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어촌지역 장애인은 농산어촌 거주자, 장애인이라는 이중적인 제약을 안고 살아가는 중복 소외계층으로 볼 수 있으며, 도시지역과 비교해 다양한 어려움을 가진 인구집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나 각종 정책과 제도를 통한 지원은 극히 미비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지금까지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농산어촌의 지역적인 특성을 다룬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족하다. 이로 인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지역 거주장애인의 욕구를 비교 및 파악하기가 어려워 명확한 서비스방향을 세우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특성 맞춤형 복지정책 수립도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세가지 거주지역별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상을 확인하고, 장애인 삶의 만족도 구성요인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과 정도를 확인하여, 지역의 특수성과 의미를 인권과 복지 수준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게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임상적 실천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자료로서 조사에 참가한 6,824명이며, ...
농산어촌지역 장애인은 농산어촌 거주자, 장애인이라는 이중적인 제약을 안고 살아가는 중복 소외계층으로 볼 수 있으며, 도시지역과 비교해 다양한 어려움을 가진 인구집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나 각종 정책과 제도를 통한 지원은 극히 미비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지금까지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농산어촌의 지역적인 특성을 다룬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족하다. 이로 인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지역 거주장애인의 욕구를 비교 및 파악하기가 어려워 명확한 서비스방향을 세우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특성 맞춤형 복지정책 수립도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세가지 거주지역별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상을 확인하고, 장애인 삶의 만족도 구성요인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과 정도를 확인하여, 지역의 특수성과 의미를 인권과 복지 수준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게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임상적 실천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자료로서 조사에 참가한 6,824명이며, 자료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1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집단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영역, 직업영역, 경제영역, 사회참여영역, 건강영역, 주거영역 총 6개 영역으로 나누어 이를 독립변수로, 요인별로 측정값의 나누지 않은 전체 만족도평균을 종속변수로 하여 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별 모든 영역에서 삶의 만족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상대적 기여도를 알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영역에서는 나이와 배우자유무가 영향을 미치고, 직업영역에서는 근무개월수와 현재 일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고, 경제영역에서는 느끼는 소속계층과 차량소유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사회참여영역에서는 여가활동갯수, 문화여가에 대한 만족 그리고 선거참여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건강영역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고, 주거영역에서는 집소유형태, 집의 구조가 생활에 편리한 정도 그리고 주택의 질적 성능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적 실천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재활 임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급속한 고령화추세에 발맞추어 정부에서 고령장애인을 위한 정책적 지원계획이 시급히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특히 농산어촌은 고령장애인의 분포가 도시지역에 비해 휠씬 높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혼자 또는 배우자가 없는 장애인을 위한 복지적,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을 고려한 다양한 임상적 실천개입도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고용이 일시적이거나 임시적이지 않고, 장기적인 고용으로 안정이 될 수 있도록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다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성을 확보해 주는 한편, 현재 일에 대해서 장애인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고용주와 근로자들을 위한 사후지도와 복리후생제 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소득보장정책에 있어 일자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과 별개로 장애연금 같은 현실적으로 향상되어야 하고, 다양한 공적부조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동권 확보와 관련된 차량소유가 가능하도록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농산어촌지역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인의 문화여가와 관련된 법적, 제도적 지원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여가 서비스제공기관이 확충되고,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문화여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다섯째, 건강과 의료분야 전문적인 인프라가 확충되어야 한다. 특히 농산어촌의 경우 도시에 비해 장애인의 건강권이 더 침해받지 않도록 의료기관 확충은 물론 원거리로 인해 찾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방문서비스가 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장애인이 주거공간에서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주택마련을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원활한 주거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조 및 유지와 관련된 주거비도 지원되어야 한다.
