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은 예로부터 목조 건축물과 부재, 가구 등에 칠로 사용되었다는 기록과 유물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갓과 같은 생활용구나 건축물의 주춧돌과 만나는 기둥 부분 등에 방부, 방수제로서 먹을 칠해 사용되어왔으며, 숭례문 현판과 고가구(古家具)에도 먹을 칠했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먹은 문방사우의 재료로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기물의 칠감으로도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방수, 방부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된 재료로는 옻칠, ...
먹은 예로부터 목조 건축물과 부재, 가구 등에 칠로 사용되었다는 기록과 유물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갓과 같은 생활용구나 건축물의 주춧돌과 만나는 기둥 부분 등에 방부, 방수제로서 먹을 칠해 사용되어왔으며, 숭례문 현판과 고가구(古家具)에도 먹을 칠했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먹은 문방사우의 재료로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기물의 칠감으로도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방수, 방부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된 재료로는 옻칠, 천연수지, 아교 등이 있었으며, 먹칠은 다른 칠에 비해 상대적으로 칠의 효과가 낮아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먹 위에 생들기름을 칠하면 옻칠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문헌 조사 결과로 볼 때 과거 서민층에서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경제적이라는 이유와 목재 재료의 칠감으로서 매우 실용적이어서 주로 사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방수, 방부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는 먹에 대한 문헌은 남아있지만 옻이나 아교 등과 같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지는 않다. 먹 자체의 제작방법, 물성 등에 관한 분석은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 이루어졌지만 칠로 사용된 먹과 유지류, 먹 칠이된 고가구에 대한 과학적 분석, 물성 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송연먹과 유연먹 2종, 현대적인 방법으로 생산되는 양연먹 1종에 대한 유기원소 분석, 무기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먹의 성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종의 먹인 송연먹, 유연먹, 양연먹과 3종의 유지류인 생들기름, 오동유, 동백유를 4종의 목재 오동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에 칠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온·습도 열화실험을 진행하였다. 열화실험은 습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광택도 및 색도, 접촉각 측정을 하였고, 물성실험은 수분흡수량 측정을 통해 각각의 먹과 유지류, 목재에 대한 방수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먹칠에 대한 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3종의 먹에 대한 유기원소 분석 결과 양연먹의 산소함량이 높은 것은 아교의 단백질로 인하거나 카본블랙의 표면산화 공정을 통한 품질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무기원소 분석결과 양연먹의 규소(Si) 성분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그을음을 얻는 과정에서 공기 중이나 공업용 카본블랙 표면의 흙 또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열화실험은 습도 80%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습도에 대한 변화량이 적고 안정적인 물성을 나타낸 칠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광택도 측정 결과, 공통적으로 목재 4수종에서 변화량을 보이지 않은 시편은 C+동 칠로 이는 온·습도의 열화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색도측정 결과, 양연먹 칠의 색 변화가 미량으로 변화되어 열화가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접촉각 측정 결과, 목재 4수종에서 C+동 칠의 변화량이 적어 습도 열화에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접촉각 90〫 이하로 친수성으로 가구 표면에 방수성과 관련되어 직접적으로 물을 맞닿는 곳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가구에 사용하기에 적합 하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물성실험인 수분흡수량 측정 결과, 오동나무 흡수량 결과 C+동 칠의 흡수량이 적었고, 느티나무 흡수량 결과 A+생 칠의 흡수량이 적었다. 소나무 흡수량 결과 B+동 칠의 흡수량이 적었고, 은행나무 흡수량 결과 B+생 칠의 흡수량이 적었다. 실험결과, 오동나무는 열화실험과 물성실험에서 양연먹 칠과 C+오, C+동 칠이 칠로서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는 각기 다른 특성을 보였지만 공통적으로 유연먹과 양연먹에 유칠이 된 시편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먹칠이 사용된 목가구 문화재의 보존처리 시 유칠로 강화처리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고가구에 먹과 유칠을 사용함으로써 먹과 유지류, 목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였으며, 쓰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고가구, 먹, 유지, 습도, 적용성
먹은 예로부터 목조 건축물과 부재, 가구 등에 칠로 사용되었다는 기록과 유물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갓과 같은 생활용구나 건축물의 주춧돌과 만나는 기둥 부분 등에 방부, 방수제로서 먹을 칠해 사용되어왔으며, 숭례문 현판과 고가구(古家具)에도 먹을 칠했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먹은 문방사우의 재료로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기물의 칠감으로도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방수, 방부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된 재료로는 옻칠, 천연수지, 아교 등이 있었으며, 먹칠은 다른 칠에 비해 상대적으로 칠의 효과가 낮아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먹 위에 생들기름을 칠하면 옻칠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문헌 조사 결과로 볼 때 과거 서민층에서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경제적이라는 이유와 목재 재료의 칠감으로서 매우 실용적이어서 주로 사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방수, 방부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는 먹에 대한 문헌은 남아있지만 옻이나 아교 등과 같이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지는 않다. 먹 자체의 제작방법, 물성 등에 관한 분석은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 이루어졌지만 칠로 사용된 먹과 유지류, 먹 칠이된 고가구에 대한 과학적 분석, 물성 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송연먹과 유연먹 2종, 현대적인 방법으로 생산되는 양연먹 1종에 대한 유기원소 분석, 무기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먹의 성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종의 먹인 송연먹, 유연먹, 양연먹과 3종의 유지류인 생들기름, 오동유, 동백유를 4종의 목재 오동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에 칠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온·습도 열화실험을 진행하였다. 열화실험은 습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광택도 및 색도, 접촉각 측정을 하였고, 물성실험은 수분흡수량 측정을 통해 각각의 먹과 유지류, 목재에 대한 방수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먹칠에 대한 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3종의 먹에 대한 유기원소 분석 결과 양연먹의 산소함량이 높은 것은 아교의 단백질로 인하거나 카본블랙의 표면산화 공정을 통한 품질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무기원소 분석결과 양연먹의 규소(Si) 성분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그을음을 얻는 과정에서 공기 중이나 공업용 카본블랙 표면의 흙 또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열화실험은 습도 80%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습도에 대한 변화량이 적고 안정적인 물성을 나타낸 칠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광택도 측정 결과, 공통적으로 목재 4수종에서 변화량을 보이지 않은 시편은 C+동 칠로 이는 온·습도의 열화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색도측정 결과, 양연먹 칠의 색 변화가 미량으로 변화되어 열화가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접촉각 측정 결과, 목재 4수종에서 C+동 칠의 변화량이 적어 습도 열화에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접촉각 90〫 이하로 친수성으로 가구 표면에 방수성과 관련되어 직접적으로 물을 맞닿는 곳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가구에 사용하기에 적합 하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물성실험인 수분흡수량 측정 결과, 오동나무 흡수량 결과 C+동 칠의 흡수량이 적었고, 느티나무 흡수량 결과 A+생 칠의 흡수량이 적었다. 