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만들기 활동을 어렵게 생각하고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음악만들기의 수월성을 제고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만 5세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먼저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79명을 대상으로 요구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총 24차시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2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8주 동안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24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1주를 3차시로 나누어 활동하였으며 1, 2차시는 대그룹으로 3차시는 5명씩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만들기 활동을 어렵게 생각하고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음악만들기의 수월성을 제고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만 5세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먼저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79명을 대상으로 요구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총 24차시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2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8주 동안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24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1주를 3차시로 나누어 활동하였으며 1, 2차시는 대그룹으로 3차시는 5명씩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성 능력의 하위항목인 리듬과 음정 모두를 향상시켰다.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매차시마다 리듬과 멜로디를 만드는 과정은 유아들로 하여금 리듬과 음정의 같고 다름을 인지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창의성 하위항목 중 음악유연성, 음악독창성, 음악논리성을 향상시켰다.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유아는 음악개념의 음높이, 셈여림, 빠르기를 구별하고 표현해봄으로 음악유연성의 능력을 향상시켰고,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어봄으로 음악독창성의 능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리듬과 멜로디, 노랫말을 구성하면서 음악의 전체적인 구성과 느낌을 아는 음악논리성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는 한 차시 안에 리듬, 멜로디, 노랫말의 작사·작곡 개념의 음악만들기를 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음악만들기를 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음악만들기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사가 모델링이 되어 설명하고 반복적으로 단순한 활동에서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하는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개발한 그림악보는 유아와의 활동을 지속성 있고 어려운 음악만들기를 쉽고 흥미롭게 활동을 전개하는 매개체가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만들기 활동을 어렵게 생각하고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음악만들기의 수월성을 제고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만 5세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먼저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79명을 대상으로 요구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총 24차시의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2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8주 동안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의 24차시를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1주를 3차시로 나누어 활동하였으며 1, 2차시는 대그룹으로 3차시는 5명씩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적성과 음악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성 능력의 하위항목인 리듬과 음정 모두를 향상시켰다.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매차시마다 리듬과 멜로디를 만드는 과정은 유아들로 하여금 리듬과 음정의 같고 다름을 인지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창의성 하위항목 중 음악유연성, 음악독창성, 음악논리성을 향상시켰다.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유아는 음악개념의 음높이, 셈여림, 빠르기를 구별하고 표현해봄으로 음악유연성의 능력을 향상시켰고,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어봄으로 음악독창성의 능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리듬과 멜로디, 노랫말을 구성하면서 음악의 전체적인 구성과 느낌을 아는 음악논리성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는 한 차시 안에 리듬, 멜로디, 노랫말의 작사·작곡 개념의 음악만들기를 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음악만들기를 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은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음악만들기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사가 모델링이 되어 설명하고 반복적으로 단순한 활동에서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하는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만들기프로그램에서 그림책을 활용하여 개발한 그림악보는 유아와의 활동을 지속성 있고 어려운 음악만들기를 쉽고 흥미롭게 활동을 전개하는 매개체가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usic making program to preschool teachers who regard music making as a difficult one and don't try to make music,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and activation of music making. After implementing music making program to 5-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musi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usic making program to preschool teachers who regard music making as a difficult one and don't try to make music,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and activation of music making. After implementing music making program to 5-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music making on children's aptitude and creativity were assessed. The music making literatures were analyzed, and 379 teachers who had taught 5-year-old children were surveyed the need for the music making.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f 24 sessions(large group: 16 sessions, small group: 8 sessions) at 3 times a week was developed based on the data. The picture books of the music making program were selected by way of the selection guides of picture books suitable for children which were presented in the book of Lee Keongwoo, Jang Younghee, Lee Chasook, Ro Younghee, Hyun Eunja(1997). The children's songs were chosen by way of the preschool favorite children's song which were in the book of Lim Hyeojung and Kim Youngteon(2004). The teaching method was made by adjusting the cognitive apprentice learning theory at music class from the study of Seok Moonju and Kweon Dukwon(2016), consisting of modeling and explanation, practices and task completion, new task exploration, and solution stage, and using two lines of musical notes and pictorial music score. Participants were 42 daycare center children aged of 5-year-old in Seoul. The music making program was practiced to 20 experiment group children and 22 comparison group children in 24 sessions for 8 weeks. The practices were implemented 3 sessions in a week, 1st and 2nd sessions were large group and 3rd session was divided into 4 small group of 5 children each.