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와 우울정도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세 이상 성인 3,5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건강상태는 치주질환 유병여부, 잔존치아 수,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통 경험, 말하기 문제, 저작 문제를 포함하였다. 구강건강행태는 구강검진유무, 치과병원 이용유무, 치과진료 미치료유무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우울정도를 정상(0-9점), 중간 우울(10-14점), 심한 우울(15-27점)로 구분하였다. 결과: 우울정도에 따른 발생빈도는 전체 대상자 중 심한 우울은 2.7%, 중간 우울은 4.0%, 정상은 93.3%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보정한 후, 정상에 비해 심한 우울의 말하기 불편함(...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와 우울정도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세 이상 성인 3,5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건강상태는 치주질환 유병여부, 잔존치아 수,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통 경험, 말하기 문제, 저작 문제를 포함하였다. 구강건강행태는 구강검진유무, 치과병원 이용유무, 치과진료 미치료유무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우울정도를 정상(0-9점), 중간 우울(10-14점), 심한 우울(15-27점)로 구분하였다. 결과: 우울정도에 따른 발생빈도는 전체 대상자 중 심한 우울은 2.7%, 중간 우울은 4.0%, 정상은 93.3%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보정한 후, 정상에 비해 심한 우울의 말하기 불편함(odds ratio [OR], 2.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7-4.65)과 치과진료 미치료(OR, 1.79; 95% CI, 1.02-3.14)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정상에 비해 중간 우울의 저작 불편함(OR, 1.89; 95% CI, 1.05-3.38)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에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 중 말하기 문제, 저작 문제, 치과진료 미치료유무가 우울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향후 우울정도의 완화를 위해서는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와 우울정도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세 이상 성인 3,5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건강상태는 치주질환 유병여부, 잔존치아 수,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통 경험, 말하기 문제, 저작 문제를 포함하였다. 구강건강행태는 구강검진유무, 치과병원 이용유무, 치과진료 미치료유무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우울정도를 정상(0-9점), 중간 우울(10-14점), 심한 우울(15-27점)로 구분하였다. 결과: 우울정도에 따른 발생빈도는 전체 대상자 중 심한 우울은 2.7%, 중간 우울은 4.0%, 정상은 93.3%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보정한 후, 정상에 비해 심한 우울의 말하기 불편함(odds ratio [OR], 2.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7-4.65)과 치과진료 미치료(OR, 1.79; 95% CI, 1.02-3.14)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정상에 비해 중간 우울의 저작 불편함(OR, 1.89; 95% CI, 1.05-3.38)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에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 중 말하기 문제, 저작 문제, 치과진료 미치료유무가 우울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향후 우울정도의 완화를 위해서는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condition of oral health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in Korean adults. Method: We analyzed 3,512 adults at the age over 40 who participated in the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state of ora...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condition of oral health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in Korean adults. Method: We analyzed 3,512 adults at the age over 40 who participated in the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state of oral health, we considered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patient’s recognition of the oral health, the experience of a toothache, difficulties with speaking and chewing. For the condition of oral health, we included dental examinations, dental clinic visits, and the absence of dental treatment. The depression symptoms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which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normal (0-9 points), moderate depression (10-14 points), and severe depression (15-27 points). Result: The incidence of depression of the total subjects, the severe depression group was 2.7%,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was 4.0%, and the normal group was 93.3%. The severe depre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odds ratio in the absence of treatment (odds ratio [OR]: 1.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3.14) and in difficulties with chewing (OR: 2.43; 95% CI: 1.27-4.65)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odd ratio in difficulties in chewing (OR: 1.89; 95% CI: 1.05-3.38)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n Korean adults aged over 40 years, depression symptom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ertain factors among the oral health index such as the absence of dental treatment, difficulties in speaking and chewing. To relieve depression symptoms in the future, various measurements will be needed to manage and improve the state and condition of the oral healt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condition of oral health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in Korean adults. Method: We analyzed 3,512 adults at the age over 40 who participated in the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state of oral health, we considered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patient’s recognition of the oral health, the experience of a toothache, difficulties with speaking and chewing. For the condition of oral health, we included dental examinations, dental clinic visits, and the absence of dental treatment. The depression symptoms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which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normal (0-9 points), moderate depression (10-14 points), and severe depression (15-27 points). Result: The incidence of depression of the total subjects, the severe depression group was 2.7%,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was 4.0%, and the normal group was 93.3%. The severe depre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odds ratio in the absence of treatment (odds ratio [OR]: 1.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3.14) and in difficulties with chewing (OR: 2.43; 95% CI: 1.27-4.65)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odd ratio in difficulties in chewing (OR: 1.89; 95% CI: 1.05-3.38)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n Korean adults aged over 40 years, depression symptom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ertain factors among the oral health index such as the absence of dental treatment, difficulties in speaking and chewing. To relieve depression symptoms in the future, various measurements will be needed to manage and improve the state and condition of the oral heal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