소나무 흡수량 결과 B+동 칠의 흡수량이 적었고, 은행나무 흡수량 결과 B+생 칠의 흡수량이 적었다. 실험결과, 오동나무는 열화실험과 물성실험에서 양연먹 칠과 C+오, C+동 칠이 칠로서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는 각기 다른 특성을 보였지만 공통적으로 유연먹과 양연먹에 유칠이 된 시편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먹칠이 사용된 목가구 문화재의 보존처리 시 유칠로 강화처리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고가구에 먹과 유칠을 사용함으로써 먹과 유지류, 목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였으며, 쓰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are records and artifacts handed down to date proving that ink sticks were used on wooden buildings, structures and furniture from old days. They were used for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n living tools like gat (Korea's traditional hat) and pillar interface with building's foundation ston...
There are records and artifacts handed down to date proving that ink sticks were used on wooden buildings, structures and furniture from old days. They were used for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n living tools like gat (Korea's traditional hat) and pillar interface with building's foundation stone, and we can also see records that they were used for signboard of Sungnyemun Gate and traditional furniture. As such, ink sticks were used not only as one of 'Four essential tools for the study' but diversely as coating material for goods. Materials traditionally used for or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nclude lacquer, natural resin and glue, and it seems ink stick coating was not so much used owing to its lower effect than other materials. Given the result of literature survey telling us that applying perilla oil on top of an ink stick produced the effect of lacquer coating, ink stick coating was likely to have been used because of its easy availability by ordinary people, the convenience in use, economy and practicality as coating material for wooden articles. Despite the existing literature on ink stick telling that it was used for the purpose of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t has not been actually used until now like lacquer or glue. While analysis on manufacturing methods of ink stick itself and its property has been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so far but rare is indeed research on scientific analysis and its physical property. Thu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k stick by conducting organic and mineral elements analysis on three sorts of ink sticks: two of Songyeon-meok (ink stick made from pine soot) and Yuyeon-meok (made from pine resin) made in our country using traditional methods as well as Yangyeon-meok (made from carbon black or diesel) made using modern methods. The study made test samples by applying three sorts of above-mentioned ink sticks and three sorts of fats and oil including perilla oil, paulownia oil, camellia oil, to four sorts of woods such as paulownia tree, zelkova, pine and ginkgo. And then it carried out degradation experiment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degradation experiment, focused on humidity, measured brilliance, chromaticity and contact angles, while property experiment sought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 of ink stick coatings after identifying waterproofness of each of ink sticks, fats and oil, and woods by measuring water absorption amount. As a result of analyzing organic elements of three ink sticks, high oxygen content of Yangyeon-meok was caused either by protein of glues or because process of surface oxidation by carbon black could improve the qu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mineral elements, Si component of Yangyeon-meok turned out high, presumably affected by air while blackening, earth on the surface of industrial carbon black or fine dusts. Degradation experiment, based on the findings at the humidity of 80%,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centered on coatings showing little change and stable physical property. As a result of brilliance test, the sample that commonly showed no change out of four wooden materials, was 'C+Dong' coating, demonstrating the stable state against degrad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s a result of chromaticity test, color change of Yangyeon-meok was negligible, showing late processing of degradation. As a result of contact angle test, change of C+Dong coating out of four wooden materials was small, showing its strength against degradation by humidity. Hydrophile property below 90° of contact angle was related with waterproofness of furniture surface, causing the hardship in applying to space directly facing the water but the study found its air circulation was smooth enough to be used for furniture. As a result of measuring water absorption amount during property experiment, in case of paulownia tree, C+Dong coating had the least absorption, and in zelkova, A+ Saeng, in pine coating B+Dong coating, and in ginkgo B+Saeng. As a result of the overall experiments, paulownia tree acquired stable coating outcomes in Songyeon-meok and property experiment at Yangyeon-meok coating and C+Oh, and C+Dong coating. Zelkova, pine and ginkgo showed each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cquired good outcomes at samples coated by Yuyeon-meok and Yangyeon-meok commonly. All in all, the study believes above oil paints can be used to boost the maintenance of cultural assets of wooden furniture having used ink stick coatings. The use of both ink sticks and oil pain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wooden materials and so they can be used optionally according to the usage.
