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3대 생태축 중 하나인 DMZ, 그에 버금가는 민간인통제구역의 생태적 중요성과 함께 그 지역을 월동을 하는 멸종위기조류 중 하나인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생태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민간인통제구역 해제지역과 두루미, 재두루미 개체군 변동의 관계와 함께 두루미, 재두루미의 보호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민간인통제구역은 농경지로 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이 지역을 이용하는 야생생물에게 먹이터, 잠자리 등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DMZ 내부는 인위적의 간섭의 제한으로 양호한 자연생태계를 유지 할 수 있었으나, 민간인통제구역 및 접경지역의 자연생태계는 일부 자연재해, 개발행위, 무분별한 녹화 등으로 훼손되고 있다. 철원 평야는 한반도를 월동지 및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다양한 겨울철새들에게 중요한 보금자리 이며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지역이다. 멸종위기조류는 생태계 평가가 가능한 지표종이며, 그 중 두루미류와 같은 대형의 주행성 조류의 경우 원거리에서도 관찰이 가능하고 약하지만 일정한 세력권을 갖기 때문에 서식영역 혹은 행동권 등의 ...
한반도 3대 생태축 중 하나인 DMZ, 그에 버금가는 민간인통제구역의 생태적 중요성과 함께 그 지역을 월동을 하는 멸종위기조류 중 하나인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생태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민간인통제구역 해제지역과 두루미, 재두루미 개체군 변동의 관계와 함께 두루미, 재두루미의 보호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민간인통제구역은 농경지로 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이 지역을 이용하는 야생생물에게 먹이터, 잠자리 등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DMZ 내부는 인위적의 간섭의 제한으로 양호한 자연생태계를 유지 할 수 있었으나, 민간인통제구역 및 접경지역의 자연생태계는 일부 자연재해, 개발행위, 무분별한 녹화 등으로 훼손되고 있다. 철원 평야는 한반도를 월동지 및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다양한 겨울철새들에게 중요한 보금자리 이며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지역이다. 멸종위기조류는 생태계 평가가 가능한 지표종이며, 그 중 두루미류와 같은 대형의 주행성 조류의 경우 원거리에서도 관찰이 가능하고 약하지만 일정한 세력권을 갖기 때문에 서식영역 혹은 행동권 등의 공간분포를 연구하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두루미류는 번식지 파괴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Meine and Achibald, 1996; BirdLife International, 2001)하고 있으나 지난 20여년 간 철원지역 두루미와 재두루미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철원지역 두루미 개체군 증가 원인은 80∼90년대 북한지역 두루미 개체군의 유입, 2000년대 먹이주기 등 노력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편화와 감소로 두루미, 재두루미의 서식처는 집중되고 있다. 한국 역시 개발 등에 의한 토지이용 변화로 서식지가 단순화 되고 있다. 두루미, 재두루미 분포에 영향을 주는 위협 요인 중 도로와 인간간섭에 의한 영향은 중요한 평가 사안이다. 과거 민간인이 제한된 출입만 가능하던 양지리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은 차량과 인간의 출입이 통제되어 교란될 위협이 적었지만 2012년 4월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한 이후 지속적인 개발의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해제된 민간인통제구역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조사와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철원평야를 중간기착지이자 월동지로 이용하고 있는 두루미, 재두루미와 민간인통제 해제지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민간인통제구역 현황과 변화를 분석하고 또한 두루미, 재두루미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민간인통제 해제지역의 변화와 그로 인한 두루미, 재두루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두루미, 재두루미 보호와 민간인통제구역 보전을 위해 관리지역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철원 두루미, 재두루미의 월동지 토지이용 분류 유형은 하천 및 습지, 시가지, 경작지 산림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중 양지리 민통선 해제지역의 주요 토지이용은 경작지가 대부분이었으며, 두루미, 재두루미 위협요인으로는 시설경작지, 도로, 창고, 액비저장고, 주거지, 군사시설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결과 비닐하우스와 인삼밭을 비롯한 시설경작지로의 전용이나 창고, 축사 등의 시설물 개발, 도로, 주차장 쉼터 등을 조성하여 민간인통제구역을 포함한 인근 경작지가 축소 및 파편화 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루미의 출현현황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실제 이용하는 먹이터 이용위치, 시간대 등을 조사하였다. 철원평야에서 주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경우에도 종간에 성향이 다르고 또한 두루미, 재두루미는 가족무리와 비가족무리로 구분되며, 비가족 무리보다 가족무리는 더 안전한 먹이터를 이용하는 점을 활용하여 분류군별, 무리군별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루미의 경우 민간인 통제선 해제 전 2011∼2012년 겨울철 평균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이후 평균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재두루미는 2011∼2012 겨울철 조사 시보다 2012∼2013년 겨울철 조사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2015∼2016년, 2016∼2017년 겨울철 조사 시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기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간인통제선 북상 이후 토지이용변화와 두루미, 재두루미의 분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세부 대상지 별로 개체수와 무리군의 분포변화를 분석한 결과 개체수의 경우 재두루미와 두루미 모두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한 한 직후인 2012∼2013년 월동기에 다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고, 무리군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진 않았다. 하지만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무리군의 취식 위치를 도식화 한 결과를 보면 양지리 지역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하기 전과 비교해서 가족군과 비가족군 모두 양지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민간인통제구역이 해제된 지역과 주변지역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멸종위기야생종인 두루미, 재두루미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핵심 통제지역과 완충지역 등의 관리 지역 설정하여 D권역을 핵심지역으로 설정하여 보호 해야한다. 또한 C권역의 경우에도 현재는 도래하는 개체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두루미, 재두루미를 유도할 수 있는 완충지역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토지이용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규정 마련하여 불필요한 개발 행위를 억제해야 한다. 불가피한 개발의 경우 최대한 철새들의 월동기간을 회피해야하며, 사유지의 경우 개발에 대한 통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관여하여 마을주민들과 협의 후 시설경작지 및 축사를 일정범위의 지역으로 집중하여 토지이용의 집단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셋째, 멸종위기야생조류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 조성된 도로들 중 겨울 철새들의 기존 핵심 서식처 주변으로 교통량이 많지 않은 도로에 한하여 기존 도로의 출입 제한, 사람의 출입 통제방안을 제안하였다.
