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65~80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대상으로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기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65~80세 노인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노인 10명, 총 2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별검사도구로는 K-MMSE(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
본 연구는 65~80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대상으로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기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65~80세 노인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노인 10명, 총 2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별검사도구로는 K-MMSE(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GDS(전반적 퇴화 척도)로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선별하였으며 본 검사자가 김미정(2009), 이예나(2015), 김유진(2016)의 연구를 참고하여 단어를 선정하고 예비실험을 통해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목표단어와 설명문을 제시하여 두 집단의 보통명사와 고유명사의 설명듣고 이름대기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roduct and Service Solution, version 24)로, 집단 간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내 고유명사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의 차이와 집단 내 보통명사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 차이에 대해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일반노인이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보다 더 높은 정반응수를 보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도 일반노인이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보다 더 높은 정반응수를 보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노인 집단 내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일반노인 집단 내 보통명사 설명득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내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여섯째,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내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의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간에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정반응수를 비교한 결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시각적 단서에서 가장 낮은 정반응수를 보였다. 여덟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간에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관한 수행률을 비교한 결과, 일반노인의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1차 음운적 단서가 100%로 가장 높은 수행률을 보였고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1차 음운적 단서가 19.6%로 가장 낮은 수행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은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가 수행률이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보통명사보다 고유명사 이름대기가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집단의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정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단서제시에 따른 효과를 알아본 결과, 음운적 단서보다는 시각적 단서가 더 나은 단서효과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으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제한점을 보였기 때문에 차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일치시킨 집단에서 연구를 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 특성을 알아보고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효과를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65~80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대상으로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기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65~80세 노인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노인 10명, 총 2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별검사도구로는 K-MMSE(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GDS(전반적 퇴화 척도)로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선별하였으며 본 검사자가 김미정(2009), 이예나(2015), 김유진(2016)의 연구를 참고하여 단어를 선정하고 예비실험을 통해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목표단어와 설명문을 제시하여 두 집단의 보통명사와 고유명사의 설명듣고 이름대기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roduct and Service Solution, version 24)로, 집단 간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내 고유명사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의 차이와 집단 내 보통명사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 차이에 대해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일반노인이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보다 더 높은 정반응수를 보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도 일반노인이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보다 더 높은 정반응수를 보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노인 집단 내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일반노인 집단 내 보통명사 설명득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내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여섯째,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내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의 오반응 한 문항에서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를 무작위하게 제시하여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간에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정반응수를 비교한 결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시각적 단서에서 가장 낮은 정반응수를 보였다. 여덟째,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 집단 간에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관한 수행률을 비교한 결과, 일반노인의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1차 음운적 단서가 100%로 가장 높은 수행률을 보였고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1차 음운적 단서가 19.6%로 가장 낮은 수행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은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보통명사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가 수행률이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보통명사보다 고유명사 이름대기가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집단의 설명듣고 이름대기 과제에서 정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단서제시에 따른 효과를 알아본 결과, 음운적 단서보다는 시각적 단서가 더 나은 단서효과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으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제한점을 보였기 때문에 차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일치시킨 집단에서 연구를 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일반노인과 초기 알츠하이머 노인의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이름대기 특성을 알아보고 시각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에 따른 효과를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characteristics targeting general elderly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between age 65 to 80. The study subjects are total 20, 10 elderlies in age 65 to 80 who are diagnosed with early Alzheimer's disease and 10 general elderlies who accord w...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characteristics targeting general elderly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between age 65 to 80. The study subjects are total 20, 10 elderlies in age 65 to 80 who are diagnosed with early Alzheimer's disease and 10 general elderlies who accord with living age. As for the selective study tool, the study used K-MMSE and GDS to separate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Also, this study provided goal word and explanation made by selecting words based on Kim Ji Jeong(2009), Lee Ye Na(2015), Kim You Jin(2016)'s study and later revis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Later, the study gathered explanation about common and proper noun from two groups, learned about the difference in naming, and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by the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study used SPSS v.20,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 t-test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among two groups, and matching sample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of common and proper noun within a group.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naming test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general elderly showed higher number of positive reaction that early Alzheim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naming test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general elderly showed higher number of positive reaction that early Alzheim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a question which the general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n a question which the general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in a question which the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in a question which the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Seventh, the study compared number of positive reaction regard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mong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As the result, the early Alzheimer's group showed the lowest number in visual clue of proper noun naming test. Eighth, the study compared number of execution rate regard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mong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As the result, the general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100% in primary phonological clue of common noun naming test, and early Alzheimer's group showed the lowest rate of 19.6% in primary phonological clue of proper noun naming test. Comprehensively speak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test of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common noun naming had better execution rate. Als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both groups, proper noun naming was more helpful than common noun naming. And in listening to explanation and naming of two group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lue suggestion for positive reaction in naming test of two groups, it was assumed that visual clue is better than phonological clue, but it was limited due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 Thu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udy that corresponded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 it will result in better resul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pprehended the property of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of general elderly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and it understood the effectiveness of visual clue and phonological clue of two groups.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characteristics targeting general elderly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between age 65 to 80. The study subjects are total 20, 10 elderlies in age 65 to 80 who are diagnosed with early Alzheimer's disease and 10 general elderlies who accord with living age. As for the selective study tool, the study used K-MMSE and GDS to separate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Also, this study provided goal word and explanation made by selecting words based on Kim Ji Jeong(2009), Lee Ye Na(2015), Kim You Jin(2016)'s study and later revis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Later, the study gathered explanation about common and proper noun from two groups, learned about the difference in naming, and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by the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study used SPSS v.20, conducted independent variable t-test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among two groups, and matching sample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of common and proper noun within a group.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naming test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general elderly showed higher number of positive reaction that early Alzheim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naming test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general elderly showed higher number of positive reaction that early Alzheimer's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a question which the general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n a question which the general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in a question which the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proper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in a question which the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showed wrong reaction in naming after listening to explanation about common noun,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by suggest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in random, and did not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 Seventh, the study compared number of positive reaction regard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mong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As the result, the early Alzheimer's group showed the lowest number in visual clue of proper noun naming test. Eighth, the study compared number of execution rate regarding visual and phonological clue among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As the result, the general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100% in primary phonological clue of common noun naming test, and early Alzheimer's group showed the lowest rate of 19.6% in primary phonological clue of proper noun naming test. Comprehensively speak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test of general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group, common noun naming had better execution rate. Als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both groups, proper noun naming was more helpful than common noun naming. And in listening to explanation and naming of two group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lue suggestion for positive reaction in naming test of two groups, it was assumed that visual clue is better than phonological clue, but it was limited due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 Thu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udy that corresponded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 it will result in better resul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pprehended the property of common and proper noun naming of general elderly and early Alzheimer's elderly and it understood the effectiveness of visual clue and phonological clue of two grou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