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류구간의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근원이 되는 지류하천의 물 환경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 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아울러 오염된 지류하천의 수질개선 없이는 낙동강과 같은 본류구간의 수질은 개선되기 어려우며, 이러한 본류구간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류하천에 대한 수질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근원이 되는 28개 지류하천에 대해 수질 및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 통계분석 및 토지이용분석, 오염기여율 산정, 수질부하밀도 분석 등 다양한 평가방법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수질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하천을 선정한 결과 최고점수 89점, 86점, 84점, 82점, 80점으로 주천강, 차천, 토평천, 화포천 그리고 금호강이 우선적으로 물 환경관리 대책이 필요한 A Group하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하천은 하․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의 영향과 함께 논과 밭의 토지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비점오염으로 인한 영향으로 수질농도가 높은 하천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이들 지류하천은 중점관리수질항목 도출 결과에서도 3개 이상의 수질항목을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동강의 수질개선을 위해서 물 환경관리 대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하천으로 판단된다. 하천등급화를 통해 우선순위로 분류된 지류하천에 대하여 수질변동추세 분석과 ...
본류구간의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근원이 되는 지류하천의 물 환경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 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아울러 오염된 지류하천의 수질개선 없이는 낙동강과 같은 본류구간의 수질은 개선되기 어려우며, 이러한 본류구간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류하천에 대한 수질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근원이 되는 28개 지류하천에 대해 수질 및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 통계분석 및 토지이용분석, 오염기여율 산정, 수질부하밀도 분석 등 다양한 평가방법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수질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하천을 선정한 결과 최고점수 89점, 86점, 84점, 82점, 80점으로 주천강, 차천, 토평천, 화포천 그리고 금호강이 우선적으로 물 환경관리 대책이 필요한 A Group하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하천은 하․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의 영향과 함께 논과 밭의 토지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비점오염으로 인한 영향으로 수질농도가 높은 하천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이들 지류하천은 중점관리수질항목 도출 결과에서도 3개 이상의 수질항목을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동강의 수질개선을 위해서 물 환경관리 대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하천으로 판단된다. 하천등급화를 통해 우선순위로 분류된 지류하천에 대하여 수질변동추세 분석과 PCA ordinations 통계분석 그리고 주단위(8일 간격) 유량자료를 활용한 오염부하지속곡선(LDC)방법으로 물 환경오염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금호강을 대상으로 BOD, COD, TN, TP 항목에 대하여 시․공간적 추세분석을 통한 장기 수질변동특성을 살펴본 결과 BOD농도는 증감의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D농도는 수계 전반에 걸쳐 “증가” 추세로 분석되었고, TN농도 역시 금호강에서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금호강의 TP농도는 p-value 0.0000으로 유의수준(a) 0.05 이하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감소” 즉 “개선”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LOWESS 분석결과 2012년부터 감소하는 추세 변화가 명확하게 관찰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MDL 시행에 따른 수질개선효과로 판단된다. PCA ordination 결과에서 BOD, TN은 강우가 부족한 저․갈수기(12-3월) 겨울철에 점오염원으로 부터 유래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었고, TP, COD, TOC는 강우에 의해 유량이 증가하는 하계에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PCA ordination 통계분석 결과 P loading의 대부분이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 지류유역들내 토지계(경작지)와 축산계로 부터 비점오염원 유래로 오염원 기원이 변화되는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8일 간격으로 실측한 유량 자료를 이용한 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여 물 환경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TN은 유량조건의 부하지속곡선 결과와 계절조건의 결과에서 동일한 시기인 저․갈수기간에 기준 수질 농도를 초과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개선 방안으로는 하․폐수처리 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로 방류수질 개선 등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TP농도는 6월∼8월에 홍수기인 고유량 구간에서 기준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저감전략으로 인공습지조성, Low Impact Farming(저영농기법), 토양침식 프로그램과 같은 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안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질개선 