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은 의료시설로서 환자의 진료가 행해지고,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질적 향상을 추구하여 그 기능과 역할이 확장되었다. 현대병원은 단순한 진료역할에서 확장되어 문화, 휴게, 상업 등 다양한 공간구성이 융합되어 계획된다. 또한 실내 환경이 환자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며, 치료에 효과가 있기에 병원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국내에 녹색건축 인증제도가 마련되었지만, 건물용도가 주거용, 업무시설,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로 나뉘어 있으며, 평가방법에 있어 병원건축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병원 치유환경 조성을 위해 병원에서 환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고, 실내에 쾌적한 환경 형성해야한다. 2000년대 이후 치유환경에 관해 국내·외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국내의 치유환경 연구는 국외연구의 치유환경 개념과 요소를 분석하거나, 분석방법이 POE평가, 정성적평가의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치유환경의 평가체계를 다루거나 정량적 평가를 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의 평가지표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 적용 현황을 분석한다. 종합병원 공용공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
종합병원은 의료시설로서 환자의 진료가 행해지고,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질적 향상을 추구하여 그 기능과 역할이 확장되었다. 현대병원은 단순한 진료역할에서 확장되어 문화, 휴게, 상업 등 다양한 공간구성이 융합되어 계획된다. 또한 실내 환경이 환자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며, 치료에 효과가 있기에 병원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국내에 녹색건축 인증제도가 마련되었지만, 건물용도가 주거용, 업무시설,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로 나뉘어 있으며, 평가방법에 있어 병원건축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병원 치유환경 조성을 위해 병원에서 환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고, 실내에 쾌적한 환경 형성해야한다. 2000년대 이후 치유환경에 관해 국내·외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국내의 치유환경 연구는 국외연구의 치유환경 개념과 요소를 분석하거나, 분석방법이 POE평가, 정성적평가의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치유환경의 평가체계를 다루거나 정량적 평가를 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의 평가지표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 적용 현황을 분석한다. 종합병원 공용공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의 특징을 도출한다. 또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치유환경과 로비형태의 연관성을 밝히고, 향후 병원 실내환경 평가체계와 환자중심적 계획에 있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병원 공용공간과 시대별 변화과정을 살펴봤다. 또 치유환경의 배경과 정의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의 주장을 살펴보고, 10개의 연구에서 주장한 치유환경 요소를 분류하여, 본 연구의 치유환경 요소를 도출하였다. 과거 병원 로비는 평면이 홀형으로 계획되어 접수, 대기의 기능과 단순 통로의 역할을 가진다. 병원 로비는 80년대 후반까지 평면은 홀형, 단면은 단층형으로 계획되었으며, 공용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실내환경도 열악한 상황이다. 병원을 기능적인 역할만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형태로 계획되었다. 90년대의 병원은 개방감을 높이기 위해 중정과 접목되거나, 로비 상층부가 오픈된 복층형 로비가 등장했다. 기존 병원 로비의 폐쇄적인 단점을 보완하였으나 동선문제, 공용공간부족, 실내환경 등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2000년대 이후부터 로비 평면이 스트리트형으로 계획되어 넓은 로비공간을 형성하였다. 로비가 접수, 대기 역할에서 확장되어 휴게, 문화, 상업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며,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였다. 또한 복층형에서 발전되어 로비의 상층부가 오픈되고 아트리움을 도입함으로서 개방감을 높였으며, 자연채광을 적극도입하여 실내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병원 공용공간은 출입구, 홀, 접수, 대기, 수직동선, 상업시설, 편의시설, 문화시설, 휴게시설, 옥상정원, 중정으로 구성된다. 병원 로비 타입별 치유환경 비교분석을 위해 1990년대 이후에 계획되고 수도권에 위치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홀형 4개, 스트리트형 4개를 선정하였으며, 종합병원 치유환경 평가 및 로비 타입 별 분석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비 평면이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치유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전체 평가항목 중 음환경, 식재공간, 단면형태, 방위, 사인시스템, 대중교통근접성, 출입구의 점수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이 평면형태과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로비가 홀형일 때 물리적 환경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병원 계획시 물리적 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해 수직적으로 오픈스페이스를 형성하여 아트리움 구조를 계획함으로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또한 실내공간에 식재시설, 수공간, 예술품, 조각품 등을 적극도입 해야한다. 넷째, 병원의 치유환경 개선을 위해 건축 계획요소와 더불어 실내디자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병원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이 타 시설보다 크기 때문에 치유환경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에 관한 논의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야 한다. 