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Outdoor-Play-Based STEAM Program on Young Children’s Abilities of Scientific Inquiry, Creative Physical원문보기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4차 산업혁명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로봇, 생명과학이 우리의 삶을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실제와 가상의 세계를 융합하고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급속도로 새롭게 창조되며 예측 불가능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미래학자들은 전망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거대한 변화에 직면한 우리는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해 많은 고민과 논의를 펼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미래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4차 산업혁명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로봇, 생명과학이 우리의 삶을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실제와 가상의 세계를 융합하고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급속도로 새롭게 창조되며 예측 불가능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미래학자들은 전망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거대한 변화에 직면한 우리는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해 많은 고민과 논의를 펼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미래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키워갈 수 있는 교육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후속세대들이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자기조절능력, 창의성, 메타인지,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협업 및 소통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갖추고 자신의 삶을 창의적이고 자율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이선영, 2017). 현재 유아들의 교육을 고민하는 유아교육분야에서도 교육현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점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어떤 인재일까? 과연 어떤 역량을 가진 인재로 성장해 가도록 교육해야 하는가? 에 대해 점점 관심이 모아지고 그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이미진, 2016). 최근 미국, 영국, 호주 등 선진국에서는 한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만을 추구하기보다 다양한 학문을 연결하고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내고 창조해낼 수 있는 융합적 인재 육성을 국가 경쟁력 확보의 중요 방안으로 설정하고 STEM 교육을 강조해오고 있다(이효녕, 2011;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 2015). 2006년 미국에서는 National Academics에서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교육 개선과 이 분야의 교육을 위해 교사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그 후 각국에서 초·중등 STEM 교육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현재 이 국가들에서는 유아대상 STEM 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연구하고 있다(홍혜경, 2016). STEM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인 동시에 과학기술분야에서의 교과 간 ‘통합적 접근 교육’을 지칭한다(Sanders, 2009). 초기 STEM 교육이 대두된 이후 각국에서 여러 가지 노력들이 이어졌으나, 그 후에도 여전히 과학 혁신이 뒤쳐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진정한 과학 혁신을 위해서는 인간의 삶 속에의 진정한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기존의 STEM 교육에 예술(ARTS) 교육이 포함되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현재 STEAM교육으로 전환되어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는 예술이 창의성,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주도, 협동의 기술을 키워가게 하는 분야로서 인류의 삶에 과학과 인간의 감성을 융합하게 할 중요한 분야임에 주목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 계획 수립에서 부터 과학기술지식과 감성이 결합된 융합인재교육(STEAM)을 교육 목표로 정하고 초중등교육에 있어서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은 기술과 공학적 설계를 강조한 과학교육으로 관련 교과 간의 ‘상호소통’과 ‘협력’이 강조된 미래 과학기술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통합적 교육으로 정의된다(Sanders, 2011). 최근 유아교육에서도 2013년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유아를 위한 STEAM 교육의 적용에 대한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유아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이수기, 윤은경, 2016; 조형숙, 2013; 홍혜경, 2016). 그러나 아직 유아교육분야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구체적인 적용 방법, 통합교육과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 등의 혼란으로 실제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EAM 교육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접근이 활발히 적용되지 못한 채 미흡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이미진, 2016; 조현정, 2016). 한편 바깥놀이는 유아들이 실외 환경에서 자연과 만나 호기심을 일으키는 많은 것들을 직접 탐색하고 탐구· 분류하며 응용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을 기르고, 자기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초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바깥놀이가 가진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효과로 인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STEAM 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스럽게 적용 가능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토대로 바깥놀이가 유아 STEAM 교육 실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선행연구를 전제로 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를 기반으로 한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1-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1-2.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1-3.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G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의 만 5세 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 총 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연구대상 어린이집의 실험집단에는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생활주제 중심의 교사계획에 의한 바깥놀이 활동을 적용한 후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능력의 세 변인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ㆍ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만 5세 실험집단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사후 점수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EAM 교육의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4차 산업혁명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로봇, 생명과학이 우리의 삶을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실제와 가상의 세계를 융합하고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급속도로 새롭게 창조되며 예측 불가능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미래학자들은 전망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라는 거대한 변화에 직면한 우리는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해 많은 고민과 논의를 펼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미래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키워갈 수 있는 교육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후속세대들이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자기조절능력, 창의성, 메타인지,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협업 및 소통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갖추고 자신의 삶을 창의적이고 자율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이선영, 2017). 현재 유아들의 교육을 고민하는 유아교육분야에서도 교육현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점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어떤 인재일까? 과연 어떤 역량을 가진 인재로 성장해 가도록 교육해야 하는가? 에 대해 점점 관심이 모아지고 그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이미진, 2016). 최근 미국, 영국, 호주 등 선진국에서는 한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만을 추구하기보다 다양한 학문을 연결하고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내고 창조해낼 수 있는 융합적 인재 육성을 국가 경쟁력 확보의 중요 방안으로 설정하고 STEM 교육을 강조해오고 있다(이효녕, 2011;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 2015). 2006년 미국에서는 National Academics에서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교육 개선과 이 분야의 교육을 위해 교사 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그 후 각국에서 초·중등 STEM 교육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현재 이 국가들에서는 유아대상 STEM 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연구하고 있다(홍혜경, 2016). STEM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인 동시에 과학기술분야에서의 교과 간 ‘통합적 접근 교육’을 지칭한다(Sanders, 2009). 초기 STEM 교육이 대두된 이후 각국에서 여러 가지 노력들이 이어졌으나, 그 후에도 여전히 과학 혁신이 뒤쳐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진정한 과학 혁신을 위해서는 인간의 삶 속에의 진정한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기존의 STEM 교육에 예술(ARTS) 교육이 포함되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현재 STEAM교육으로 전환되어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는 예술이 창의성,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주도, 협동의 기술을 키워가게 하는 분야로서 인류의 삶에 과학과 인간의 감성을 융합하게 할 중요한 분야임에 주목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 계획 수립에서 부터 과학기술지식과 감성이 결합된 융합인재교육(STEAM)을 교육 목표로 정하고 초중등교육에 있어서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은 기술과 공학적 설계를 강조한 과학교육으로 관련 교과 간의 ‘상호소통’과 ‘협력’이 강조된 미래 과학기술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통합적 교육으로 정의된다(Sanders, 2011). 최근 유아교육에서도 2013년 한국유아교육학회에서 유아를 위한 STEAM 교육의 적용에 대한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유아 STEAM 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이수기, 윤은경, 2016; 조형숙, 2013; 홍혜경, 2016). 그러나 아직 유아교육분야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구체적인 적용 방법, 통합교육과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 등의 혼란으로 실제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EAM 교육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접근이 활발히 적용되지 못한 채 미흡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이미진, 2016; 조현정, 2016). 한편 바깥놀이는 유아들이 실외 환경에서 자연과 만나 호기심을 일으키는 많은 것들을 직접 탐색하고 탐구· 분류하며 응용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을 기르고, 자기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초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바깥놀이가 가진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효과로 인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STEAM 교육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스럽게 적용 가능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토대로 바깥놀이가 유아 STEAM 교육 실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선행연구를 전제로 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를 기반으로 한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1-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1-2.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1-3.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창의적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G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의 만 5세 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 총 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연구대상 어린이집의 실험집단에는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생활주제 중심의 교사계획에 의한 바깥놀이 활동을 적용한 후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능력의 세 변인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ㆍ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만 5세 실험집단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사후 점수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바깥놀이 기반 유아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EAM 교육의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