등급화를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통계적 접근방법은 다른 수계에서도 수질관리를 위한 우선 관리대상 지류하천의 선정 시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선정된 오염도가 높은 지류하천을 대상으로 수질측정망과 연계한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통한 물 환경오염도 평가 방법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낙동강의 근원적 녹조 예방 및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방안 등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류구간의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근원이 되는 지류하천의 물 환경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 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아울러 오염된 지류하천의 수질개선 없이는 낙동강과 같은 본류구간의 수질은 개선되기 어려우며, 이러한 본류구간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류하천에 대한 수질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근원이 되는 28개 지류하천에 대해 수질 및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 통계분석 및 토지이용분석, 오염기여율 산정, 수질부하밀도 분석 등 다양한 평가방법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수질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하천을 선정한 결과 최고점수 89점, 86점, 84점, 82점, 80점으로 주천강, 차천, 토평천, 화포천 그리고 금호강이 우선적으로 물 환경관리 대책이 필요한 A Group하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하천은 하․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의 영향과 함께 논과 밭의 토지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비점오염으로 인한 영향으로 수질농도가 높은 하천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이들 지류하천은 중점관리수질항목 도출 결과에서도 3개 이상의 수질항목을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동강의 수질개선을 위해서 물 환경관리 대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하천으로 판단된다. 하천등급화를 통해 우선순위로 분류된 지류하천에 대하여 수질변동추세 분석과 PCA ordinations 통계분석 그리고 주단위(8일 간격) 유량자료를 활용한 오염부하지속곡선(LDC)방법으로 물 환경오염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금호강을 대상으로 BOD, COD, TN, TP 항목에 대하여 시․공간적 추세분석을 통한 장기 수질변동특성을 살펴본 결과 BOD농도는 증감의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D농도는 수계 전반에 걸쳐 “증가” 추세로 분석되었고, TN농도 역시 금호강에서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금호강의 TP농도는 p-value 0.0000으로 유의수준(a) 0.05 이하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감소” 즉 “개선”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LOWESS 분석결과 2012년부터 감소하는 추세 변화가 명확하게 관찰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MDL 시행에 따른 수질개선효과로 판단된다. PCA ordination 결과에서 BOD, TN은 강우가 부족한 저․갈수기(12-3월) 겨울철에 점오염원으로 부터 유래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었고, TP, COD, TOC는 강우에 의해 유량이 증가하는 하계에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PCA ordination 통계분석 결과 P loading의 대부분이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 지류유역들내 토지계(경작지)와 축산계로 부터 비점오염원 유래로 오염원 기원이 변화되는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8일 간격으로 실측한 유량 자료를 이용한 부하지속곡선을 활용하여 물 환경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TN은 유량조건의 부하지속곡선 결과와 계절조건의 결과에서 동일한 시기인 저․갈수기간에 기준 수질 농도를 초과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개선 방안으로는 하․폐수처리 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로 방류수질 개선 등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TP농도는 6월∼8월에 홍수기인 고유량 구간에서 기준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저감전략으로 인공습지조성, Low Impact Farming(저영농기법), 토양침식 프로그램과 같은 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안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질개선 등급화를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통계적 접근방법은 다른 수계에서도 수질관리를 위한 우선 관리대상 지류하천의 선정 시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선정된 오염도가 높은 지류하천을 대상으로 수질측정망과 연계한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통한 물 환경오염도 평가 방법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낙동강의 근원적 녹조 예방 및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방안 등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order to establish a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plan in the mainstream section, the wat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ary streams that are the source of mainstream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diagnos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qua...
