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과 비장애인 관리자의 직업지원경험을 탐색하여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이 갖는 의미와 발달장애인의 직장 내 적응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창출에 선도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 사원, 비장애인 관리자, 대표 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발달장애 사원 2명은 단답식 정보 제공으로 제외되고 발달장애 사원 8명, 비장애인 관리자 6명, 대표 2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과 비장애인 관리자의 직업지원경험을 탐색하여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이 갖는 의미와 발달장애인의 직장 내 적응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창출에 선도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 사원, 비장애인 관리자, 대표 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발달장애 사원 2명은 단답식 정보 제공으로 제외되고 발달장애 사원 8명, 비장애인 관리자 6명, 대표 2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발달장애 사원은 직장 내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비장애인 관리자는 발달장애 사원을 지원하는 내용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발달장애 사원-발달장애 사원’,‘비장애인 관리자-비장애인 관리자’,‘발달장애 사원–비장애인관리자’를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하며 사회적 기업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의 의미와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의 결과 총 3가지의 핵심주제와 13가지의 상위범주, 43가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3가지 핵심주제는 ‘발달장애 사원의 직업생활 경험’,‘비장애인 관리자의 직업지원 경험’‘발달장애인의 직업적응을 위한 요소’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발달장애 사원은 직업 생활을 통해 ‘불안정과 차별을 느낀 전 직장’, ‘안정감이 느껴지는 현 직장’,‘다만 배움이 늦을 뿐’,‘사회적 기업, 새로운 적응훈련의 장’, ‘살아가는 이유를 발견함’을 거치며 현 직장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장애인 관리자는 ‘가능(可能)함을 경험함’,‘지원의 시작, 자립할 수 있도록’,‘여기는 직장입니다’,‘나는, 네 편’,‘변화를 경험함’를 경험하며 발달장애 사원 직업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해서는 ‘직장인으로서 최소한의 준비’,‘발달장애인을 이해하는 직장의 준비’.‘핵심지원자들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발달장애 사원은 현재 직장생활을 통해 ‘직장인으로서 설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기술 및 직장 내 규칙 등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사원들은 직장에 입사하여 적응하는 과정에서 주로 ‘업무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적응시간’과 ‘비장애인 관리자의 지도’가 있으면 업무에 금방 숙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 과정에서 관계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지만, 감정 출구가 직장 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의 적응을 위해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발달장애인에게 직업이란 단순히 소득을 버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의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달장애인의 고용 선도를 이끌고 있는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보호고용 현장 또는 일반고용 현장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는데, 새로운 고용모델인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인 및 비장애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제 연구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발달장애 사원 및 비장애인 관리자, 대표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이 이루어 졌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제 고용 현장에서의 발달장애인의 고용의 확대와 일자리 안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과 비장애인 관리자의 직업지원경험을 탐색하여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이 갖는 의미와 발달장애인의 직장 내 적응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창출에 선도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 사원, 비장애인 관리자, 대표 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발달장애 사원 2명은 단답식 정보 제공으로 제외되고 발달장애 사원 8명, 비장애인 관리자 6명, 대표 2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발달장애 사원은 직장 내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비장애인 관리자는 발달장애 사원을 지원하는 내용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발달장애 사원-발달장애 사원’,‘비장애인 관리자-비장애인 관리자’,‘발달장애 사원–비장애인관리자’를 지속적으로 비교 분석하며 사회적 기업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의 의미와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의 결과 총 3가지의 핵심주제와 13가지의 상위범주, 43가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3가지 핵심주제는 ‘발달장애 사원의 직업생활 경험’,‘비장애인 관리자의 직업지원 경험’‘발달장애인의 직업적응을 위한 요소’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발달장애 사원은 직업 생활을 통해 ‘불안정과 차별을 느낀 전 직장’, ‘안정감이 느껴지는 현 직장’,‘다만 배움이 늦을 뿐’,‘사회적 기업, 새로운 적응훈련의 장’, ‘살아가는 이유를 발견함’을 거치며 현 직장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장애인 관리자는 ‘가능(可能)함을 경험함’,‘지원의 시작, 자립할 수 있도록’,‘여기는 직장입니다’,‘나는, 네 편’,‘변화를 경험함’를 경험하며 발달장애 사원 직업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해서는 ‘직장인으로서 최소한의 준비’,‘발달장애인을 이해하는 직장의 준비’.‘핵심지원자들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발달장애 사원은 현재 직장생활을 통해 ‘직장인으로서 설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기술 및 직장 내 규칙 등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사원들은 직장에 입사하여 적응하는 과정에서 주로 ‘업무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적응시간’과 ‘비장애인 관리자의 지도’가 있으면 업무에 금방 숙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 과정에서 관계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지만, 감정 출구가 직장 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의 적응을 위해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발달장애인에게 직업이란 단순히 소득을 버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의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달장애인의 고용 선도를 이끌고 있는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보호고용 현장 또는 일반고용 현장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는데, 새로운 고용모델인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인 및 비장애인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제 연구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발달장애 사원 및 비장애인 관리자, 대표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이 이루어 졌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제 고용 현장에서의 발달장애인의 고용의 확대와 일자리 안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ccupational life developmental disabled and the adaptation factor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th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ose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that play a leading role in the employ...