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환경에서 운동을 하였을 때, 심폐기능과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K대학교 20대의 젊은 성인 남성으로 1차 실험(가을 학기) 참여자 13명, 2차 실험(봄 학기) 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은 주 2회 이상 실외에서 자발적 운동(축구)을 하는 참여자들로 구성하였다. 가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보다 낮은 농도환경, 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 보다 높은 농도환경에서 진행되었다. 측정 항목으로는 키, 몸무게,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환경에서 운동을 하였을 때, 심폐기능과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K대학교 20대의 젊은 성인 남성으로 1차 실험(가을 학기) 참여자 13명, 2차 실험(봄 학기) 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은 주 2회 이상 실외에서 자발적 운동(축구)을 하는 참여자들로 구성하였다. 가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보다 낮은 농도환경, 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 보다 높은 농도환경에서 진행되었다. 측정 항목으로는 키, 몸무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유산소운동능력(VO2max), 폐 기능(FVC, FEV1, FEV1/FVC),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기침과 가래의 중증도 평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ver 22.0(SPSS Inc., Chicago, IL)을 활용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반복측정(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분석 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을 학기와 봄 학기의 사전, 사후 증감률 비교에서는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각 학기별 반복측정 결과 봄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9명일 때, FVC, FEV1, FEV1/FVC,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3.339, p=0.013, FEV1: F=4.210, p=0.004, FEV1/FVC: F=4.339, p=0.003, SBP: F=2.008, p=0.039). 16명 일 때, FVC, FEV1, FEV1/FVC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7.586, p=0.000, FEV1: F=8.759, p=0.000, FEV1/FVC: F=4.535, p=0.001). 셋째, 각 학기별 최저, 최고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가을 학기 13명에 대한 분석에서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7). 봄 학기에서는 16명일 때, FVC와 FEV1/FV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4, p=0.003). 넷째, 전체 기간 비교에서는 설문지 수면과 미세먼지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기(가을 학기)와 높은 시기(봄 학기)동안 모두 생리학적 요인들이 변화량이 관찰되었으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봄 학기에 생리학적 요인들의 변화량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가래와 기침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으나, 야간 수면에 대해서는 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미세먼지가 높은 시기에는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호흡기 질병 발병에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환경에서 운동을 하였을 때, 심폐기능과 유산소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K대학교 20대의 젊은 성인 남성으로 1차 실험(가을 학기) 참여자 13명, 2차 실험(봄 학기) 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참여자들은 주 2회 이상 실외에서 자발적 운동(축구)을 하는 참여자들로 구성하였다. 가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보다 낮은 농도환경, 봄 실험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년 평균 보다 높은 농도환경에서 진행되었다. 측정 항목으로는 키, 몸무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유산소운동능력(VO2max), 폐 기능(FVC, FEV1, FEV1/FVC),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기침과 가래의 중증도 평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ver 22.0(SPSS Inc., Chicago, IL)을 활용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반복측정(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분석 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을 학기와 봄 학기의 사전, 사후 증감률 비교에서는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각 학기별 반복측정 결과 봄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9명일 때, FVC, FEV1, FEV1/FVC,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3.339, p=0.013, FEV1: F=4.210, p=0.004, FEV1/FVC: F=4.339, p=0.003, SBP: F=2.008, p=0.039). 16명 일 때, FVC, FEV1, FEV1/FVC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VC; F=7.586, p=0.000, FEV1: F=8.759, p=0.000, FEV1/FVC: F=4.535, p=0.001). 셋째, 각 학기별 최저, 최고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가을 학기 13명에 대한 분석에서 S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7). 봄 학기에서는 16명일 때, FVC와 FEV1/FV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14, p=0.003). 넷째, 전체 기간 비교에서는 설문지 수면과 미세먼지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기(가을 학기)와 높은 시기(봄 학기)동안 모두 생리학적 요인들이 변화량이 관찰되었으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봄 학기에 생리학적 요인들의 변화량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가래와 기침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으나, 야간 수면에 대해서는 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미세먼지가 높은 시기에는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호흡기 질병 발병에 원인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in the fin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all and spring semesters. This study consisted of 13 male students(fall semester)and 16 male students(spring semester) atte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in the fin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all and spring semesters. This study consisted of 13 male students(fall semester)and 16 male students(spring semester) attending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nts consisted of students voluntarily playing soccer twice a week. Autum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oncentration environment w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one year average and in the spring experi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one year aver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body mass index, aerobic exercise capacity (VO2max), pulmonary function (FVC, FEV1, FEV1/FVC)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questionnaire for severity of cough and sputum was conducted.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d Chi-square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re-post-change rate factors between the autumn and spring semesters. Second, the repeated measurement results in 9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FEV1/FVC and SBP(F=3.339, p=0.013, F=4.210, p=0.004, F=4.339, p=0.003 and F=2.008, p=0.039, respectively) and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and FEV1/FVC(F=7.586, p=0.000, F=8.759, p=0.000, F=4.535, p=0.001, respectively) Third,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3 students for the fall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BP(p=0.027).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and FEV1/FVC(p=0.014, p=0.003, respectively).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sleep of questionnaire and fine dust in the whole period comparisons (p=0.021) In conclusion, in this study, physiological factors‘ value was changed in both during the period of fall semester and spring semester, but changes in physi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sensitive in the spring semester when fine dust concentration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putum and cough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ut the relation was established for nighttime slee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ring high periods of fine dust, exercise may reduce the quality of sleep and may cause respiratory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in the fin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all and spring semesters. This study consisted of 13 male students(fall semester)and 16 male students(spring semester) attending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nts consisted of students voluntarily playing soccer twice a week. Autum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oncentration environment w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one year average and in the spring experi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one year aver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body mass index, aerobic exercise capacity (VO2max), pulmonary function (FVC, FEV1, FEV1/FVC)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questionnaire for severity of cough and sputum was conducted.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d Chi-square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re-post-change rate factors between the autumn and spring semesters. Second, the repeated measurement results in 9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FEV1/FVC and SBP(F=3.339, p=0.013, F=4.210, p=0.004, F=4.339, p=0.003 and F=2.008, p=0.039, respectively) and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FEV1 and FEV1/FVC(F=7.586, p=0.000, F=8.759, p=0.000, F=4.535, p=0.001, respectively) Third,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3 students for the fall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BP(p=0.027). the Paired t-test results in 16 students for the spring seme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VC and FEV1/FVC(p=0.014, p=0.003, respectively).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sleep of questionnaire and fine dust in the whole period comparisons (p=0.021) In conclusion, in this study, physiological factors‘ value was changed in both during the period of fall semester and spring semester, but changes in physi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sensitive in the spring semester when fine dust concentration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putum and cough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ut the relation was established for nighttime slee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ring high periods of fine dust, exercise may reduce the quality of sleep and may cause respiratory disea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