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여대생의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of female undergraduates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불안 및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한 대학교에서 대인관계나 발표불안에 어려움이 있는 여학생들을 모집하여 총 10회기의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불안 및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한 대학교에서 대인관계나 발표불안에 어려움이 있는 여학생들을 모집하여 총 10회기의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SADS), 발표불안 척도(SAS), 자존감 척도(SES)를 사용하였고, 총 10회기에 걸친 미술치료 회기에 대한 녹음 및 완성작품을 토대로 행동관찰을 하여 발표태도 와 정서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양적 자료는 사전-사후점수로 paired z-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불안이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자존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태도와 정서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여대생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아동과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여 사회불안과 미술치료를 다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이론에 기반을 둔 사회불안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것에 그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가능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불안 및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한 대학교에서 대인관계나 발표불안에 어려움이 있는 여학생들을 모집하여 총 10회기의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적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척도(SADS), 발표불안 척도(SAS), 자존감 척도(SES)를 사용하였고, 총 10회기에 걸친 미술치료 회기에 대한 녹음 및 완성작품을 토대로 행동관찰을 하여 발표태도 와 정서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양적 자료는 사전-사후점수로 paired z-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불안이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자존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여대생의 발표태도와 정서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여대생의 사회불안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아동과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여 사회불안과 미술치료를 다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이론에 기반을 둔 사회불안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것에 그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가능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of female undergraduates with social anxiety. Several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peech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of female undergraduates with social anxiety. Several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peech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area. Then,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with 10 sessions were conducted and pre-post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the quantitative measure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Speech Anxiety Scale(SAS), and Self-Esteem Scale(SES) were utilized, and for the qualitative analyses, participants' behaviors through the whole sessions and their works were observed and analyzed. Paired z-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measu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participant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conducting the therapy program. Second, the participants' speech anxie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finishing the whole sessions. Third, the stud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inishing the program. Fourth, the positive changes of the female undergraduates' speech attitude were shown after their experiences of the program. In sum,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effects on reducing th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enhancing their self-esteem.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anxiety and art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has its own distinctiveness and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ng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ossibl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of female undergraduates with social anxiety. Several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peech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area. Then,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with 10 sessions were conducted and pre-post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the quantitative measure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Speech Anxiety Scale(SAS), and Self-Esteem Scale(SES) were utilized, and for the qualitative analyses, participants' behaviors through the whole sessions and their works were observed and analyzed. Paired z-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measu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participant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conducting the therapy program. Second, the participants' speech anxie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finishing the whole sessions. Third, the stud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inishing the program. Fourth, the positive changes of the female undergraduates' speech attitude were shown after their experiences of the program. In sum, group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d effects on reducing th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enhancing their self-esteem.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anxiety and art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has its own distinctiveness and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ng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ossibl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