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 동향
Research Trend of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5 no.1, 2012년, pp.1 - 11  

서순성 (고려대학교 화학과) ,  이철우 (성신여자대학교 화학과) ,  김건 (고려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리튬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고용량화되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친환경 수송 장치의 전기자동차가 주목 받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리튬이차전지의 많은 성능개선이 요구된다. 현재 리튬이차전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Hybrid Electric Vehicle, HEV)'에 실제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높은 용량, 긴 수명, 그리고 안전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현재 리튬이차전지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유기전해액의 과열 및 과충전 상태에서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에 높은 안전성을 가진 고체전해질로의 대체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 개선을 위한 고체전해질의 연구 동향과 출원된 특허 및 논문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LIB) have rapidly developed because of their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ies and capacities. Among them, an electrical vehicle which is the on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received a great attention, but, it i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9) 이에 반하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이 낮고, 액체 전해질 사용시보다 전극/전해질 계면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10) 현재 여러가지 고체전해질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화물계와 황화물계 무기 고체전해질의 연구동향과 출원된 특허 및 논문을 분석하여 고체전해질을 통한 현재의 LIB 성능개선 방법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 졌다.
  •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 측면에서 궁극적인 기술 개발 목표인 전고체전지, 특히 전고체전지의 핵심 기술인 고체전해질의 기술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Fig.
  • 이상과 같이 고체전해질의 원리와 개발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근 전지는 자동차용 전지, 고정용 전지에서 축전용도로 사용할 대형전지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현재까지 주류를 이루었던 휴대기기용 소형전지가 아닌, 전기자동차 고정용 축전지용도 등으로 사용할 대형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기 때문 이다.
  • 이상으로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대표적인 무기물 고체전해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황화물 계열의 고체전해질은 10-3–10-5 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이지만, 대기 중에서 수분과 반응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체전해질은 어떤 단점을 극복 및 보완해야 하는가? 그렇지만 현재 고체전해질은 아직까지는 액체전해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온전도도를 보이며, 계면 접촉저항의 증가 및 물과 반응에 의한 황화수소 발생 (황화물인 경우) 등의 단점을 극복/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한다. 향후 산업계나 학계에서 고체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다양한 용도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안정성 높은 전지의 개발이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단점은? 대표적인 산화물계 고체전해질로 Li-La-Ti-O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체전해질은 결정성에 의한 grain boundary의 입계저항때문에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19) 또한 결정화를 위해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성 선택의 제한 및 전극/전해질 계면 특성이 저하되고, 전이금속의 환원에 의해 전자 전도도의 감소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서 비교적 낮은 이온전도도(10-3-10-5S/cm)를 가진다.20) 따라서 현재 비정질 산화물 고체전해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정질 고체전해질은 리튬이온이 이동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전고체전지의 장점은? Fig.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는 기존에 리튬이차전지 에서 사용되는 액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하며 전해액의 분해반응 등에 의한 발화, 폭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음극 소재로 Li-metal 혹은 Li-alloy 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질량 및 부피에 대한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8-9) 이에 반하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고체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이 낮고, 액체 전해질 사용시보다 전극/전해질 계면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W, Tahil, 'The Zinc Air Battery and the Zinc Economy: A Virtuous Circle' Meridian International Research, (2007). 

  2. G. Girishkumar, B. McCloskey, A.C. Luntz, S. Swanson, and W. Wilcke, 'Lithium-Air Battery: Promise and Challenges' J. Phys. Chem. Lett., 1, 2193 (2010). 

  3. X. Zhuo-bing, M. Ming-you, W. Xian-ming, H. Ze-qiang and C. Shang, 'Thin-film lithium-ion battery derived from $Li_{1.3}Al_{0.3}Ti_{1.7}(PO_{4})_{3}$ sintered pellet' Trans. Nonferrous Met. Soc. China, 16, 281 (2006). 

