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토지 이용 유형별 합리적 녹지율 분석
An Analysis of Rational Green Area Ratio by Land Use Types for Mitigating Heat-Island Effect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2, 2015년, pp.59 - 74  

송봉근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토지이용유형별로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합리적 녹지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토지이용유형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공공시설, 상업지역, 공업지역의 5가지 유형을 고려하였고, 녹지지역은 토지피복도에서 수목 속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열섬효과는 주간 및 야간에 촬영된 다중시기의 ASTER TIR 영상의 표면온도를 이용하였다. 주간시간은 야간시간보다 녹지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유형별로는 주간시간에 단독주택에서 녹지율에 따른 표면온도 저감효과가 가장 뚜렷했지만, 야간시간에는 토지이용유형별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공업지역은 녹지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가 낮았다. 토지이용유형별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합리적 녹지율을 산출한 결과, 주간시간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상업지역에서 녹지율이 40~50% 사이일 때, 표면온도가 가장 낮았고, 야간시간은 녹지율별로 표면온도 변화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개발계획 단계에서 도시열섬완화를 위해 효과적인 녹지면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sonable green area ratios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considering various land use types. Land uses of 5 types such as single residential, multi residential, commercial area, public facility, and industrial area were considered. Green areas were ex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개발계획에서 환경·생태적인 측면에서 지표 및 기준이 되는 생태면적률과 같이 도시지역의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효과적인 녹지율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여름철 도시열섬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유형별로 도시지역의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녹지의 합리적 비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토지이용유형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공공시설,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총 5가지 유형을 고려하였고, 주간 및 야간에 촬영된 다중시기의 ASTER 표면온도 영상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유형에서 도시열섬완화를 위해 녹지 조성이 필요한 시가화 지역에서 단독주택, 공동주택, 공공시설, 상업지역, 공업지역의 5개 유형을 선정·분석하였다.
  • 최근 창원시는 도시생태계 평가(Changwon, 2009)와 도시물순환성 평가(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2011), 옥상녹화 및 고반사율의 옥상지붕면 조성 시범설치(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2014) 등 도시지역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목적은 신규택지개발과 재개발지역 등 개발 사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창원시의 도시열섬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의 다양한 공간유형에 대해 적절한 녹지공간 조성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도시지역의 열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계획 수립시 생태면적률 지표를 활용할 수 있지만, 녹지공간의 열섬완화 기능 및 효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원격탐사 및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개발계획차원에서 도시열섬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토지이용유형에 대해 녹지공간의 열섬완화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녹지율과 표면온도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합리적 녹지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열섬현상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현재 전 세계의 도시들은 높은 인구밀도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도시지역이 도시외곽지역보다 기온이 약 2℃ 이상 높은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Oke, 1987; Song and Park, 2012). 도시열섬현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건강과 생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냉방기로 인한 전력 수요의 급증과 온실가스의 배출량 증가로 인해 전 지구적으로는 기후변화를 유발시켜 지구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Chun and Guldmann, 2014). 최근에는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녹지의 이점은? 그 중에서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녹지공간의 효과적인 조성 방안에 대해 크게 관심을 끌고 있다. 녹지는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적 피복재질보다 많은 수분을 보유하고 있어 표면온도의 상승이 크지 않으며, 증발산효과가 있어 주변의 기온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Song, 2003). 또한, 그늘을 제공함으로서 열적으로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Shashua-Bar and Hoffman, 2000; Watanabe et al., 2014).
최근 창원시에서 진행된, 도시지역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의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창원시는 도시생태계 평가(Changwon, 2009)와 도시물순환성 평가(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2011), 옥상녹화 및 고반사율의 옥상지붕면 조성 시범설치 (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2014) 등 도시지역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목적은 신규택지개발과 재개발지역 등 개발 사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창원시의 도시열섬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의 다양한 공간유형에 대해 적절한 녹지공간 조성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uyantuyev, A. and J. Wu. 2010. Urban heat islands and landscape heterogeneity: link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urface temperatures to land-dover and socioeconomic patterns. Landscape Ecology 25:17-33. 

  2. Ca, V., T. Asaeda and E. Abu. 1998. Reductions in air conditioning energy caused by a nearby park. Energy and Building 29:83-92. 

  3. Changwon-si. 2009. The construction of Changwon-si environmental atlas and GIS DB(1st). Changwon-si Research Report, Changwon, South Korea (창원시. 2009. 창원시 환경지도 제작 및 GIS 구축 연구보고서(1차년도)). 

  4. Chun, B. and J.M. Guldmann. 2014.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urban heat island in high-density central cit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5:76-88. 

  5. Gillespie, A., S. Rokugawa, T. Matsunaga, J.S. Cothern, S. Hook and A.B. Kahle. 1999. A temperature and emissivity separation algorithm for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ASTER) image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6(4): 1-25. 

  6. Giridharan, E., S.S.Y. Lau, S. Ganesan and B. Givoni. 2008. Lowering the outdoor temperature in high-rise high-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s of coastal Hong Kong : the vegetation influence. Building and Environment 43:1583-1595. 

