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어린이집의 식단관리 특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보호동기이론 적용 : (An) Application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Menu Management at Daycare Cent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통해 건강한 삶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영유아들의 식단관리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이 보육 영유아의 식단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동기부여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헌고찰, 포커스집단 면접, 전문가 회의를 통해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부산․경남지역 어린이집 원장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집 원장은 점두조사 방식을 통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학부모는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원장은 총 299부, 영유아 학부모는 총 325부가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식단관리 인식을 파악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
본 연구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통해 건강한 삶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영유아들의 식단관리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이 보육 영유아의 식단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동기부여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헌고찰, 포커스집단 면접, 전문가 회의를 통해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부산․경남지역 어린이집 원장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집 원장은 점두조사 방식을 통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학부모는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원장은 총 299부, 영유아 학부모는 총 325부가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식단관리 인식을 파악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보호동기 요인과 행동의지 관련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보호동기 요인과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조사 결과 첫째, 식단 작성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수행도에 따라 식단관리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중요도-수행도가 높은 원장이 중요도-수행도가 낮은 원장 보다 식단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컸으며, 보호동기 요인 중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 요인도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처비용의 경우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라 식단관리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식단 작성 시 고려요인의 중요도 인식은 국공립어린이집이 민간어린이집 보다 더 컸으며, 네 가지 보호동기 요인 모두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정어린이집보다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의 부적절한 식단관리로 인한 위협의 종류에 따라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동기 요인에 차이가 있었는데 ‘영유아 영향 측면’의 위협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심각성이, ‘시설․운영 영향 측면’의 위협에서는 자기효능감이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운영 영향 측면’의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이 식단관리 개선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어린이집 규모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영유아 학부모 조사 결과 첫째, 어린이집 식단 관심정도에 따라 어린이집 식단관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식단에 관심이 높은 학부모가 관심이 낮은 학부모에 비해 영유아의 식단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한 행위도 높게 나타났다. 식단에 관심이 높은 학부모가 낮은 학부모보다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Ⅰ, 대처효능감Ⅱ,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대처비용은 더 낮았다. 둘째, 영유아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식단관리 개입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동기 요인은 대처효능감II와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영유아 학부모의 어린이집 식단관리 개선 행동의지에 대하여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의 식단관리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어린이급식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통해 건강한 삶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영유아들의 식단관리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이 보육 영유아의 식단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동기부여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헌고찰, 포커스집단 면접, 전문가 회의를 통해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부산․경남지역 어린이집 원장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집 원장은 점두조사 방식을 통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학부모는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원장은 총 299부, 영유아 학부모는 총 325부가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어린이집 원장과 학부모의 식단관리 인식을 파악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보호동기 요인과 행동의지 관련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보호동기 요인과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조사 결과 첫째, 식단 작성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수행도에 따라 식단관리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중요도-수행도가 높은 원장이 중요도-수행도가 낮은 원장 보다 식단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컸으며, 보호동기 요인 중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 요인도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처비용의 경우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라 식단관리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식단 작성 시 고려요인의 중요도 인식은 국공립어린이집이 민간어린이집 보다 더 컸으며, 네 가지 보호동기 요인 모두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정어린이집보다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의 부적절한 식단관리로 인한 위협의 종류에 따라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동기 요인에 차이가 있었는데 ‘영유아 영향 측면’의 위협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심각성이, ‘시설․운영 영향 측면’의 위협에서는 자기효능감이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운영 영향 측면’의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이 식단관리 개선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어린이집 규모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영유아 학부모 조사 결과 첫째, 어린이집 식단 관심정도에 따라 어린이집 식단관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식단에 관심이 높은 학부모가 관심이 낮은 학부모에 비해 영유아의 식단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한 행위도 높게 나타났다. 식단에 관심이 높은 학부모가 낮은 학부모보다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Ⅰ, 대처효능감Ⅱ,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대처비용은 더 낮았다. 둘째, 영유아 학부모들의 어린이집 식단관리 개입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동기 요인은 대처효능감II와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영유아 학부모의 어린이집 식단관리 개선 행동의지에 대하여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의 식단관리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어린이급식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o motivate these directors and parents to improve daycare menu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child’s healthy life through healthy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o motivate these directors and parents to improve daycare menu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child’s healthy life through healthy diet habi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or daycare directors. Als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ents. The respondents were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regions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related to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ere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expert interview review, and a pilot test. In total,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299 daycare directors and 325 par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the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to behavioral intention were delved by mean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For daycare director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menu planning. The RHIP perceived menu management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RLIP, which is a low group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lso,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he RHIP was higher in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than the RLI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coping cos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daycare center.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menu planning was greater in public daycare centers than in private daycare centers. Also,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all four motivational factors was found to be greater in public daycare centers than in private daycare cent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types of risk caused by inadequate menu 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In terms of impact on preschool children, self-efficacy and severity were the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Also, in terms of impact on facilities and management, self-efficacy was a protection motivation factor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Fourth, the size of a daycare center had a moderator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verity,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In terms of preschool children’s parent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aycare menu management based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a daycare center. The results for parents who were interested in daycare menus showed that a menu for preschool children was more important for them than the results for parents who were not interested. Parents who were interested in daycare menus demonstrated higher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Ⅰ, response efficacy Ⅱ, and self-efficacy, except for response costs. Second, the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that influenced parents' behavioral intention to intervene in menu management of a daycare center were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To summarize,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is a useful tool to induc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nd behavioral inten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for preschool children by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and to verifying these changes. We expect our resul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and to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menu management for children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o motivate these directors and parents to improve daycare menu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child’s healthy life through healthy diet habit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or daycare directors. Als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ents. The respondents were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regions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related to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ere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expert interview review, and a pilot test. In total,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299 daycare directors and 325 par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the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to behavioral intention were delved by mean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For daycare director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menu planning. The RHIP perceived menu management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RLIP, which is a low group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lso,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he RHIP was higher in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than the RLI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coping cos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enu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daycare center.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menu planning was greater in public daycare centers than in private daycare centers. Also,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all four motivational factors was found to be greater in public daycare centers than in private daycare cent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types of risk caused by inadequate menu 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In terms of impact on preschool children, self-efficacy and severity were the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Also, in terms of impact on facilities and management, self-efficacy was a protection motivation factor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Fourth, the size of a daycare center had a moderator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verity,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In terms of preschool children’s parent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aycare menu management based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a daycare center. The results for parents who were interested in daycare menus showed that a menu for preschool children was more important for them than the results for parents who were not interested. Parents who were interested in daycare menus demonstrated higher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Ⅰ, response efficacy Ⅱ, and self-efficacy, except for response costs. Second, the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that influenced parents' behavioral intention to intervene in menu management of a daycare center were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To summarize,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is a useful tool to induc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nd behavioral inten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for preschool children by daycare directors and parents and to verifying these changes. We expect our resul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improve menu 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and to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menu management for children in South Ko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