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각적ㆍ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대상자를 선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2004년 6월 29일에서 2015년 1월 30일까지의 서울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반측안면경련으로 미세혈관감압술을 받은 대상자 2,1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조사기록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실수와 백분율 등을 구하였고 대상자의 특성과 수술 후 경련양상간의 관계는 ...
본 연구는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각적ㆍ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대상자를 선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2004년 6월 29일에서 2015년 1월 30일까지의 서울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반측안면경련으로 미세혈관감압술을 받은 대상자 2,1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조사기록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실수와 백분율 등을 구하였고 대상자의 특성과 수술 후 경련양상간의 관계는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using glogit link function(generalized logit model)으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수술 후 경련양상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경로는 R 3.2.2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 예측모형은 8개의 경로로 나타났다. 1) 제 1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유)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2) 제 2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III등급)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3) 제 3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무 또는 알 수 없음)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 제 4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유), 경련위치(좌측)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5) 제 5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유), 경련위치(우측)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6) 제 6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유), 성별(남자)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7) 제 7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유), 성별(여자)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8) 제 8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무 또는 알 수 없음)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을 정확도로 평가한 결과, 정확도는 0.637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 예측모형은 수술 후 대상자를 선별하여 대상자에 따른 관리전략과 맞춤형 교육ㆍ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전문간호실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다각적ㆍ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대상자를 선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2004년 6월 29일에서 2015년 1월 30일까지의 서울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반측안면경련으로 미세혈관감압술을 받은 대상자 2,1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조사기록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서는 실수와 백분율 등을 구하였고 대상자의 특성과 수술 후 경련양상간의 관계는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using glogit link function(generalized logit model)으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수술 후 경련양상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경로는 R 3.2.2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 예측모형은 8개의 경로로 나타났다. 1) 제 1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유)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2) 제 2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III등급)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3) 제 3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무 또는 알 수 없음)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 제 4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유), 경련위치(좌측)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5) 제 5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무), 신경변색(유), 경련위치(우측)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6) 제 6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유), 성별(남자)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7) 제 7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유), 흡연경험(유), 성별(여자)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8) 제 8경로는 수술 후 안면마비(무), 경련 정도(IV등급), 신경의 눌린 정도(무 또는 알 수 없음)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을 정확도로 평가한 결과, 정확도는 0.637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반측안면경련 대상자의 미세혈관감압술 후 경련양상 예측모형은 수술 후 대상자를 선별하여 대상자에 따른 관리전략과 맞춤형 교육ㆍ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전문간호실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spasm pattern of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screening of the patients and the de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spasm pattern of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screening of the patient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March 1, 2016 to June 30, 2016, and the subjects were 2,151 patients who underwent microvascualr decompression for hemifacial spasm in one high-ranking hospital in Seoul from June 29, 2004 to January 30, 2015. The research tool was the record form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and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ostoperative spasm pattern was tested using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using glogit link function (generalized logit model). The path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spasm pattern was constructed by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using R 3.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diction model of postoperative spasm pattern of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was completed with 8 paths. 1) The first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yes) factor. 2) The second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and spasm severity (grade I-III). 3) The third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and nerve discoloration (no or unknown). 4) The four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nerve discoloration (yes), and spasm side (left). 5) The fif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nerve discoloration (yes), and spasm side (right). 6) The six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yes), and gender (male). 7) The seven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yes), and gender (female). 8) The eigh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and nerve indentation (no or unknow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ith accuracy, the accuracy was 0.637. The prediction model on the postoperative spasm pattern i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anagement strategies and personalized education and counsel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after the screening, so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spasm pattern of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screening of the patient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March 1, 2016 to June 30, 2016, and the subjects were 2,151 patients who underwent microvascualr decompression for hemifacial spasm in one high-ranking hospital in Seoul from June 29, 2004 to January 30, 2015. The research tool was the record form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and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ostoperative spasm pattern was tested using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using glogit link function (generalized logit model). The path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spasm pattern was constructed by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using R 3.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diction model of postoperative spasm pattern of the patients with hemifacial spasm was completed with 8 paths. 1) The first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yes) factor. 2) The second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and spasm severity (grade I-III). 3) The third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and nerve discoloration (no or unknown). 4) The four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nerve discoloration (yes), and spasm side (left). 5) The fif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no), nerve discoloration (yes), and spasm side (right). 6) The six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yes), and gender (male). 7) The seven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nerve indentation (yes), smoking experience (yes), and gender (female). 8) The eighth path consisted of postoperative facial palsy (no), spasm severity (grade IV), and nerve indentation (no or unknow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ith accuracy, the accuracy was 0.637. The prediction model on the postoperative spasm pattern i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anagement strategies and personalized education and counsel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after the screening, so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