한반도 3대 생태축 중 하나인 DMZ, 그에 버금가는 민간인통제구역의 생태적 중요성과 함께 그 지역을 월동을 하는 멸종위기조류 중 하나인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생태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민간인통제구역 해제지역과 두루미, 재두루미 개체군 변동의 관계와 함께 두루미, 재두루미의 보호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민간인통제구역은 농경지로 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이 지역을 이용하는 야생생물에게 먹이터, 잠자리 등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DMZ 내부는 인위적의 간섭의 제한으로 양호한 자연생태계를 유지 할 수 있었으나, 민간인통제구역 및 접경지역의 자연생태계는 일부 자연재해, 개발행위, 무분별한 녹화 등으로 훼손되고 있다. 철원 평야는 한반도를 월동지 및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다양한 겨울철새들에게 중요한 보금자리 이며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지역이다. 멸종위기조류는 생태계 평가가 가능한 지표종이며, 그 중 두루미류와 같은 대형의 주행성 조류의 경우 원거리에서도 관찰이 가능하고 약하지만 일정한 세력권을 갖기 때문에 서식영역 혹은 행동권 등의 공간분포를 연구하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두루미류는 번식지 파괴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Meine and Achibald, 1996; BirdLife International, 2001)하고 있으나 지난 20여년 간 철원지역 두루미와 재두루미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철원지역 두루미 개체군 증가 원인은 80∼90년대 북한지역 두루미 개체군의 유입, 2000년대 먹이주기 등 노력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편화와 감소로 두루미, 재두루미의 서식처는 집중되고 있다. 한국 역시 개발 등에 의한 토지이용 변화로 서식지가 단순화 되고 있다. 두루미, 재두루미 분포에 영향을 주는 위협 요인 중 도로와 인간간섭에 의한 영향은 중요한 평가 사안이다. 과거 민간인이 제한된 출입만 가능하던 양지리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은 차량과 인간의 출입이 통제되어 교란될 위협이 적었지만 2012년 4월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한 이후 지속적인 개발의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해제된 민간인통제구역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조사와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철원평야를 중간기착지이자 월동지로 이용하고 있는 두루미, 재두루미와 민간인통제 해제지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민간인통제구역 현황과 변화를 분석하고 또한 두루미, 재두루미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민간인통제 해제지역의 변화와 그로 인한 두루미, 재두루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두루미, 재두루미 보호와 민간인통제구역 보전을 위해 관리지역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철원 두루미, 재두루미의 월동지 토지이용 분류 유형은 하천 및 습지, 시가지, 경작지 산림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중 양지리 민통선 해제지역의 주요 토지이용은 경작지가 대부분이었으며, 두루미, 재두루미 위협요인으로는 시설경작지, 도로, 창고, 액비저장고, 주거지, 군사시설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결과 비닐하우스와 인삼밭을 비롯한 시설경작지로의 전용이나 창고, 축사 등의 시설물 개발, 도로, 주차장 쉼터 등을 조성하여 민간인통제구역을 포함한 인근 경작지가 축소 및 파편화 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루미의 출현현황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실제 이용하는 먹이터 이용위치, 시간대 등을 조사하였다. 철원평야에서 주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경우에도 종간에 성향이 다르고 또한 두루미, 재두루미는 가족무리와 비가족무리로 구분되며, 비가족 무리보다 가족무리는 더 안전한 먹이터를 이용하는 점을 활용하여 분류군별, 무리군별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루미의 경우 민간인 통제선 해제 전 2011∼2012년 겨울철 평균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이후 평균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재두루미는 2011∼2012 겨울철 조사 시보다 2012∼2013년 겨울철 조사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2015∼2016년, 2016∼2017년 겨울철 조사 시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기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간인통제선 북상 이후 토지이용변화와 두루미, 재두루미의 분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세부 대상지 별로 개체수와 무리군의 분포변화를 분석한 결과 개체수의 경우 재두루미와 두루미 모두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한 한 직후인 2012∼2013년 월동기에 다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고, 무리군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진 않았다. 하지만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무리군의 취식 위치를 도식화 한 결과를 보면 양지리 지역 민간인통제선이 북상하기 전과 비교해서 가족군과 비가족군 모두 양지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민간인통제구역이 해제된 지역과 주변지역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멸종위기야생종인 두루미, 재두루미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핵심 통제지역과 완충지역 등의 관리 지역 설정하여 D권역을 핵심지역으로 설정하여 보호 해야한다. 또한 C권역의 경우에도 현재는 도래하는 개체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두루미, 재두루미를 유도할 수 있는 완충지역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토지이용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규정 마련하여 불필요한 개발 행위를 억제해야 한다. 불가피한 개발의 경우 최대한 철새들의 월동기간을 회피해야하며, 사유지의 경우 개발에 대한 통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관여하여 마을주민들과 협의 후 시설경작지 및 축사를 일정범위의 지역으로 집중하여 토지이용의 집단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셋째, 멸종위기야생조류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 조성된 도로들 중 겨울 철새들의 기존 핵심 서식처 주변으로 교통량이 많지 않은 도로에 한하여 기존 도로의 출입 제한, 사람의 출입 통제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the DMZ(Demilitarized Zone), one of the three major ecological axes and CCZ(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ne of the endangered birds,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that wintering in the area were analyzed. And tried to propose th...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the DMZ(Demilitarized Zone), one of the three major ecological axes and CCZ(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ne of the endangered birds,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that wintering in the area were analyzed. And tried to propose the relation between the civilian control area released area and the population variation of cranes and mana cranes, and protectio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Civilian control zone have limited access to agricultural land and are an important habitat for wildlife in this area(Pea, 2000; Cheolwon County, 2002) The DMZ has been able to maintain a good natural ecosystem due to the limitation of artificial interference, but the natural ecosystem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border area has been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development, indiscriminate greening. Cheorwon basin is an important habitat for various winter birds that use Korea as wintering area and stopover sit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area. Endangered birds are an indicator species capable of Assessment of Ecosystem. Among them, large-scale a diurnal birds such as cranes are suitable for studying spatial distribution of habitat or home range because they can be observed at remote sites and have territory settlement. Worldwide, cranes have continued to decline due to breeding site, but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wintering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the Cheorwon area has increased.