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2월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546천명이며 등록장애인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58%(148만명) 여성은 42%(107만명)이다.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50세 이상의 등록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76%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인구수에서 50세 이상의 인구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남성중심 사회인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사회적 배제를 더 경험할 뿐 아니라 고령여성장애인은 고령이라는 나이 듦에 대한 부정적 인식까지 더해져 다른 어떤 인구집단보다 교육, 고용, 가족, 건강, 사회참여 등에서 사회적 배제를 더욱 경험한다. 본 연구는 여성, 노인,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삼중고를 경험할 수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특성을 명확하고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횡단적 연구 방법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성장, 발달을 종단적 연구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유용하다. 하지만 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인구학적요인, 건강요인, 경제적요인, 사회적요인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횡단면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유형을 분류하고, 그 변화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에 대한 유형별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고령, 장애, 여성의 3가지 삼중고 노출되어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으로 고려한 유형별로 맞춤형 고령여성장애인 복지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8차년도(2015년)를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과 ...
2017년 12월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546천명이며 등록장애인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58%(148만명) 여성은 42%(107만명)이다.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50세 이상의 등록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76%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인구수에서 50세 이상의 인구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남성중심 사회인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사회적 배제를 더 경험할 뿐 아니라 고령여성장애인은 고령이라는 나이 듦에 대한 부정적 인식까지 더해져 다른 어떤 인구집단보다 교육, 고용, 가족, 건강, 사회참여 등에서 사회적 배제를 더욱 경험한다. 본 연구는 여성, 노인,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삼중고를 경험할 수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특성을 명확하고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횡단적 연구 방법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성장, 발달을 종단적 연구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유용하다. 하지만 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인구학적요인, 건강요인, 경제적요인, 사회적요인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횡단면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유형을 분류하고, 그 변화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에 대한 유형별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고령, 장애, 여성의 3가지 삼중고 노출되어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으로 고려한 유형별로 맞춤형 고령여성장애인 복지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8차년도(2015년)를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과 패널회귀분석을 하였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8년 동안의 전체 평균은 2.95로 보통 수준인 3점에 미달 하여 보통 수준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2.86에서 3.05 사이에서 증가 및 감소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는 추이로 나타났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따라 ‘삶의 만족도 증가집단(6.9%)’과 ‘삶의 만족도 유지집단(93.1%)’으로 유형이 구분되었고, 이 두 집단을 나누는데 유의미한 변수는 배우자 유무와 일상생활도움필요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유형별로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적요인, 건강요인, 경제요인, 사회적요인의 종단적 영향여부를 검증하였는데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집단에서는 일상적도움의 필요성이 낮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지집단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여가활동을 할수록, 차별경험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017년 12월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546천명이며 등록장애인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58%(148만명) 여성은 42%(107만명)이다.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50세 이상의 등록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76%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인구수에서 50세 이상의 인구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남성중심 사회인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사회적 배제를 더 경험할 뿐 아니라 고령여성장애인은 고령이라는 나이 듦에 대한 부정적 인식까지 더해져 다른 어떤 인구집단보다 교육, 고용, 가족, 건강, 사회참여 등에서 사회적 배제를 더욱 경험한다. 본 연구는 여성, 노인,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삼중고를 경험할 수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특성을 명확하고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횡단적 연구 방법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성장, 발달을 종단적 연구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유용하다. 하지만 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인구학적요인, 건강요인, 경제적요인, 사회적요인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횡단면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고령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유형을 분류하고, 그 변화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에 대한 유형별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고령, 장애, 여성의 3가지 삼중고 노출되어 있는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으로 고려한 유형별로 맞춤형 고령여성장애인 복지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1차년도(2008년)부터 8차년도(2015년)를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과 패널회귀분석을 하였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8년 동안의 전체 평균은 2.95로 보통 수준인 3점에 미달 하여 보통 수준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2.86에서 3.05 사이에서 증가 및 감소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는 추이로 나타났다.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따라 ‘삶의 만족도 증가집단(6.9%)’과 ‘삶의 만족도 유지집단(93.1%)’으로 유형이 구분되었고, 이 두 집단을 나누는데 유의미한 변수는 배우자 유무와 일상생활도움필요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유형별로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적요인, 건강요인, 경제요인, 사회적요인의 종단적 영향여부를 검증하였는데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집단에서는 일상적도움의 필요성이 낮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지집단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여가활동을 할수록, 차별경험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end of December 2017, the number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2,546,000 in Korea, and in the sex ratio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men are 58%(1.48million) and women are 42%(1.07million). Regarding the ratio in each age group, the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