농산어촌지역 장애인은 농산어촌 거주자, 장애인이라는 이중적인 제약을 안고 살아가는 중복 소외계층으로 볼 수 있으며, 도시지역과 비교해 다양한 어려움을 가진 인구집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나 각종 정책과 제도를 통한 지원은 극히 미비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지금까지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농산어촌의 지역적인 특성을 다룬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족하다. 이로 인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지역 거주장애인의 욕구를 비교 및 파악하기가 어려워 명확한 서비스방향을 세우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특성 맞춤형 복지정책 수립도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세가지 거주지역별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상을 확인하고, 장애인 삶의 만족도 구성요인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과 정도를 확인하여, 지역의 특수성과 의미를 인권과 복지 수준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에게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임상적 실천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자료로서 조사에 참가한 6,824명이며, 자료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1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집단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영역, 직업영역, 경제영역, 사회참여영역, 건강영역, 주거영역 총 6개 영역으로 나누어 이를 독립변수로, 요인별로 측정값의 나누지 않은 전체 만족도평균을 종속변수로 하여 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별 모든 영역에서 삶의 만족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상대적 기여도를 알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영역에서는 나이와 배우자유무가 영향을 미치고, 직업영역에서는 근무개월수와 현재 일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고, 경제영역에서는 느끼는 소속계층과 차량소유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사회참여영역에서는 여가활동갯수, 문화여가에 대한 만족 그리고 선거참여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건강영역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고, 주거영역에서는 집소유형태, 집의 구조가 생활에 편리한 정도 그리고 주택의 질적 성능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적 실천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재활 임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급속한 고령화추세에 발맞추어 정부에서 고령장애인을 위한 정책적 지원계획이 시급히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특히 농산어촌은 고령장애인의 분포가 도시지역에 비해 휠씬 높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혼자 또는 배우자가 없는 장애인을 위한 복지적,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을 고려한 다양한 임상적 실천개입도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고용이 일시적이거나 임시적이지 않고, 장기적인 고용으로 안정이 될 수 있도록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다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성을 확보해 주는 한편, 현재 일에 대해서 장애인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고용주와 근로자들을 위한 사후지도와 복리후생제 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소득보장정책에 있어 일자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과 별개로 장애연금 같은 현실적으로 향상되어야 하고, 다양한 공적부조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동권 확보와 관련된 차량소유가 가능하도록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농산어촌지역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인의 문화여가와 관련된 법적, 제도적 지원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여가 서비스제공기관이 확충되고,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문화여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다섯째, 건강과 의료분야 전문적인 인프라가 확충되어야 한다. 특히 농산어촌의 경우 도시에 비해 장애인의 건강권이 더 침해받지 않도록 의료기관 확충은 물론 원거리로 인해 찾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방문서비스가 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장애인이 주거공간에서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주택마련을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원활한 주거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조 및 유지와 관련된 주거비도 지원되어야 한다.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live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can be regarded as marginalized people due to the double handicap of ‘disability’ and ‘geographic isolation’. They live with the dual constraints. Farmers and fishermen can be seen as a population group having various difficulti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live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can be regarded as marginalized people due to the double handicap of ‘disability’ and ‘geographic isolation’. They live with the dual constraints. Farmers and fishermen can be seen as a population group having various difficulties compared with who live in urban areas. Research has been scarce of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bou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arming fisheri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small cities, rural areas and fishing villages,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y and service dir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s of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various variables. It is also aimed to differenciate the degree to which influenc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based upon the specificity and meaning of the region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welfar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linical practice and policy formulation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24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panel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4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Series of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1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group, each variable is divided into six domains, demographic, sociological, occupational, economic, social participation, health, and residential area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by region.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variables a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variable to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and the marital status were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atisfaction with cultural leisure, and participation in elections. In the health fiel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is affect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onvenience of living and the quality of housing are influenced by the residential area. Based on this study result, suggestions of policy development and field practic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clinical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rapid aging social trend, the government should urgently establish and implement a policy support plan for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ural areas is much higher than those in urban areas. In addition, welfare and economic sup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lone or without a spouse, as well as various clinical practice interventions considering emotional support are also needed. Second, a more detailed research approach is needed whe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so that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temporary or temporary, and stable with long-term employment. In addition to ensuring the diversity of the job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up guidance and benefits for the employer and the worker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disabled can be satisfied with the present work. Third, in the income guarantee policy, it should be improved realistically such as disability pension separately from various policies related to jobs, and various public assistanc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o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he possession of vehicles related to the securing of the right to mov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should be expand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related to cultural leisure of the disabled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cultural leisur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ty of programs should be ensured to meet cultural leisure needs. Fifth, professional infrastructure for health and medical care should be expanded. Especially in the case of farming villag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dical facilities so that the health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infringed more than the cities, and the visiting services should be further activa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hard to find due to distance. Sixth, various support systems should be provided for housing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live comfortably in the residential area.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live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can be regarded as marginalized people due to the double handicap of ‘disability’ and ‘geographic isolation’. They live with the dual constraints. Farmers and fishermen can be seen as a population group having various difficulties compared with who live in urban areas. Research has been scarce of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bou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arming fisheri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small cities, rural areas and fishing villages,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y and service dir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s of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various variables. It is also aimed to differenciate the degree to which influenc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based upon the specificity and meaning of the region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welfar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linical practice and policy formulation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24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panel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4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Series of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1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group, each variable is divided into six domains, demographic, sociological, occupational, economic, social participation, health, and residential area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by region.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variables a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variable to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and the marital status were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atisfaction with cultural leisure, and participation in elections. In the health fiel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is affect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onvenience of living and the quality of housing are influenced by the residential area. Based on this study result, suggestions of policy development and field practic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clinical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rapid aging social trend, the government should urgently establish and implement a policy support plan for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ural areas is much higher than those in urban areas. In addition, welfare and economic sup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lone or without a spouse, as well as various clinical practice interventions considering emotional support are also needed. Second, a more detailed research approach is needed whe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so that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temporary or temporary, and stable with long-term employment. In addition to ensuring the diversity of the job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up guidance and benefits for the employer and the worker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disabled can be satisfied with the present work. Third, in the income guarantee policy, it should be improved realistically such as disability pension separately from various policies related to jobs, and various public assistanc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o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he possession of vehicles related to the securing of the right to move,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should be expanded. Four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related to cultural leisure of the disabled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cultural leisur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ty of programs should be ensured to meet cultural leisure needs. Fifth, professional infrastructure for health and medical care should be expanded. Especially in the case of farming villag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dical facilities so that the health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infringed more than the cities, and the visiting services should be further activa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hard to find due to distance. Sixth, various support systems should be provided for housing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live comfortably in the residential a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