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지난 10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특히 도시지역은 교외지역보다 기온 상승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난다. 도시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도시의 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더 높아지는데, 이를 도시열섬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도시의 열환경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기온상승 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에서 열섬현상의 심화 및 완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에서 온ㆍ습도와 풍속을 측정하였다. 관측은 전형적인 하절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8월 정오에 이루어 졌으며, 실측자료와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전주시의 온열현황을 분석하고 열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열환경지도의 제작을 위해서 첫째, 현재의 복잡한 토지이용 분포도를 ...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지난 10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특히 도시지역은 교외지역보다 기온 상승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난다. 도시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도시의 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더 높아지는데, 이를 도시열섬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도시의 열환경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기온상승 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에서 열섬현상의 심화 및 완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에서 온ㆍ습도와 풍속을 측정하였다. 관측은 전형적인 하절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8월 정오에 이루어 졌으며, 실측자료와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전주시의 온열현황을 분석하고 열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열환경지도의 제작을 위해서 첫째, 현재의 복잡한 토지이용 분포도를 상업지역, 주거지역, 녹지, 수변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열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는 유형을 기준으로 크게 구분하여 좀 더 간략하고 단순한 형태로 만들었다. 둘째, 유형별로 대표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여름철 야외관측을 하였다. 셋째, 대표지점에서 측정한 온도를 동일한 부류(유형)에 속하는 지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온도분포도를 생성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이와 같이 실측온도와 토지이용유형을 이용하여 제작 된 열지도를 인공위성 열화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측정 장소 및 데이터값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온도 측정높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위성영상과 거의 유사한 온도분포를 보였다. 이들 토지이용이 상이한 장소인 20개소의 데이터를 기존의 방법이 아닌 토지이용에 따른 온도분포의 대입을 통한 새로운 온도분포도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가 기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방법에 비하여 훨씬 정확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각 도시의 기존의 실측에 따른 온도분포도를 작성함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열(Heat Index)”은 지구 온난화 현상과 함께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 가운데 하나이며, 도시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척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 수록된 전주시의 열환경 정보는 전주시의 고온화 요인(열섬인자)을 이해하고 향후 열섬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및 녹지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지난 10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특히 도시지역은 교외지역보다 기온 상승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난다. 도시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도시의 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더 높아지는데, 이를 도시열섬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도시의 열환경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기온상승 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에서 열섬현상의 심화 및 완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에서 온ㆍ습도와 풍속을 측정하였다. 관측은 전형적인 하절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8월 정오에 이루어 졌으며, 실측자료와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전주시의 온열현황을 분석하고 열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열환경지도의 제작을 위해서 첫째, 현재의 복잡한 토지이용 분포도를 상업지역, 주거지역, 녹지, 수변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열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는 유형을 기준으로 크게 구분하여 좀 더 간략하고 단순한 형태로 만들었다. 둘째, 유형별로 대표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여름철 야외관측을 하였다. 셋째, 대표지점에서 측정한 온도를 동일한 부류(유형)에 속하는 지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온도분포도를 생성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이와 같이 실측온도와 토지이용유형을 이용하여 제작 된 열지도를 인공위성 열화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측정 장소 및 데이터값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온도 측정높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위성영상과 거의 유사한 온도분포를 보였다. 이들 토지이용이 상이한 장소인 20개소의 데이터를 기존의 방법이 아닌 토지이용에 따른 온도분포의 대입을 통한 새로운 온도분포도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가 기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방법에 비하여 훨씬 정확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각 도시의 기존의 실측에 따른 온도분포도를 작성함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열(Heat Index)”은 지구 온난화 현상과 함께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 가운데 하나이며, 도시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척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 수록된 전주시의 열환경 정보는 전주시의 고온화 요인(열섬인자)을 이해하고 향후 열섬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및 녹지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verage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Earth has been steadily rising over the past 100 years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temperature in urban areas increases much more than suburban areas and it is called urban heat island (UHI) phenomenon. In order to approach the thermal environmental i...
The average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Earth has been steadily rising over the past 100 years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temperature in urban areas increases much more than suburban areas and it is called urban heat island (UHI) phenomenon. In order to approach the thermal environmental issues of the city,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collect the weather data from various poi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nalyze the rise in temperatur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ocation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deepening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in Jeonju City were selected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measured at the selected points. The observations were made at noon in Augus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summer season appeared well. Next, The analysis of the thermal present in Jeonju was done. It was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 and land use data. Also, a thermal environment map was made. For this, first, a current complex land use map is made in a more compact and simpler form by dividing it largely according to a few of types such as commercial area, residential area and green area etc. Second, typical locations were selected for each type, and field observations were made in summer. Third, by applying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representative point to the area belonging to the same class(type), a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was generated. Finally, It was examined that the suitabi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and data values by comparing the map made like this with a satellite thermal im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almost similar to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satellite despit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ment height. "Heat Index"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global warming, and is also a measure for understanding urban climate. The therm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Jeonju city, which is includ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urban higher temperature(or heat island factors) in Jeonju city.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use it to establish urban planning and green space plan for reduction of heat island in the future.
The average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Earth has been steadily rising over the past 100 years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temperature in urban areas increases much more than suburban areas and it is called urban heat island (UHI) phenomenon. In order to approach the thermal environmental issues of the city,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collect the weather data from various poi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nalyze the rise in temperatur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ocation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deepening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in Jeonju City were selected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measured at the selected points. The observations were made at noon in Augus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summer season appeared well. Next, The analysis of the thermal present in Jeonju was done. It was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 and land use data. Also, a thermal environment map was made. For this, first, a current complex land use map is made in a more compact and simpler form by dividing it largely according to a few of types such as commercial area, residential area and green area etc. Second, typical locations were selected for each type, and field observations were made in summer. Third, by applying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representative point to the area belonging to the same class(type), a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was generated. Finally, It was examined that the suitabi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and data values by comparing the map made like this with a satellite thermal im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almost similar to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satellite despit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ment height. "Heat Index"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global warming, and is also a measure for understanding urban climate. The therm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Jeonju city, which is includ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urban higher temperature(or heat island factors) in Jeonju city.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use it to establish urban planning and green space plan for reduction of heat island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