종합병원은 이용자를 위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24시간 이용하는 건물로서 에너지 절약만을 고려하여 경제적 가치만을 논할 수 없는 시설이다. 국내에는 병원 환경에 대한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의료시설의 환경계획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 치유환경의 평가체계를 다뤘으며, 향후 이와 관련된 지침과 제도적 기준을 위해서는 다양한 실내환경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종합병원은 의료시설로서 환자의 진료가 행해지고,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질적 향상을 추구하여 그 기능과 역할이 확장되었다. 현대병원은 단순한 진료역할에서 확장되어 문화, 휴게, 상업 등 다양한 공간구성이 융합되어 계획된다. 또한 실내 환경이 환자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며, 치료에 효과가 있기에 병원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국내에 녹색건축 인증제도가 마련되었지만, 건물용도가 주거용, 업무시설,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로 나뉘어 있으며, 평가방법에 있어 병원건축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병원 치유환경 조성을 위해 병원에서 환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고, 실내에 쾌적한 환경 형성해야한다. 2000년대 이후 치유환경에 관해 국내·외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국내의 치유환경 연구는 국외연구의 치유환경 개념과 요소를 분석하거나, 분석방법이 POE평가, 정성적평가의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치유환경의 평가체계를 다루거나 정량적 평가를 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의 평가지표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실내 치유환경 적용 현황을 분석한다. 종합병원 공용공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의 특징을 도출한다. 또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치유환경과 로비형태의 연관성을 밝히고, 향후 병원 실내환경 평가체계와 환자중심적 계획에 있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병원 공용공간과 시대별 변화과정을 살펴봤다. 또 치유환경의 배경과 정의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의 주장을 살펴보고, 10개의 연구에서 주장한 치유환경 요소를 분류하여, 본 연구의 치유환경 요소를 도출하였다. 과거 병원 로비는 평면이 홀형으로 계획되어 접수, 대기의 기능과 단순 통로의 역할을 가진다. 병원 로비는 80년대 후반까지 평면은 홀형, 단면은 단층형으로 계획되었으며, 공용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실내환경도 열악한 상황이다. 병원을 기능적인 역할만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형태로 계획되었다. 90년대의 병원은 개방감을 높이기 위해 중정과 접목되거나, 로비 상층부가 오픈된 복층형 로비가 등장했다. 기존 병원 로비의 폐쇄적인 단점을 보완하였으나 동선문제, 공용공간부족, 실내환경 등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2000년대 이후부터 로비 평면이 스트리트형으로 계획되어 넓은 로비공간을 형성하였다. 로비가 접수, 대기 역할에서 확장되어 휴게, 문화, 상업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며, 커뮤니티가 형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였다. 또한 복층형에서 발전되어 로비의 상층부가 오픈되고 아트리움을 도입함으로서 개방감을 높였으며, 자연채광을 적극도입하여 실내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병원 공용공간은 출입구, 홀, 접수, 대기, 수직동선, 상업시설, 편의시설, 문화시설, 휴게시설, 옥상정원, 중정으로 구성된다. 병원 로비 타입별 치유환경 비교분석을 위해 1990년대 이후에 계획되고 수도권에 위치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홀형 4개, 스트리트형 4개를 선정하였으며, 종합병원 치유환경 평가 및 로비 타입 별 분석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비 평면이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치유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전체 평가항목 중 음환경, 식재공간, 단면형태, 방위, 사인시스템, 대중교통근접성, 출입구의 점수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이 평면형태과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로비가 홀형일 때 물리적 환경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병원 계획시 물리적 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해 수직적으로 오픈스페이스를 형성하여 아트리움 구조를 계획함으로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또한 실내공간에 식재시설, 수공간, 예술품, 조각품 등을 적극도입 해야한다. 넷째, 병원의 치유환경 개선을 위해 건축 계획요소와 더불어 실내디자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병원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이 타 시설보다 크기 때문에 치유환경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에 관한 논의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야 한다. 종합병원은 이용자를 위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24시간 이용하는 건물로서 에너지 절약만을 고려하여 경제적 가치만을 논할 수 없는 시설이다. 국내에는 병원 환경에 대한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의료시설의 환경계획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 치유환경의 평가체계를 다뤘으며, 향후 이와 관련된 지침과 제도적 기준을 위해서는 다양한 실내환경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General hospitals have expanded their function and role by seeking quality improvements as patient care is being performed at medical facilities and as modern society develops. Modern hospitals are expanding from offering simple medical services, planning a fusion of various spatial composition such...
