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작은 수 및 큰 수 범위의 숫자를 자극으로 사용한 수량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실험 1)와 한글과 영어를 자극으로 사용한 비수량 순서 비교 과제(실험 2)를 실시하여 각 과제에서의 거리 효과를 분석하고, 각 거리 효과의 크기 간 관계 및 각 거리 효과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거리 효과 분석 결과, 숫자 및 글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모두 역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가까울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작은 수 범위 숫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고전적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멀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발견되었다. 순서 비교 과제의 거리 ...
본 연구에서는 작은 수 및 큰 수 범위의 숫자를 자극으로 사용한 수량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실험 1)와 한글과 영어를 자극으로 사용한 비수량 순서 비교 과제(실험 2)를 실시하여 각 과제에서의 거리 효과를 분석하고, 각 거리 효과의 크기 간 관계 및 각 거리 효과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거리 효과 분석 결과, 숫자 및 글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모두 역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가까울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작은 수 범위 숫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고전적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멀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발견되었다. 순서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 크기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동일한 범위를 사용한 숫자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 크기 간, 한글 순서 및 숫자 크기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의 크기 간 상관이 유의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큰 수 범위 숫자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 한글 순서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가 수학 성취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작은 수 및 큰 수 범위의 숫자 및 글자의 서수 표상이 동일한 행동적 효과를 나타내지만 각기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수 및 기수 표상 간 유사한 기제가 공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결과는 수량적 및 비수량적인 상징적 자극의 서수 표상 정확도 모두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수 및 큰 수 범위의 숫자를 자극으로 사용한 수량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실험 1)와 한글과 영어를 자극으로 사용한 비수량 순서 비교 과제(실험 2)를 실시하여 각 과제에서의 거리 효과를 분석하고, 각 거리 효과의 크기 간 관계 및 각 거리 효과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거리 효과 분석 결과, 숫자 및 글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모두 역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가까울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작은 수 범위 숫자 순서 비교 과제에서 고전적 거리 효과(i.e., 자극 간 거리가 멀 때 더 짧은 반응 시간과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현상)가 발견되었다. 순서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 크기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동일한 범위를 사용한 숫자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 크기 간, 한글 순서 및 숫자 크기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의 크기 간 상관이 유의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큰 수 범위 숫자 순서 및 크기 비교 과제, 한글 순서 비교 과제의 거리 효과가 수학 성취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작은 수 및 큰 수 범위의 숫자 및 글자의 서수 표상이 동일한 행동적 효과를 나타내지만 각기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수 및 기수 표상 간 유사한 기제가 공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결과는 수량적 및 비수량적인 상징적 자극의 서수 표상 정확도 모두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In the current study, we administered numerical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using small/large number ranges (Experiment 1) and non-numerical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using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 2) as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distance eff...
In the current study, we administered numerical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using small/large number ranges (Experiment 1) and non-numerical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using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 2) as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distance effects from each task correlates with one another, and whether they can be predictive of math achievement. We found reverse distance effects (i.e., faster response time or higher accuracy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smaller) from the small/large number and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Also, the canonical distance effects (i.e., faster response time or higher accuracy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larger) was observed from the small number magnitude comparison task. The correlations between distance effects of order comparison tasks were not significant, while the correlations between those of the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using the same range and between the number and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were significant. Th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stance effects of the large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and Korean order comparison task predicted math achievement score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dinal representations of numbers and letters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despite the same behavioral effects (i.e., reverse distance effects) and that ordinality and cardinality may hold similar underlying mechanisms. Furthermore, they indicate that the order processing of both numerical and non-numerical symbolic stimuli are close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In the current study, we administered numerical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using small/large number ranges (Experiment 1) and non-numerical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using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 2) as stimu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distance effects from each task correlates with one another, and whether they can be predictive of math achievement. We found reverse distance effects (i.e., faster response time or higher accuracy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smaller) from the small/large number and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Also, the canonical distance effects (i.e., faster response time or higher accuracy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larger) was observed from the small number magnitude comparison task. The correlations between distance effects of order comparison tasks were not significant, while the correlations between those of the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using the same range and between the number and letter order comparison tasks were significant. Th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stance effects of the large number order/magnitude comparison tasks and Korean order comparison task predicted math achievement score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dinal representations of numbers and letters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despite the same behavioral effects (i.e., reverse distance effects) and that ordinality and cardinality may hold similar underlying mechanisms. Furthermore, they indicate that the order processing of both numerical and non-numerical symbolic stimuli are close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