In order to establish a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plan in the mainstream section, the wat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ary streams that are the source of mainstream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diagnos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quality of mainstream sections such as the Nakdong River without improving the quality of contaminated tributary streams. In order to manage water quality in such mainstream sections,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tributary streams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land use analysis, pollution contribution rate calculation and water quality load density analysis are scored based on water quality and flow data for 28 tributary streams which are the origin of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As a result of selecting priority streams, the highest scores of 89, 86, 84, 82, and 80 were selected as the A group river which needs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reference firstly by Joochungang, Chacheon, Topyeongcheon, Hwapocheon and Geumhogang these rivers were classified as rivers with high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the influence of non-point pollution caused by relatively high land use ratio of paddy fields with the influence of point pollution such as wastewater and sewer. In particular, these tributary streams should manage more than 3 water quality items in the result of the focused management water quality i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PCA ordinations, and pollution load continuity curves (LDC) using weekly (8 - day intervals) flow data were us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egree, respectively. The BOD, COD, TN, and TP items of the Geumhogang were analyzed by time - and spatial trend analysis. As a result, the BOD concentration showed no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and the concentration of TN also showed an "increase " trend in Geumhogang. The TP concentration in the Geumhoga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or "improving" with a p-value of 0.0000 and a significance level (a) of 0.05 or less. As a result of the LOWESS analysi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the effect of TMDL improvement on water quality. In the PCA ordination results, BOD and TN showed clearly that they were derived from point sources in the low water level and dry season (December to March) with lowe rainfall. TP, COD, and TOC were also increased by rainfall Especially, P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P loading is caused by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the land system (farmland) and the livestock system in the tributary watershed in the summer when rainfall is concentr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pattern was more conspicuou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egree of the water using the load duration curve using the measured flow data at intervals of 8 days, the TN showed the result of the load duration curve of the flow condition an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it can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ischarged water by strengthe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effluent water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The TP concentration exceeded the reference water quality in the high flow period during the flood season from June to August. As a result, the reduction strategy is needed for applying to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watersheds such as artificial wetland formation and low impact farming. It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to suppress the inflow of the material as much as possible. The statistical approach from various points of view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will be a very effective method for selecting the tributary streams for priority managemen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other water systems. As a result, we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repare water pollutant assessment method through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linked with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to plan measures to prevent the rooting of the Nakdong River and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In order to establish a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plan in the mainstream section, the wat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ary streams that are the source of mainstream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diagnos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quality of mainstream sections such as the Nakdong River without improving the quality of contaminated tributary streams. In order to manage water quality in such mainstream sections,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tributary streams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land use analysis, pollution contribution rate calculation and water quality load density analysis are scored based on water quality and flow data for 28 tributary streams which are the origin of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As a result of selecting priority streams, the highest scores of 89, 86, 84, 82, and 80 were selected as the A group river which needs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reference firstly by Joochungang, Chacheon, Topyeongcheon, Hwapocheon and Geumhogang these rivers were classified as rivers with high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the influence of non-point pollution caused by relatively high land use ratio of paddy fields with the influence of point pollution such as wastewater and sewer. In particular, these tributary streams should manage more than 3 water quality items in the result of the focused management water quality it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PCA ordinations, and pollution load continuity curves (LDC) using weekly (8 - day intervals) flow data were us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egree, respectively. The BOD, COD, TN, and TP items of the Geumhogang were analyzed by time - and spatial trend analysis. As a result, the BOD concentration showed no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and the concentration of TN also showed an "increase " trend in Geumhogang. The TP concentration in the Geumhoga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or "improving" with a p-value of 0.0000 and a significance level (a) of 0.05 or less. As a result of the LOWESS analysi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the effect of TMDL improvement on water quality. In the PCA ordination results, BOD and TN showed clearly that they were derived from point sources in the low water level and dry season (December to March) with lowe rainfall. TP, COD, and TOC were also increased by rainfall Especially, P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P loading is caused by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the land system (farmland) and the livestock system in the tributary watershed in the summer when rainfall is concentr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pattern was more conspicuou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egree of the water using the load duration curve using the measured flow data at intervals of 8 days, the TN showed the result of the load duration curve of the flow condition an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it can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ischarged water by strengthe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effluent water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The TP concentration exceeded the reference water quality in the high flow period during the flood season from June to August. As a result, the reduction strategy is needed for applying to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watersheds such as artificial wetland formation and low impact farming. It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to suppress the inflow of the material as much as possible. The statistical approach from various points of view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will be a very effective method for selecting the tributary streams for priority managemen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other water systems. As a result, we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repare water pollutant assessment method through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linked with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to plan measures to prevent the rooting of the Nakdong River and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