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the crane population in Cheolwon area was attributed to the influx of the crane population in North Korea in the 80s and 90s, and the feeding efforts in the 2000s. However, due to the fragmentation and decline of habitat due to development, habitat of cranes are concentrated. Korea is also Habitat simplification due to land use change caused by development. Among the threat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cranes, the influence of road and human interference is an important evaluation issue. The Yangji-ri Civilian Control Line north of the past, where civilians were allowed only limited access, had little threat of disturbance due to vehicle and human access control, but has been under constant pressure to develop since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raised in April 2012. therefore land use survey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ere carried out in the area where the civilian controlled zone was releas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cranes and civilian controlled zone that are used as the wintering area and stopover sites for the Cheorwon basin, firs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civilian controlled zone and stud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f cranes. As a result,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plan were suggested for protection of cranes and conservation of civilian controlled zone. The types of land use classification of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were classified into river and wetland, urban area,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Major land use areas in the Yangjiri CCZ were mostly agricultural land, and the threaten factors to the cranes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ivated areas, roads, warehouses, liquid ertilizer, residential areas, and military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and ginseng fields,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such as warehouses and housing facilities, the construction of roads, parking lots, shelters, etc. have resulted in the reduction and fragmentation of habitat and foraging site including CCZ. In addition, Periodic survey of distribution of crane species, appearance time, location of feeder. The useage patten of foraging site is different betwee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that wintering on the Cheorwon basin, and it is also divided into family group and non-family group. Therefore, we surveyed and analyzed by species and group. In the case of Red-crowned Crane, the average population was the highest at 2011∼2012 season, and the average population decreased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released. The white-naped crane population tended to decrease at 2012∼2013 season than at 2011∼2012 season. But it tended to increase again at the 2015∼2016 season and the 2016∼2017 season surve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north the distribution of land use change and distribution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ere analyzed by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group by subdivisions. Both the cranes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season from 2012 to 2013, shortly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had risen to the north, but thereafter in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group of people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mov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Yangjiri in both families and non family members as compared to before the no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urvey, systematically conserved the area where the civilian controlled zone was released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proposed a conservation plan to protect the in Cheolwon basi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First, D zone should be set as core areas and protected by establishing management areas such as core control areas and buffer zon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C zone, the present population tends to decrease, but it is systematically managed as a buffer zone to guid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ain unnecessary development activities by providing systematic regulations for maintaining the soundness of land use. Inevitable developments should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for the wintering season of migratory birds. In the case of private l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engage in and concentrate land use on a certain range of land for cultivation and housing after discussing with villagers. Third, to maintain the distance from endangered wild birds, proposed restriction of access to existing roads and control of access to people only for roads with low traffic volume around existing core habitat of winter migratory birds among established roads.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the DMZ(Demilitarized Zone), one of the three major ecological axes and CCZ(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ne of the endangered birds,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that wintering in the area were analyzed. And tried to propose the relation between the civilian control area released area and the population variation of cranes and mana cranes, and protectio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Civilian control zone have limited access to agricultural land and are an important habitat for wildlife in this area(Pea, 2000; Cheolwon County, 2002) The DMZ has been able to maintain a good natural ecosystem due to the limitation of artificial interference, but the natural ecosystem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border area has been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development, indiscriminate greening. Cheorwon basin is an important habitat for various winter birds that use Korea as wintering area and stopover sit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area. Endangered birds are an indicator species capable of Assessment of Ecosystem. Among them, large-scale a diurnal birds such as cranes are suitable for studying spatial distribution of habitat or home range because they can be observed at remote sites and have territory settlement. Worldwide, cranes have continued to decline due to breeding site, but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wintering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the Cheorwon area has increased.