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혈액암 환자의 퇴원 후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정도와 자가간호 지식 및 가족지지를 파악하고,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 대상자는 인천 광역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혈액암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만 18세 이상의 성인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지은이 2008년 개발한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혜영(2000)이 개발하고 신은영(2002)이 수정 보완한 혈액종양환자의 자가간호 지식 측정도구 중 감염관련 8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태영숙(1986)이 개발한 ...
본 연구는 혈액암 환자의 퇴원 후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정도와 자가간호 지식 및 가족지지를 파악하고,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 대상자는 인천 광역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혈액암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만 18세 이상의 성인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지은이 2008년 개발한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혜영(2000)이 개발하고 신은영(2002)이 수정 보완한 혈액종양환자의 자가간호 지식 측정도구 중 감염관련 8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태영숙(1986)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중 가족지지 8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ost-hoc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enter method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감염예방을 위한 예방행위는 평균 45.98±21.56, 평균평점 3.51±.82이었다. 손씻기, 식이관리, 중심정맥관, 일상생활관리, 구강간호 순으로 평균평점이 높았다. 2.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은 평균 7.09±1.37, 평균평점 .59±.11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가족지지는 평균 26.16±7.44, 평균평점 3.27±.93로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는 진단명, 가정의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가족과 동거여부, 퇴원 전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교육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급성 백혈병군이 다른 진단명군보다, 경제상태가 상인 군이 하인 군보다, 배우자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가족과 함께 사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 보다, 교육경험이 있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과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3). 즉, 자가간호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9) 즉,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혈액암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정의 경제상태, 자가간호 지식 순이었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자가간호 지식 (β=.45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정의 경제 상태(β=.177, p=.02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두 변수에 의한 자가간호 행위의 총 설명력은 39.3%였다.
결론적으로, 혈액암 환자들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정도와 가족지지 정도는 낮았고, 자가간호 지식은 중간정도였다.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와 자가간호 지식이었다. 따라서 혈액종양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환자의 경제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적절한 자원을 연결해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으며, 자가간호 지식의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자가간호 중재의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을 대상자의 퇴원 이전에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혈액암 환자의 퇴원 후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정도와 자가간호 지식 및 가족지지를 파악하고,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 대상자는 인천 광역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혈액암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만 18세 이상의 성인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지은이 2008년 개발한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혜영(2000)이 개발하고 신은영(2002)이 수정 보완한 혈액종양환자의 자가간호 지식 측정도구 중 감염관련 8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태영숙(1986)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중 가족지지 8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ost-hoc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enter method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감염예방을 위한 예방행위는 평균 45.98±21.56, 평균평점 3.51±.82이었다. 손씻기, 식이관리, 중심정맥관, 일상생활관리, 구강간호 순으로 평균평점이 높았다. 2.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은 평균 7.09±1.37, 평균평점 .59±.11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가족지지는 평균 26.16±7.44, 평균평점 3.27±.93로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는 진단명, 가정의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가족과 동거여부, 퇴원 전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교육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급성 백혈병군이 다른 진단명군보다, 경제상태가 상인 군이 하인 군보다, 배우자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가족과 함께 사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 보다, 교육경험이 있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과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3). 즉, 자가간호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9) 즉,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혈액암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정의 경제상태, 자가간호 지식 순이었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자가간호 지식 (β=.45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정의 경제 상태(β=.177, p=.02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두 변수에 의한 자가간호 행위의 총 설명력은 39.3%였다.
결론적으로, 혈액암 환자들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 정도와 가족지지 정도는 낮았고, 자가간호 지식은 중간정도였다.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와 자가간호 지식이었다. 따라서 혈액종양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환자의 경제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적절한 자원을 연결해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으며, 자가간호 지식의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자가간호 중재의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을 대상자의 퇴원 이전에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study for the impacts o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on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with a further study to find other meaningful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for 1...
The study for the impacts o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on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with a further study to find other meaningful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for 147 adult patients of Hematologic Malignanc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during five months from May to November 2016.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Jieun Song, 2008 re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Heayoung Lee, 2000 ref and Eunyoung Shin ref), and the degree of the family support (Young suck, 1986, ref). Th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with a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ost-hoc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and enter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1. The total mean score of preventive behavior for the infection precaution was 45.98±21.56, and mean GPA was 3.51±0.82. Washing hand was got the highest mean GPA, and a diet management, the central line management, one`s daily life care, and lastly, dental caries in order. 2. The total mean score o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was 7.09±1.37, and mean GPA was 0.59±0.11 which was a middle range. 3. The level of family support was regarded as a low level, total mean score was 17.6±3.16 and mean GPA was 2.02±0.93. 4. There were meaningful factors to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for the infection precaution such as diagnosis,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existence of spouses, cohabiting influence, and education for preventive behavior. 5.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tients was displayed 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r=0.252). 6.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tients was showed a proportional relation with relatively moderate correlation (r=0.327). 7.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was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and the second factor was the patient’s knowledge level of self-care. In asp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was exhibited meaningful effects (β=0.194, p=0.017) and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was showed meaningful negative effect statistically (β=-0.279, p=0.002). The predictability of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based on the two factors was 25.7 %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level of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family support were relatively low, and the knowledge of self-care was moderate level. The meaningful factors of the performance of preventive behavior were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knowledge of self-care. Therefor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economic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patients of Hematologic Malignancy, and trying to connect to proper sources is also required. Additionally, the preventing infection by improving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of patients could be possible via the development of self-nursing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before discharging them.
The study for the impacts o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on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with a further study to find other meaningful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for 147 adult patients of Hematologic Malignanc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during five months from May to November 2016.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s (Jieun Song, 2008 re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Heayoung Lee, 2000 ref and Eunyoung Shin ref), and the degree of the family support (Young suck, 1986, ref). Th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with a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ost-hoc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and enter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1. The total mean score of preventive behavior for the infection precaution was 45.98±21.56, and mean GPA was 3.51±0.82. Washing hand was got the highest mean GPA, and a diet management, the central line management, one`s daily life care, and lastly, dental caries in order. 2. The total mean score of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was 7.09±1.37, and mean GPA was 0.59±0.11 which was a middle range. 3. The level of family support was regarded as a low level, total mean score was 17.6±3.16 and mean GPA was 2.02±0.93. 4. There were meaningful factors to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for the infection precaution such as diagnosis,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existence of spouses, cohabiting influence, and education for preventive behavior. 5.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tients was displayed 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r=0.252). 6.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tients was showed a proportional relation with relatively moderate correlation (r=0.327). 7.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was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and the second factor was the patient’s knowledge level of self-care. In asp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was exhibited meaningful effects (β=0.194, p=0.017) and the economic environment of a family was showed meaningful negative effect statistically (β=-0.279, p=0.002). The predictability of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behavior based on the two factors was 25.7 %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level of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family support were relatively low, and the knowledge of self-care was moderate level. The meaningful factors of the performance of preventive behavior were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knowledge of self-care. Therefor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economic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patients of Hematologic Malignancy, and trying to connect to proper sources is also required. Additionally, the preventing infection by improving the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of patients could be possible via the development of self-nursing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before discharging th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