  4. A. D. Pasquier, I. Plitz, S. Menocal, and G. Amatucci, 'A comparative study of Li-ion battery, supercapacitor and nonaqueous asymmetric hybrid device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 Power Sources, 115, 171 (2003). 

  5. K. Kurashima and T. Tamakoshi, 'Recent sodium sulfur battery applications in Japan'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6. J. B. Bates, N. J. Dudney, B. Neudecker, A. Ueda, and C.D. Evans, 'Thin-film lithium and lithium-ion batteries' Solid State Ionics, 135, 33 (2000). 

  7. B. Bates, N. J. Dudney, D. C. Lubben, G. R. Gruzalski, B. S. Kwak, X. Yu and R. A. Zuhr, 'Thin-film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54, 58 (1995). 

  8. R. A. Huggins, 'Lithium alloy negative electrodes' J. Power Sources, 81, 13 (1999). 

  9. J. O. Besenhard, J. Ynag, and M. Winter, 'Will advanced lithium-alloy anodes have a chance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68, 87 (1997). 

  10. A. Karthikeyan, P vinatier, and A. Levasseur, 'Study of lithium glassy solid electrolyte/electrode interface by impedance analysis' Bull. Mater. Sci., 23, 179 (2000). 

  11. P. Knauth, 'Inorganic solid Li ion conductors: An overview' Solid State Ionics, 180, 911 (2009). 

  12. J. W. Fergus, 'Ceramic and polymeric solid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6, (2010). 

  13. J. H. Kennedy, S. Sahami, S. W. Shea, and Z. Zhang, 'Preparation and conductivity measurements of $SiS_{2}-Li_{2}S$ glasses doped with LiBr and LiCl' Solid State Ionics, 18, 368 (1986). 

  14. K. Takadaa, T. Inada, A. Kajiyama, H. Sasaki, S. Kondo, M. Watanabe, M. Murayama, and R. Kanno, 'Solid-state lithium battery with graphite anode' Solid State Ionics, 158, 269 (2003). 

  15. A, Overton, 'Inorganic Chemistry Fourth Edition' p 729 (2006). 

  16. K. H. Cho, 'Fabrication $Li_{2}O-B_{2}O_{3}-P_{2}O_{5}$ Solid Electrolyte by Aerosol Flame Deposition for ThinFilm Battery'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8). 

  17. M. L. F. Nascimento and N. O. Dantas, 'Anderson-Stuart model of ionic conductors in $Na_{2}O-SiO_{2}$ glasses' Ciencia & Engenharia, 12, 7 (2003). 

  18. N. Kamaya, K. Homma, Y. Yamakawa, M. Hirayama1, R. Kanno, M .Yonemura, T. Kamiyama, Y. Kato, S. Hama, K. Kawamoto, and A. Mitsui, 'A lithium superionic conductor' Nat. Mater., 10, 682 (2011). 

  19. S. Stramare, V. Thangadurai, and W. Weppner, 'Lithium Lanthanum Titanates: A review' Chem. Mater., 15, 3974 (2003). 

  20. V. Thangadurai, H. Kaack, and W. J.F. Weppner, 'Novel fast lithium ion conduction in Garnet-type $Li_{5}La_{3}M_{2}O_{12}$ (M Nb, Ta), J. Am. Ceram. Soc., 86, 437 (2003). 

  21. K. Arbi, A. Kuhn, J. Sanz, and F. Garcia-Alvarado, 'Characterization of Lithium Insertion NASICON-Type $Li_{1-x}Ti_{2-x}Al_{x}(PO_{4})_{3}$ and Its Electrochemical Behavior' J. Electrochem. Soc., 157, 654 (2010). 

  22. R. Komiya, A. Hayashi, H. Morimoto, and M. Tatsumisago, 'Solid stat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an amorphous solid electrolyte in the system' Solid State Ionics, 140, 84 (2001). 

  23. G. X. Wang, D. H. Bradhurst, S. X. Dou, and H. K. Liu, ' $LiTi_{2}(PO_{4})_{3}$ with NASICON-type structure as lithiumstorage materials' J. Power Sources, 124, 231 (2003). 