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the crane population in Cheolwon area was attributed to the influx of the crane population in North Korea in the 80s and 90s, and the feeding efforts in the 2000s. However, due to the fragmentation and decline of habitat due to development, habitat of cranes are concentrated. Korea is also Habitat simplification due to land use change caused by development. Among the threat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cranes, the influence of road and human interference is an important evaluation issue. The Yangji-ri Civilian Control Line north of the past, where civilians were allowed only limited access, had little threat of disturbance due to vehicle and human access control, but has been under constant pressure to develop since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raised in April 2012. therefore land use survey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ere carried out in the area where the civilian controlled zone was releas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cranes and civilian controlled zone that are used as the wintering area and stopover sites for the Cheorwon basin, firs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civilian controlled zone and stud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f cranes. As a result,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plan were suggested for protection of cranes and conservation of civilian controlled zone. The types of land use classification of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were classified into river and wetland, urban area,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Major land use areas in the Yangjiri CCZ were mostly agricultural land, and the threaten factors to the cranes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ivated areas, roads, warehouses, liquid ertilizer, residential areas, and military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and ginseng fields,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such as warehouses and housing facilities, the construction of roads, parking lots, shelters, etc. have resulted in the reduction and fragmentation of habitat and foraging site including CCZ. In addition, Periodic survey of distribution of crane species, appearance time, location of feeder. The useage patten of foraging site is different betwee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that wintering on the Cheorwon basin, and it is also divided into family group and non-family group. Therefore, we surveyed and analyzed by species and group. In the case of Red-crowned Crane, the average population was the highest at 2011∼2012 season, and the average population decreased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released. The white-naped crane population tended to decrease at 2012∼2013 season than at 2011∼2012 season. But it tended to increase again at the 2015∼2016 season and the 2016∼2017 season surve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north the distribution of land use change and distribution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ere analyzed by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group by subdivisions. Both the cranes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season from 2012 to 2013, shortly after the civilian control line had risen to the north, but thereafter in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group of people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mov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Yangjiri in both families and non family members as compared to before the no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urvey, systematically conserved the area where the civilian controlled zone was released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proposed a conservation plan to protect the in Cheolwon basin,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First, D zone should be set as core areas and protected by establishing management areas such as core control areas and buffer zon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C zone, the present population tends to decrease, but it is systematically managed as a buffer zone to guid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train unnecessary development activities by providing systematic regulations for maintaining the soundness of land use. Inevitable developments should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for the wintering season of migratory birds. In the case of private l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engage in and concentrate land use on a certain range of land for cultivation and housing after discussing with villagers. Third, to maintain the distance from endangered wild birds, proposed restriction of access to existing roads and control of access to people only for roads with low traffic volume around existing core habitat of winter migratory birds among established roa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