  7. Gyeongnam Green Environmental Center. 2011. Development of master plan of rainwater management in Changwon city. Research Report of 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경남녹색환경 지원센터. 2011. 창원시 빗물관리 기본계획 수립,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연구보고서). 

  8. 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2014. Exhibition installation and effect analysis of cool roof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climate change response. Report of Gyeongnam Green Environment Center (경남녹색환경센터. 2014. 기후변화 대응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쿨루프 시범설치 및 효과 분석. 경남녹색환경센터 보고서). 

  9. Hamada, S. and T. Ohta. 2010.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on surrounding urban area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9:15-24. 

  10. Hartz, D.A., L. Prashad, B.C. Hedquist, J. Golden and A.J. Brazel. 2006. Linking satellite images and hand-held infrared thermography to observed neighborhood climate condi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4:190-200. 

  11. Honjo, T. and T. Takakura. 1990. Simulation of thermal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heir surrounding areas.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s 15:443-446. 

  12. Hung, T., D. Uchihama, S. Ochi and Y. Yasuoka. 2006. Assessment with satellite data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s in Asian mega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8:34-48. 

  13. Jauregui, E. 1990. Influence of a large urban park on temperature and convective precipitation in a tropical city.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s 15:457-463. 

  14. Jo, M.H., K.J. Lee and W.S. Kim. 2001.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1):57-66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 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57-66). 

  15. Jung, G.S., S. Koo and H.H. Yoo. 2011. Temperature change analysis for land use zoning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 (2):55-61 (정길섭, 구슬, 유환희. 2011. Landsat 위성영상에 의한 용도지역 온도변화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9(2):55-61). 

  16. Kang, T.S. and M.W. Lee. 2014. Analysis of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urban wall-planting applied by a biotope area ratio -case of Jung-gu district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88-100 (강태순, 이명우. 2014. 생태면적률 적용을 통한 도시 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 분석-서울시 중구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 지 42(5):88-100). 

  17. Kato, S. and Yamaguchi. 2007. Estimation of storage heat flux in an urban area using ASTE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0:1-17. 

  18.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19. Li, J., C. Song, L. Cao, F. Zhu, X. Meng and J. Wu. 2011. Impact of landscape structure on surface urban heat islands: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3249-3263. 

  20. Li, S., Z. Zhao, X. Miaomiao and Y. Wang. 2010. Investigating spatial nonstationary and scale-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urban surface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Environmental Modeling and Software 25:1789-1800. 

  21. Oke, T.R. 1987. Boundary Layer Climates(2nd). London, Methuen. pp.1-10. 

  22. Oke, T.R. 1988. Street design and urban canopy layer climate. Energy and Building 11(3):103-113. 

  23. Oliveira, S., H. Andrade and T. Vaz. 2011. The cooling effect of green spaces as a contribution to the mitigation of urban heat: a case study in Lisbon. Building and Environment 46:2186-2194. 

  24. Owen, T., T. Carlson and R. Gilles. 1998. An assessment of satellite remotely sensed land cover parameters in quantitatively describing the climatic effect of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9):1663-1681. 

  25. Shashua-Bar, L. and M.E. Hoffman. 2000. Vegetation as a climatic component in the design of an urban street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with trees. Energy and Buildings 31:221-235. 

  26. Song, B.G. 2014.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methodology for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and heat island effect in urban area. Ph.D. Thesis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송봉근. 2014.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및 열섬효과 완화를 위한 환경계획 기법의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Song, B.G. and K.H. Park. 2012.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16-29 (송봉근, 박경훈. 2012. 야간시간대 도시공간을 고려한 열섬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16-29). 

  28. Song, B.G. and K.H. Park. 2014. Validation of ASTER surface temperature data with in situ measurements to evaluate heat islands in complex urban areas. Advances in Meteorology 2014:1-12. 

  29. Song, B.G., K.H. Park and S.G. Jung. 2014. Validation of ENVI-met model with in situ measurement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 us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56-172 (송봉근, 박경훈, 정성관. 2014. 토지이용 유형별 공간특성을 고려한 ENVI-met 모델의 현장측정자료 기반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2):156-172). 

  30. Song, Y.B. 2003. Priority Region Analysis and Setting Method of Climate Ecological Planning for Healthy Cities. Greentomato, Seoul. 2-27 (송영배. 2003. 건강도시를 위한 기후환경계획 바람통로 계획과 설계 방법. 그린토마토. 서울. 2-27 쪽). 

  31. Watanabe, S., K. Nagano, J. Ishii and T. Horikoshi. 2014. Evaluation of outdoor thermal comfort in sunlight, building shade, and pergola shade during summer in a humid subtropical region. Building and Environment 82:556-565. 

  32. Winston, T.L.C., L.P. Ronald, A.M. Chris and J.B. Anthony. 2011. Observing and modeling the nocturnal park cool island of an arid city: horizontal and vertical impact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3:197-211. 

  33. Wong, N.H., S.K. Jusuf, A.A.L. Win, H.K. Thu, T. Negara and W. Xuchao. 2007. Environmental study of the impact of greenery in an institutional campus in the tropics. Building and Environment 42:2949-2970. 

  34. Yu, C. and W.N. Hien. 2006. Thermal benefits of city parks. Energy and Buildings 38:105-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