In the end of December 2017, the number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2,546,000 in Korea, and in the sex ratio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men are 58%(1.48million) and women are 42%(1.07million). Regarding the ratio in each age group, the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50 or up are 76% of the whole disabled, which is higher than the population ratio in their 50 or up out of the whole population,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m. However, in Korea which is an androcentric society,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more social exclusion than men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as the negative perception of being aged is added, the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more social exclusion like education, employment, family,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than any other population groups. Thus, this thesis aimed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would be highly possible to experience the triple distress such as woman, elderly, and disabled. In order to clearly and wid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s, the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on change, growth, and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ime flow is more useful than the cross-sectional research method. However, most of the relevant preceding researches used the cross-sec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 health factor, economic factor, and social facto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y trac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targeting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ith the use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also longitudinally verified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ach type of changes. The verification of influence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hange trajectories in each type could be ground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are exposed to triple distress such as elderly, disabled, and woman.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rounds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 and welfare policies customized for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each type considering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Using the 1st year(2008) to 8th year(2015) data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research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the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and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overall mean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for eight years was 2.95, which fell short of the average level(three points). As time pas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as changed like increase and decrease between 2.86-3.05. Overall, however, it wa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aspect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ey were divided into ‘a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6.9%)’ and ‘a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maintained(93.1%)’,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dividing them into these groups were the matter of having a spouse and the necessity of daily help.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 health factor, economic factor, and social factor by put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each type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the necessity of daily help was lower; and they wer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beneficiaries,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nd in the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stable, commonly when the age was higher; they had no spouse; they had a job; the SES higher; they were involved in social leisure activities; the health condition was better; and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in daily life was less,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In the end of December 2017, the number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2,546,000 in Korea, and in the sex ratio of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men are 58%(1.48million) and women are 42%(1.07million). Regarding the ratio in each age group, the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ir 50 or up are 76% of the whole disabled, which is higher than the population ratio in their 50 or up out of the whole population,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m. However, in Korea which is an androcentric society,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more social exclusion than men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as the negative perception of being aged is added, the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more social exclusion like education, employment, family,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than any other population groups. Thus, this thesis aimed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would be highly possible to experience the triple distress such as woman, elderly, and disabled. In order to clearly and wid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s, the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on change, growth, and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ime flow is more useful than the cross-sectional research method. However, most of the relevant preceding researches used the cross-sec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 health factor, economic factor, and social facto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y trac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targeting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ith the use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also longitudinally verified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ach type of changes. The verification of influence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hange trajectories in each type could be ground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are exposed to triple distress such as elderly, disabled, and woman.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rounds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 and welfare policies customized for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each type considering the chang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Using the 1st year(2008) to 8th year(2015) data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research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the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and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overall mean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for eight years was 2.95, which fell short of the average level(three points). As time pas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as changed like increase and decrease between 2.86-3.05. Overall, however, it wa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aspect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hey were divided into ‘a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6.9%)’ and ‘a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maintained(93.1%)’,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dividing them into these groups were the matter of having a spouse and the necessity of daily help.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 health factor, economic factor, and social factor by put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in each type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the necessity of daily help was lower; and they wer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beneficiaries,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nd in the group whose life satisfaction was stable, commonly when the age was higher; they had no spouse; they had a job; the SES higher; they were involved in social leisure activities; the health condition was better; and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in daily life was less,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