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on Ankle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Tone and Gait in Stroke Patients원문보기
본 연구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시공간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성인 30명을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으로 10명씩 나누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일 30분씩, 주 3회,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관절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p<.05), 근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누운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세 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에서 마비측 안·가쪽 ...
본 연구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시공간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성인 30명을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으로 10명씩 나누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일 30분씩, 주 3회,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관절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p<.05), 근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누운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세 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에서 마비측 안·가쪽 장딴지근은 세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마비측 앞정강근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는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행변수의 변화에서 보행율, 보행속도, 보폭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발목관절에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을 함께 실시할 경우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보행변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시공간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성인 30명을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으로 10명씩 나누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일 30분씩, 주 3회,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관절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p<.05), 근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누운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세 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에서 마비측 안·가쪽 장딴지근은 세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마비측 앞정강근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는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행변수의 변화에서 보행율, 보행속도, 보폭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발목관절에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을 함께 실시할 경우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보행변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on the ankle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tone, stiffness, and spatio-temporal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0 adult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joint receptor, muscle recepto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on the ankle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tone, stiffness, and spatio-temporal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0 adult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joint receptor,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synchronously for 30 min a day, thrice a week, for 6 weeks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In the sitting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joint receptor and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supine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among three groups.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change, the paretic mediolateral calf musc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and the paretic anterior tibi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among the three groups. In gait ability change, cadence,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The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it ability change compared with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range of motion, muscle tone and stiffness, and gait ability of the ankle join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on the ankle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tone, stiffness, and spatio-temporal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0 adult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joint receptor,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synchronously for 30 min a day, thrice a week, for 6 weeks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In the sitting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joint receptor and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supine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among three groups.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change, the paretic mediolateral calf musc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and the paretic anterior tibi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among the three groups. In gait ability change, cadence,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The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it ability change compared with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range of motion, muscle tone and stiffness, and gait ability of the ankle joi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