘Business Environment’. Second, the author organized a group of PPP project’s experts and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by KPIs that can measure the performance of projects using Delphi technique.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KPIs proposed in this paper are consisted of 38 items. Third,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stakeholders in PPP projects, major stakeholders and success items were defined at project process. Afterward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atch KPIs and success items. Fourth, AH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flect the effect of key stakeholders and KPIs on projec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valuation score was corrected by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atching method which can consider the balance between evaluation items to emphasize the meaning as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ifth, the developed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was applied to actual projects and compared with actual project users' satisfaction survey. As a result, it can be verifi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ex-post evaluation. If the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s analyzed, it is possible to grasp that which factors are the advantages or disadvantage of the PPP projects. Also, this index will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imilar projects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core of the major stakeholders. In addition, performance can be segmented into quality, time, and cost, so that a more specific strategy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due to time and cost limitations, this paper applied only three projects. Therefore, in order to more objectively verify the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and supplement the project to a larger number of projects. Also, The importance of stakeholders and KPIs will change depending o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eight of stakeholders and KPIs according to projects while this paper considered fixed weigh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