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결혼 규범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비혼 문화가 확대되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 비혼 남성들과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 본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고찰하면서 어떻게 그들을 목회상담적으로 돌볼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을 유인하는 심리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영성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심리적, 사회문화적, 영성적 영역에서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사회 문화체계, 그리고 기독교 문화체계는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의 비혼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넷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을 목회 상담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돌볼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두 가지가 활용되었다. 먼저, 분석 방법으로는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결혼 규범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비혼 문화가 확대되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 비혼 남성들과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 본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고찰하면서 어떻게 그들을 목회상담적으로 돌볼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을 유인하는 심리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영성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심리적, 사회문화적, 영성적 영역에서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사회 문화체계, 그리고 기독교 문화체계는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의 비혼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넷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을 목회 상담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돌볼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두 가지가 활용되었다. 먼저,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론 중에서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했다. 또한 해석학적 방법으로 체계적 사고와 성찰을 위하여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과 Watkins Ali의 문화분석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40대 기독교 비혼 남성 5명과 비혼 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40대 기독교 남녀의 비혼 경험에 대한 본질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심리적 영역의 본질은 자기실현, 관계적 고독, 편견과 수치심이다. 둘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사회 문화적 영역의 본질은 결혼의 당위성, 비혼의 확장성, 일의 절대성, 비혼의 지속성이다. 셋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영성적 영역의 본질은 자기초월성, 영성 지향성, 비혼 성숙성이다.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영성적 본질은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다음과 같은 비혼 경험의 단계별 과정을 이루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인식단계이다. 이 단계는 기독교 비혼 남녀들이 한국 사회와 기독교 문화 안에서 급격한 비혼 확장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긴장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비혼 확장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결혼 중심 문화로 인하여 결혼과 비혼 사이에서 긴장을 경험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갈등단계이다. 이 단계는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보편적 결혼 중심 문화로 인한 사회 문화적 편견으로 인하여 심리적 불안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을 통한 수치심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 단계는 극복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부정적인 자기 인식과 다양한 심리적 불안을 자기초월적 영성을 통하여 극복한다. 다섯 번째 단계는 성숙단계이다. 이 단계는 비혼의 경험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루어가며 타인과 공동체를 섬기는 중년의 성숙성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한국 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비혼 확장성 앞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결혼 당위성이란 문화적인 억압적 힘에 의해 심리적 긴장과 수치심을 경험하지만, 그들은 자기초월적 영성으로 인하여 심리적 불안과 수치심으로부터 벗어나 긍정적 비혼 담론을 쓰고 있다.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자기초월적 영성으로 인하여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결혼중심문화라는 힘에 이끌려가는 객체적 존재가 아니라, 그 힘에 저항하고 또한 새로운 비혼 문화를 만들어가는 주체적 존재로서 행복한 비혼 담론을 만들어내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그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제공하고, 한국사회와 기독교내에서 지향해야 할 새로운 대안적 비혼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결혼 규범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비혼 문화가 확대되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 비혼 남성들과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비혼 본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고찰하면서 어떻게 그들을 목회상담적으로 돌볼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을 유인하는 심리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영성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심리적, 사회문화적, 영성적 영역에서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사회 문화체계, 그리고 기독교 문화체계는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의 비혼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넷째, 40대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을 목회 상담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돌볼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두 가지가 활용되었다. 먼저,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론 중에서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했다. 또한 해석학적 방법으로 체계적 사고와 성찰을 위하여 Larry Kent Graham의 심리체계적 접근과 Watkins Ali의 문화분석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40대 기독교 비혼 남성 5명과 비혼 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40대 기독교 남녀의 비혼 경험에 대한 본질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심리적 영역의 본질은 자기실현, 관계적 고독, 편견과 수치심이다. 둘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사회 문화적 영역의 본질은 결혼의 당위성, 비혼의 확장성, 일의 절대성, 비혼의 지속성이다. 셋째,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영성적 영역의 본질은 자기초월성, 영성 지향성, 비혼 성숙성이다.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의 심리적 사회문화적 영성적 본질은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다음과 같은 비혼 경험의 단계별 과정을 이루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인식단계이다. 이 단계는 기독교 비혼 남녀들이 한국 사회와 기독교 문화 안에서 급격한 비혼 확장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긴장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비혼 확장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결혼 중심 문화로 인하여 결혼과 비혼 사이에서 긴장을 경험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갈등단계이다. 이 단계는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보편적 결혼 중심 문화로 인한 사회 문화적 편견으로 인하여 심리적 불안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을 통한 수치심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 단계는 극복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부정적인 자기 인식과 다양한 심리적 불안을 자기초월적 영성을 통하여 극복한다. 다섯 번째 단계는 성숙단계이다. 이 단계는 비혼의 경험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루어가며 타인과 공동체를 섬기는 중년의 성숙성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한국 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비혼 확장성 앞에서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결혼 당위성이란 문화적인 억압적 힘에 의해 심리적 긴장과 수치심을 경험하지만, 그들은 자기초월적 영성으로 인하여 심리적 불안과 수치심으로부터 벗어나 긍정적 비혼 담론을 쓰고 있다. 40대 기독교 비혼 남녀들은 자기초월적 영성으로 인하여 한국사회와 기독교의 결혼중심문화라는 힘에 이끌려가는 객체적 존재가 아니라, 그 힘에 저항하고 또한 새로운 비혼 문화를 만들어가는 주체적 존재로서 행복한 비혼 담론을 만들어내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기독교 남녀들의 비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그들의 비혼 경험의 본질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제공하고, 한국사회와 기독교내에서 지향해야 할 새로운 대안적 비혼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Keyword
#비혼 경험 비혼 현상학적 연구 체계적 사고 심리적 영역 사회문화적 영역 영성적 영역 자기실현 기초월적 영성 영성 지향성 Non-marriage Non-marriage Experiences Phenomenlogical study Systemic Thinking Psychological field Socio-cultural field Spiritual field Self-realization Self-transcendent Spirituality Spiritual Itentionality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용우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신학과
지도교수
유영권
발행연도
2018
총페이지
ix, 248 p.
키워드
비혼 경험 비혼 현상학적 연구 체계적 사고 심리적 영역 사회문화적 영역 영성적 영역 자기실현 기초월적 영성 영성 지향성 Non-marriage Non-marriage Experiences Phenomenlogical study Systemic Thinking Psychological field Socio-cultural field Spiritual field Self-realization Self-transcendent Spirituality Spiritual Itentiona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