General hospitals have expanded their function and role by seeking quality improvements as patient care is being performed at medical facilities and as modern society develops. Modern hospitals are expanding from offering simple medical services, planning a fusion of various spatial composition such as culture, rest, and commerce. In addition, the indoor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the stress level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Because the indoor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treatment, the importance of the hospital environment has increased. Although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e building uses are divided into residential, business facilities, school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other buildings. There is an issue in applying the evaluation method to hospital construction. To create the hospital's heal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environment that can cause a patient's stress in the hospital and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room. Since 2000,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es about the healing environment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However, the domestic healing environment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and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overseas research, or the analysis of PO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re are few studies that deal with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healing environment or make a quantitative eval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ndex of the indoor healing environment of the general hospital common space is created and analyz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indoor healing environment in the general hospital common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re derived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common space of general hospitals. In addition, I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ing environment and the lobby type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shape of the floor. I suggested directions of the hospital indoor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patient-centered planning that should be utilized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 examined the common space of the general hospital and the changing process of each age. In addition, I reviewed various researchers' arguments about the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classified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claimed in ten studies, deriving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 of this study. The past hospital lobby was planned as a Hall Type, and functioned as a reception, air function, and a simple passage area. Hospital lobbies were planned to have their floor format in the Hall Type and Single Type in the cross section until the late ‘80s. The common space was very narrow, and the indoor environment was poor. The hospital was planned in this format to perform its functional role only. In the 1990s, hospitals were merged with the courtyard to enhance the sense of openness, and the design with the upper floors of the lobby was opened. Although the existing disadvantages of the hospital lobby have been compensated fo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the copper line, lack of common space, and indoor environment. Since the 2000s, the floor format has been planned as a Street Type, forming a large lobby space. The lobby expanded from a reception and standby role to resting, cultural, and commercial space as well as community formation with the lobby includ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upper level of the lobby was developed by introducing the atrium, and the outdoor environment was improved by introducing natural light. In this study, the hospital common space consists of an entrance, hall, reception, waiting area, vertical circulation, commercial facility, convenience facility, cultural facility, rest facility, roof garden, and courtyar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aling environment by hospital lobby type, 4 types of Hall Type and 4 types of Street Type were selected for th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the 1990s. Healing environment evaluation by general hospital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lobby typ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floor format, the Street Type received a higher score than the Hall Type; the healing environment is well formed. The scores of the sound environment, afforestation space, cross section form, bearing, sign system,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ntrance score were all similar.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floor format of the lobby,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most related to the form of the floor format. Since the physical environment is very weak when the lobby is a Hall Type,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hospital.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pen spaces should be formed vertically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planning the atrium struc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planting facilities, water space, artwork, and sculptures in the indoor space. Fourth, to improve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interio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Fifth, the use of energy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of the hospital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facilities. Therefore, discussions on energy efficiency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the healing environment. General hospitals nee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s. These are buildings that are used for 24 hours a day, so economic value cannot be discussed when only considering energy saving. Since there are no institutional standards for the hospital environmen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environmental planning standards for medical facilitie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indoor healing environment. Various studies abou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ifferent indoor environments are needed in relation to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standards of the future.
General hospitals have expanded their function and role by seeking quality improvements as patient care is being performed at medical facilities and as modern society develops. Modern hospitals are expanding from offering simple medical services, planning a fusion of various spatial composition such as culture, rest, and commerce. In addition, the indoor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the stress level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Because the indoor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treatment, the importance of the hospital environment has increased. Although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e building uses are divided into residential, business facilities, school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other buildings. There is an issue in applying the evaluation method to hospital construction. To create the hospital's heal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environment that can cause a patient's stress in the hospital and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room. Since 2000,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es about the healing environment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However, the domestic healing environment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and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overseas research, or the analysis of PO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re are few studies that deal with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healing environment or make a quantitative eval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ndex of the indoor healing environment of the general hospital common space is created and analyz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indoor healing environment in the general hospital common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re derived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common space of general hospitals. In addition, I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ing environment and the lobby type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shape of the floor. I suggested directions of the hospital indoor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and the patient-centered planning that should be utilized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 examined the common space of the general hospital and the changing process of each age. In addition, I reviewed various researchers' arguments about the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classified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claimed in ten studies, deriving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 of this study. The past hospital lobby was planned as a Hall Type, and functioned as a reception, air function, and a simple passage area. Hospital lobbies were planned to have their floor format in the Hall Type and Single Type in the cross section until the late ‘80s. The common space was very narrow, and the indoor environment was poor. The hospital was planned in this format to perform its functional role only. In the 1990s, hospitals were merged with the courtyard to enhance the sense of openness, and the design with the upper floors of the lobby was opened. Although the existing disadvantages of the hospital lobby have been compensated fo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the copper line, lack of common space, and indoor environment. Since the 2000s, the floor format has been planned as a Street Type, forming a large lobby space. The lobby expanded from a reception and standby role to resting, cultural, and commercial space as well as community formation with the lobby includ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upper level of the lobby was developed by introducing the atrium, and the outdoor environment was improved by introducing natural light. In this study, the hospital common space consists of an entrance, hall, reception, waiting area, vertical circulation, commercial facility, convenience facility, cultural facility, rest facility, roof garden, and courtyar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aling environment by hospital lobby type, 4 types of Hall Type and 4 types of Street Type were selected for th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the 1990s. Healing environment evaluation by general hospital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lobby typ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floor format, the Street Type received a higher score than the Hall Type; the healing environment is well formed. The scores of the sound environment, afforestation space, cross section form, bearing, sign system,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ntrance score were all similar.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floor format of the lobby,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most related to the form of the floor format. Since the physical environment is very weak when the lobby is a Hall Type,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hospital.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pen spaces should be formed vertically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planning the atrium struc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planting facilities, water space, artwork, and sculptures in the indoor space. Fourth, to improve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interio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Fifth, the use of energy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of the hospital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facilities. Therefore, discussions on energy efficiency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the healing environment. General hospitals nee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s. These are buildings that are used for 24 hours a day, so economic value cannot be discussed when only considering energy saving. Since there are no institutional standards for the hospital environmen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environmental planning standards for medical facilitie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indoor healing environment. Various studies abou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ifferent indoor environments are needed in relation to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standards of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