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7 no.1, 2014년, pp.1 - 16
성창근 (큰별초등학교)
본 연구는 유추 거리 및 수학적 지식과 학습의 전이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유추적 거리에 따라 구분된 세 가지 전이 문제 해결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각 전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수학적 지식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종류의 전이 문제 해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추 거리가 증가할수록 성공률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사실 지식 보다는 개념적 지식이 전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습의 전이를 위해 수학 수업은 어떠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그리고 유추 거리라는 새로운 구인을 찾고 그것이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analogy distance and mathematical knowledge affect on transfer problems solving with different analogy distance. To conduct the study, transfer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multiple categories: mathematical word problem based on rates, science word pr...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학습의 전이란? | 학습의 전이는 한 맥락에서 학습한 지식을 새로운 맥락으로 전이할 수 있는 능력이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의 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
학습자의 입장에서 전이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 전이를 맥락의 여러 차원에 따라 근거리 또는 원거리 전이로 구분하는 것은 학습자의 입장이 아니라 연구자의 입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기도 하다(예를 들어, Lobato, 2006; Rebello et al, 2005). 이에 Rebello 등(2005)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전이를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로 구분하였다. 먼저 수평적 전이는 수학이나 과학 교과서에서 특정한 개념이나 원리를 학습한 후 연습문제를 풀 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 |
단원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할 때 학생들의 관점에서 수직적 전이를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들의 관점에서 수직적 전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적절한 스키마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스키마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대부분의 일상생활 문제는 수직적 전이와 관련이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2012a). 초등학교 과학 5-2 교과서. 서울:(주)금성출판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a). Science textbook 5-2. Seoul: KumSung Publishing Co.)
교육과학기술부 (2012b). 초등학교 과학 5-2 실험관찰. 서울:(주)금성출판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b). Science workbook 5-2. Seoul: KumSung Publishing Co.)
교육과학기술부 (2012c). 초등학교 과학 5-2 교사용 지도서. 서울:(주)금성출판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c). Science teachers' guide 5-2. Seoul: KumSung Publishing Co.)
성태제 (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Seong T. J. (2007). Easy statistics analysis using SPSS/AMOS. Seoul: Hakjisa.)
이종희.김진화.김선희 (2003). 중학생을 대상으로한 대수 문장제 해결에서의 유추적 전이. 수학교육, 42(3), 353-368.(Lee, J. H., Kim J. W., Kim S. H. (2003), Middle school students' analogical transfer in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3), 353-368.)
Barnett, S. M., & Ceci, S. J. (2002). When and where do we apply what we learn? A taxonomy for far transfer. Psychological Bulletin, 128(4), 612-637.
Bassok, M., & Holyoak, K. J. (1989). Inter-domain transfer between isomorphic topic in algebra and physics. Journal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Cognition, 15(1), 153-166.
Bassok, M. (1997). Two types of reliance on correlation between content and structure in reasoning about word problem. In L. D. English(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pp. 221-246).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Bassok, M., & Olseth, K. L. (1995). Object-based representations: Transfer between cases of continuous and discrete models of chan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6, 354-367.
Bernardo, A. B. I.(2001). Analogical problem construction and transfer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al Psychology, 21(2), 137-150.
Chi, M. T. H., Feltovich, P., & Glaser, R. (1981). Categorization and representation of physics problem by experts and novices. Cognitive Science, 3, 121-151.
English, L. D. (1997). Children's reasoning process in classifying and solving computational word problem. In L. D. English(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and images(pp. 191-220).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Erricson, K. A. (2006). Protocol analysis and expert thought: Concurrent verbalizations of thinking during experts' performance on representative tasks. In K. A. Erricson, N. Charness, P. J. Feltovich, & R. R. Hoffmann(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pp .223-242).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bato, J. (2006).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transfer of learning: History, issue, and challenge for future research. The Journal of Learning Science, 15(4), 431-449.
Mayer, R. E., & Hegarty, M. (1996).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problems. In R. J. Sternberg, & T. Ben-Zeev(Eds.), The nature of mathematical thinking(pp. 29-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Rebello, N. S., Zollman, D. A., Allbaugh, A. R., Engelhardt, P. V., Gray, K. E., Hrepic, Z., et al. (2005). Dynamic transfer: A perspective from physics education research. In J. P.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cation Inc.
Reed, S. K. (1999). Word problems: Research and curriculum reform.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