  24. J. L. Narvaez-Semanate and A.C.M. Rodrigues, 'Microstructure and ionic conductivity of $Li_{1+x}Al_{x}Ti_{2-x}(PO_{4})_{3}$ ' Solid State Ionics, 181, 1197 (2010). 

  25. H. Aono and E. Sugimoto, 'Electrical property and sinterability of $LiTi_{2}(PO_{4})_{3}$ mixed with lithium salt ( $Li_{3}PO_{4}$ or $Li_{3}BO_{3}$ )' Solid State Ionics, 47, 257 (1991). 

  26. K. Arbi, S. Mandal, J. M. Rojo, and J. Sanz, 'Dependence of Ionic Conductivity on Composition of Fast Ionic Conductors $Li_{1+x}Ti_{2-x}Al_{x}(PO_{4})_{3},\;0{\leq}x{\leq}0.7$ . A Parallel NMR and Electric Impedance Study' Chem. Mater., 14, (2002). 

  27. R. Kanno and M. Murayama, J. Electrochem. Soc., 148, 742 (2001). 

  28. Z. Liu, Fuqiang Huang, J. Yang, Baofeng Wang, and J. Sun, 'New lithium ion conductor, thio-LISICON lithium zirconium sulfide system' Solid State Ionics, 179, (2008). 

  29. M. Murayama, N. Sonoyama, A. Yamada, and R. Kanno, 'Material design of new lithium ionic conductor, thioLISICON in the $Li_{2}S-P_{2}S_{5}$ system' Solid State Ionics, 170, 173 (2004). 

  30. M. Murayama, R. Kanno, Y. Kawamoto, and T. Kamiyama, 'Structure of the thio-LISICON, $Li_{4}GeS_{4}$ ' Solid State Ionics, 154, 789 (2002). 

  31. Y. Shibutani, F. Mizuno, A. Hayashi, and M. Tatsumisago, Chemist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5, 219 (2007). 

  32. H. Hyooma and K. Hayahi, Mater. Res. Bull., 23, 1399 (1988). 

  33. V. Thangadurai and W. Weppner, ' $Li_{6}ALa_{2}Ta_{2}O_{12}$ (A Sr, Ba): Novel Garnet-Like Oxides for Fast Lithium Ion Conduction' Adv, Funct. Mater., 15, 107 (2005). 

  34. S. Stramare, V. Thangadurai, and W. Weppner, 'Lithium Lanthanum Titanates: A Review' Chem. Mater., 15, 3974 (2003). 

  35. Y. Inaguma, C. Liquan, M. Itoh, and T. Nakamura, 'High Ionic Conductivity in Lithium Lanthanum Titanate' Solid State Commun., 86, 689 (1993). 

  36. M. Nakayama, T. Usui, Y. Uchimoto, M. Wakihara, and M. Yamanoto, Changes in Electronic Structure upon Lithium Insertion into the A-Site Deficient Perovskite Type Oxides $(Li,La)TiO_{3}$ ' J. Phys. Chem. B, 109, 4135 (2005). 

  37. K. Mizumoto and S. Hayashi, 'Lithium ion conduction in A-site deficient perovskites' Solid State Ionics, 116, 263. (1999). 

  38. US 특허 5314765. 

  39. US 특허 5338625. 

  40. US 특허 5512147. 

  41. US 특허 5567210. 

  42. US 특허 5597660. 

  43. US 특허 5612152. 

  44. N. J. Dudney and B. J. Neudecker, 'Solid state thin-film lithium battery systems' Curr. Opin. Solid St. M., 4, 479 (1999). 

  45. http://www.aist.go.jp/aist_j/press_release/pr2010/pr20101105/pr20101105.html. 

  46. http://www.ohara-inc.co.jp/en/product/electronics/licgc.html. 

  47. NIKKEI ELECTRONICS 2010.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