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ccupational life developmental disabled and the adaptation factor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th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ose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that play a leading role in the employ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8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6 persons with non-disabled managers, and 2 persons with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nducted an within-case analysis and an cross-case analysis. In the within-case analysi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orkers focused on the adaptation process in the workplace, and the non - disabled managers focused on supporting the developmental disabled employees. In the cross-case analysis, the data was conducted three step : ‘developmentally disabled –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 ‘non - disabled managers - non – disabled managers’, ‘developmentally disabled - non - disabled managers’
As a result of cross-case analysis, 3 core themes, 13 upper categories and 43 sub 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core themes are ‘experience of occupational lif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employee’,‘experience of career support of non-disabled manager’, ‘factor of job adapta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s preparing to become self - reliant as a worker through current job life.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orkers appeal to the difficulty of adaptation at the early stage of the employment, but they are quickly mastered when there is ‘adaptation time’ and ‘guidance of the non - disabled manager’. Also, in the adapt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uffered related difficulties but did not solve emotions in the workplace. ‘Understanding and positive recogni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mportant factor to adapt in workplac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 - disabled managers working in social enterprise which is a new employment model.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 visited the actual research field,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ation and in - 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mployment expansion and job s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actual employment fiel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ccupational life developmental disabled and the adaptation factor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th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ose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that play a leading role in the employment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8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6 persons with non-disabled managers, and 2 persons with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nducted an within-case analysis and an cross-case analysis. In the within-case analysi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orkers focused on the adaptation process in the workplace, and the non - disabled managers focused on supporting the developmental disabled employees. In the cross-case analysis, the data was conducted three step : ‘developmentally disabled –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 ‘non - disabled managers - non – disabled managers’, ‘developmentally disabled - non - disabled managers’
As a result of cross-case analysis, 3 core themes, 13 upper categories and 43 sub 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core themes are ‘experience of occupational lif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employee’,‘experience of career support of non-disabled manager’, ‘factor of job adaptat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s preparing to become self - reliant as a worker through current job life.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orkers appeal to the difficulty of adaptation at the early stage of the employment, but they are quickly mastered when there is ‘adaptation time’ and ‘guidance of the non - disabled manager’. Also, in the adapt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uffered related difficulties but did not solve emotions in the workplace. ‘Understanding and positive recogni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mportant factor to adapt in workplac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stud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 - disabled managers working in social enterprise which is a new employment model.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 visited the actual research field,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ation and in - 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mployment expansion and job stability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actual employment field.
Keyword
#발달장애인 직업생활 사회적 기업 직업 적응요소 질적 사례연구 Developmentally disabled occupational life Job adaptation factors Qualitative case study Social enterpri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