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를 위한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 효과: 예비연구
Effect of Web-Based Video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Infection Prevention in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3, 2020년, pp.294 - 305  

하부영 (삼성창원병원 간호부) ,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정선경 (삼성창원병원 간호부) ,  장춘선 (삼성창원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liminary effects of applying a developed web-based video educ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A one-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web-based video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infection consisted of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의 감염 예방 자가관리를 위한 교육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웹기반의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제공자가 시공간적으로 대상자와 함께 있지 않아도 되므로 간호인력의 시간적 노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 재생과 속도 조절이 가능하고, 장소에 제한 없이 시청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간호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관리의 핵심주제를 웹기반에서 만화 이미지로 구현하고 이를 오디오와 플래시로 제작하여 환자들에게 친근하고 흥미를 주도록 설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를 통해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임상실무에서의 환자교육 적용가능성을 확인 한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들의 감염예방 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웹기반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프로그램의 예비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웹기반 동영상으로 개발하고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 예방 자가관리 행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 임상 현장에서 의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 관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으로 감염예방 자가관리를 위한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감염예방 지식, 감염예방 자가관리 행위에 관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 예방 자가관리 행위의 경우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 관리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의 간호실무 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활동이 필요하다[24]. 본 연구에서 웹기반 동영상 감염 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은 1차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 또는 외래를 방문한 첫날 대상자에게 제공되었다. 교육은 종양 전문간호사가 연구용 태블릿을 활용하여 혈액종양내과 외래의 환자상담실에서 개별적으로 수행하였다.
  • [23].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 관리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실행해보고 효과평가를 위해 단일군 원시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24]. 본 연구에서는 항암 화학요법 치료 중 감염예방 관리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확인하고자 KCDC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5] 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과 암환자 증상관리[26], 혈액종양내과 환자의 감염예방 자가간호 수행[22] 등에 대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고, 연구자가 현장에서 만나는 항암화학요법을 처음 시행하는 환자들와의 면담내용을 바탕으로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환자들이 감염예방 관리를 위해 배우고 싶은 내용들을 확인하여 교육에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이후 S대학교 병원에 내원하는 암 환자 중 1차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10명 정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감염예방 자가관리와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를 면담에서 질문하여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Kim [22]이 혈액종양내과 환자의 감염예방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항목(손씻기, 구강관리, 식이관리, 피부와 점막 통합성 유지, 일상생활 활동관리, 감염징후 관찰하기, 잠재적 감염원에 대한 회피)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감염예방을 위한 자가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 책자를 이용한 설명식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대상자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웹기반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를 통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 웹기반의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제공자가 시공간적으로 대상자와 함께 있지 않아도 되므로 간호인력의 시간적 노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 재생과 속도 조절이 가능하고, 장소에 제한 없이 시청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간호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들을 위한 웹기반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 예방 자가관리 행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감염예방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감염예방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웹기반 동영상 감염예방 자가관리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감염예방 자가관리 행위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Cause-of-death statistics in 2018 in the Republic of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20 May 1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tatId1999038&themaIdF#SelectStatsBoxDiv 

  2.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7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cited 2020 May 17]. Available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51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3. Oh PJ, Choi HJ.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of oncology patients: a meta-analysi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257-266. https://doi.org/10.5388/aon.2012.12.4.257 

  4. Seo JY, Yi 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1): 18-27. https://doi.org/10.5388/aon.2015.15.1.18 

  5. Kim KY, Lee SH, Oh PJ.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3):149-155. https://doi.org/10.5388/aon.2015.15.3.149 

  6. Park JG, Park CI, Kim NK, Bang YJ, Ha SH, Kang SB, et al. Oncology. Seoul: Ilchokak; 2003. p. 128-138, 911-939. 

  7. Dale DC, McCarter GC, Crawford J, Lyman GH. Myelotoxicity and dose intensity of chemotherapy: reporting practices from randomized clinical trials. 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03;1(3):440-454. https://doi.org/10.6004/jnccn.2003.0038 

  8. Yang JH, Kim O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resili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6;46(3):327-337. https://doi.org/10.4040/jkan.2016.46.3.327 

  9.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related infections [Internet]. P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6 [cited 2016 April 09]. Available from: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 gls/pdf/infections.pdf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details on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of medical care benefit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20 November 2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27621&page1 

  11. Jeong HY, Kwon MS. The effects on self-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8; 8(1):8-16. 

  12. Jeong HC, Seong KM, Jeon MY. The effect of a hospital life guidance movie for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2):142-148. 

  13. Kang MS, Shon KH, Lee GN. Effects of a program using video-audio media on knowledge level and compliance of sick role for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100-109. 

  14. Jung MY, Hong IK, Noh HY, Park HS, Son JM, Kim JH, et al. Effects of video-based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treat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11-20.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1.11 

  15. Lee SH.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on self-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ancer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p. 16-32. 

  16. Kwon GA, Jeong Gj, Park JM, Jung MK, Seo HJ, Kim JY, et al. Development of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5;21(2):28-38. https://doi.org/10.14371/QIH.2015.21.2.28 

  17. Krebs P, Prochaska JO, Rossi JS. A meta-analysis of computer-tailored interventions for health behavior change. Preventive Medicine. 2010;51(3):214-221. https://doi.org/10.1016/j.ypmed.2010.06.004 

  18.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191-215.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19. Lee R, Kim SH, Lee KS, Seo M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2;42(3):385-395. http://doi.org/10.4040/jkan.2012.42.3.385 

  20. Kim JH.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life-satisfa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cancer patients and hospital employees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8. p. 32-34, 57. 

  21. Park SW, Park J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fection prevention self-care application for cancer patients with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4): 197-207. https://doi.org/10.5388/aon.2016.16.4.197 

  22. Kim JY. The effects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on self-care performance and infection occurrenc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1. p. 13-30. 

  23. Dick W, Carey L, Carey JO.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Boston: Pearson, Allyn & Bacon; 2005. p. 1-15. 

  24. Park SI, Lim C, Lee JK, Choi J. Educational engineering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ethods. 5th ed. Paju: Kyoyookbook; 2015. p. 93-127. 

  25.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Internet]. Chungbuk: KCDC; 2017 [cited 2017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 

  26. Yarbro CH, Wujcik D, Gobel BH. Cancer symptom management. 4th ed. Kim YH, Kwon IK, Kim JH, Park JY, Seoul MM, Jeon MH, et al, translators. Seoul: Fornurse; 2015. p.131-157. 

  27. Cha BK, Chang HK, Sohn JN.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6):934-944. https://doi.org/10.4040/jkan.2004.34.6.934 

  28. Kim EM, Wang MJ. The effects of individual education on self-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for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18(1):1-8. https://doi.org/10.14370/JEWNR.2012.18.1.001 

  29. Basch E, Deal AM, Kris MG, Scher HI, Hudis CA, Sabbatini P, et al. Symptom monitoring with patient-reported outcomes during routine cancer treat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6;34(6): 557-65. https://doi.org/10.1200/JCO.2015.63.08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