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래에 적합한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STEAM 교육 정책의 기본계획이 마무리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되어야 할 시점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STEAM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그 밖에 교사 및 학생의 인식 조사, 방안 및 방향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STEAM 교육 정책에 대한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의 4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STEAM 교육 정책 집행과정 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정책, 정책집행과정, 집행과정의 변인, 정책집행과정 분석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의 및 이론, STEAM 교육 정책 집행을 위한 지원정책 및 자원을 분석해 보았다. 셋째, STEAM 교육정책의 집행과정을 김재웅(2007a)의 정책집행모형을 수정·보완한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여 각 변인이 STEAM 교육 정책집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STEAM 교육 정책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정책자체 요인에서는 정책 목표의 명확성 부족 및 목표 변화에 따른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책집행 수단 및 자원의 확보와 질적 향상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요인에서는 사업집행구조 변화의 필요성, 집행조직 명 및 조직 업무 개편, 업무담당자 충원, 정책에 대한 집행담당자의 인식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정책대상자 요인에서는 STEAM 교육정책에 대한 집행 대상자들의 의사소통 관련, 자원 관련, 정책 관련, 행위 관련, 권위 관련 불응 요인들이 존재하며 성공적 집행을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환경요인에서는 사회 각계의 다양한 집단의 공감과 협력, 지속적인 지원정책 홍보, 사회 전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실시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STEAM 교육 정책의 성공적 집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STEAM 교육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및 학자들 간의 합의를 통해 정책집행자와 대상자가 정책집행에 있어 혼선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둘째, ...
본 연구는 미래에 적합한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STEAM 교육 정책의 기본계획이 마무리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되어야 할 시점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STEAM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그 밖에 교사 및 학생의 인식 조사, 방안 및 방향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STEAM 교육 정책에 대한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의 4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STEAM 교육 정책 집행과정 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정책, 정책집행과정, 집행과정의 변인, 정책집행과정 분석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의 및 이론, STEAM 교육 정책 집행을 위한 지원정책 및 자원을 분석해 보았다. 셋째, STEAM 교육정책의 집행과정을 김재웅(2007a)의 정책집행모형을 수정·보완한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여 각 변인이 STEAM 교육 정책집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STEAM 교육 정책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정책자체 요인에서는 정책 목표의 명확성 부족 및 목표 변화에 따른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책집행 수단 및 자원의 확보와 질적 향상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요인에서는 사업집행구조 변화의 필요성, 집행조직 명 및 조직 업무 개편, 업무담당자 충원, 정책에 대한 집행담당자의 인식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정책대상자 요인에서는 STEAM 교육정책에 대한 집행 대상자들의 의사소통 관련, 자원 관련, 정책 관련, 행위 관련, 권위 관련 불응 요인들이 존재하며 성공적 집행을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환경요인에서는 사회 각계의 다양한 집단의 공감과 협력, 지속적인 지원정책 홍보, 사회 전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실시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STEAM 교육 정책의 성공적 집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STEAM 교육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및 학자들 간의 합의를 통해 정책집행자와 대상자가 정책집행에 있어 혼선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둘째, Top-down 식의 정책 진행이 아닌 교사의 의견을 피드백 받아 정책을 수정·보완하는 쌍방향식 정책 진행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업무 주관 부서의 명칭을 목표에 맞게 수정해야 하며 업무과다로 인한 업무 배재 혹은 무관심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업무 개편 혹은 업무 담당자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정책 집행은 최고 결정자에 의해 목표에서부터 자원, 수단, 방법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교육의 고질적 문제에서 탈피하기 위한 장기계획 수립 및 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을 실질적으로 시행하는 대상자들을 유인하기 위한 정책이 부족한 현실이므로 정책을 성공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유인가 있는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STEAM 교육 정책을 학습의 차원을 넘어 일자리, 국가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전략을 세우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그룹을 설치·운영하여 산업계의 지원과 사회 각계각층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래에 적합한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STEAM 교육 정책의 기본계획이 마무리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되어야 할 시점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STEAM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그 밖에 교사 및 학생의 인식 조사, 방안 및 방향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STEAM 교육 정책에 대한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STEAM 교육 정책의 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의 4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STEAM 교육 정책 집행과정 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정책, 정책집행과정, 집행과정의 변인, 정책집행과정 분석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의 및 이론, STEAM 교육 정책 집행을 위한 지원정책 및 자원을 분석해 보았다. 셋째, STEAM 교육정책의 집행과정을 김재웅(2007a)의 정책집행모형을 수정·보완한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여 각 변인이 STEAM 교육 정책집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STEAM 교육 정책집행과정을 정책자체,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정책대상자, 환경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정책자체 요인에서는 정책 목표의 명확성 부족 및 목표 변화에 따른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책집행 수단 및 자원의 확보와 질적 향상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집행조직과 집행담당자 요인에서는 사업집행구조 변화의 필요성, 집행조직 명 및 조직 업무 개편, 업무담당자 충원, 정책에 대한 집행담당자의 인식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정책대상자 요인에서는 STEAM 교육정책에 대한 집행 대상자들의 의사소통 관련, 자원 관련, 정책 관련, 행위 관련, 권위 관련 불응 요인들이 존재하며 성공적 집행을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환경요인에서는 사회 각계의 다양한 집단의 공감과 협력, 지속적인 지원정책 홍보, 사회 전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실시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STEAM 교육 정책의 성공적 집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STEAM 교육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및 학자들 간의 합의를 통해 정책집행자와 대상자가 정책집행에 있어 혼선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둘째, Top-down 식의 정책 진행이 아닌 교사의 의견을 피드백 받아 정책을 수정·보완하는 쌍방향식 정책 진행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업무 주관 부서의 명칭을 목표에 맞게 수정해야 하며 업무과다로 인한 업무 배재 혹은 무관심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업무 개편 혹은 업무 담당자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정책 집행은 최고 결정자에 의해 목표에서부터 자원, 수단, 방법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교육의 고질적 문제에서 탈피하기 위한 장기계획 수립 및 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을 실질적으로 시행하는 대상자들을 유인하기 위한 정책이 부족한 현실이므로 정책을 성공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유인가 있는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STEAM 교육 정책을 학습의 차원을 넘어 일자리, 국가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전략을 세우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그룹을 설치·운영하여 산업계의 지원과 사회 각계각층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