Keyword : Traditional Furniture, Ink stick, Oil, Humidity, Applicability
There are records and artifacts handed down to date proving that ink sticks were used on wooden buildings, structures and furniture from old days. They were used for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n living tools like gat (Korea's traditional hat) and pillar interface with building's foundation stone, and we can also see records that they were used for signboard of Sungnyemun Gate and traditional furniture. As such, ink sticks were used not only as one of 'Four essential tools for the study' but diversely as coating material for goods. Materials traditionally used for or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nclude lacquer, natural resin and glue, and it seems ink stick coating was not so much used owing to its lower effect than other materials. Given the result of literature survey telling us that applying perilla oil on top of an ink stick produced the effect of lacquer coating, ink stick coating was likely to have been used because of its easy availability by ordinary people, the convenience in use, economy and practicality as coating material for wooden articles. Despite the existing literature on ink stick telling that it was used for the purpose of preservative and waterproofing, it has not been actually used until now like lacquer or glue. While analysis on manufacturing methods of ink stick itself and its property has been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so far but rare is indeed research on scientific analysis and its physical property. Thu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k stick by conducting organic and mineral elements analysis on three sorts of ink sticks: two of Songyeon-meok (ink stick made from pine soot) and Yuyeon-meok (made from pine resin) made in our country using traditional methods as well as Yangyeon-meok (made from carbon black or diesel) made using modern methods. The study made test samples by applying three sorts of above-mentioned ink sticks and three sorts of fats and oil including perilla oil, paulownia oil, camellia oil, to four sorts of woods such as paulownia tree, zelkova, pine and ginkgo. And then it carried out degradation experiment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degradation experiment, focused on humidity, measured brilliance, chromaticity and contact angles, while property experiment sought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 of ink stick coatings after identifying waterproofness of each of ink sticks, fats and oil, and woods by measuring water absorption amount. As a result of analyzing organic elements of three ink sticks, high oxygen content of Yangyeon-meok was caused either by protein of glues or because process of surface oxidation by carbon black could improve the qu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mineral elements, Si component of Yangyeon-meok turned out high, presumably affected by air while blackening, earth on the surface of industrial carbon black or fine dusts. Degradation experiment, based on the findings at the humidity of 80%,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centered on coatings showing little change and stable physical property. As a result of brilliance test, the sample that commonly showed no change out of four wooden materials, was 'C+Dong' coating, demonstrating the stable state against degrad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s a result of chromaticity test, color change of Yangyeon-meok was negligible, showing late processing of degradation. As a result of contact angle test, change of C+Dong coating out of four wooden materials was small, showing its strength against degradation by humidity. Hydrophile property below 90° of contact angle was related with waterproofness of furniture surface, causing the hardship in applying to space directly facing the water but the study found its air circulation was smooth enough to be used for furniture. As a result of measuring water absorption amount during property experiment, in case of paulownia tree, C+Dong coating had the least absorption, and in zelkova, A+ Saeng, in pine coating B+Dong coating, and in ginkgo B+Saeng. As a result of the overall experiments, paulownia tree acquired stable coating outcomes in Songyeon-meok and property experiment at Yangyeon-meok coating and C+Oh, and C+Dong coating. Zelkova, pine and ginkgo showed each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cquired good outcomes at samples coated by Yuyeon-meok and Yangyeon-meok commonly. All in all, the study believes above oil paints can be used to boost the maintenance of cultural assets of wooden furniture having used ink stick coatings. The use of both ink sticks and oil pain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wooden materials and so they can be used optionally according to the usage.
Keyword : Traditional Furniture, Ink stick, Oil, Humidity, Applic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