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used to know the differences of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of 5-year-old children. Using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were produ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During the practices of the music making program children improved the abilities recognizing the same and differences of rhythm and ton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rhythms and tones. Secondly,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hildren improved the abilities of distinguishing and expressing pitch, dynamics, tempo, making music with rhythm and melody words, composing of beats logically, and completing the beginning and ending of the music. The mean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by practicing the rhythm, melody, writing the words and composing music in a session,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enabled children to make music with a great deal of completion. Secondly,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encourage teachers to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Thirdly, in this program pictorial notes developed by using picture books enabled teachers to continue the music making activities with children and to do the difficult music making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is study produced quantity data which tested the effects using standard test tools, it is necessary to use quality study to analyse the changes in detail which were showed during the practices of the program. Second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Third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essions to express and present the music which children made at their small group sessions. I suggest that it is advisable to divide the picture book contents into 3-4 chapters, to make a music with each chapter and to produce musical with children's songs using this program as a follow-up study.
key words: picture book, music making, music aptitude, music crea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usic making program to preschool teachers who regard music making as a difficult one and don't try to make music,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and activation of music making. After implementing music making program to 5-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music making on children's aptitude and creativity were assessed. The music making literatures were analyzed, and 379 teachers who had taught 5-year-old children were surveyed the need for the music making.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f 24 sessions(large group: 16 sessions, small group: 8 sessions) at 3 times a week was developed based on the data. The picture books of the music making program were selected by way of the selection guides of picture books suitable for children which were presented in the book of Lee Keongwoo, Jang Younghee, Lee Chasook, Ro Younghee, Hyun Eunja(1997). The children's songs were chosen by way of the preschool favorite children's song which were in the book of Lim Hyeojung and Kim Youngteon(2004). The teaching method was made by adjusting the cognitive apprentice learning theory at music class from the study of Seok Moonju and Kweon Dukwon(2016), consisting of modeling and explanation, practices and task completion, new task exploration, and solution stage, and using two lines of musical notes and pictorial music score. Participants were 42 daycare center children aged of 5-year-old in Seoul. The music making program was practiced to 20 experiment group children and 22 comparison group children in 24 sessions for 8 weeks. The practices were implemented 3 sessions in a week, 1st and 2nd sessions were large group and 3rd session was divided into 4 small group of 5 children each.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used to know the differences of music aptitude and music creativity of 5-year-old children. Using SPSS 22.0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were produ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rhythm and tone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aptitude. During the practices of the music making program children improved the abilities recognizing the same and differences of rhythm and ton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rhythms and tones. Secondly, the music making program enhanced children's music flexibility, music creativity, music logic which are the sub-items of music creativity. Children improved the abilities of distinguishing and expressing pitch, dynamics, tempo, making music with rhythm and melody words, composing of beats logically, and completing the beginning and ending of the music. The mean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by practicing the rhythm, melody, writing the words and composing music in a session, the music mak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enabled children to make music with a great deal of completion. Secondly, the music making program presented systemic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which teachers explained the modeling and practiced from simple activities to various activities repeatedly in order to encourage teachers to approach music making more easily. Thirdly, in this program pictorial notes developed by using picture books enabled teachers to continue the music making activities with children and to do the difficult music making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is study produced quantity data which tested the effects using standard test tools, it is necessary to use quality study to analyse the changes in detail which were showed during the practices of the program. Secondly, it is recommendable to make the music making program by using I-pad and computers. Third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essions to express and present the music which children made at their small group sessions. I suggest that it is advisable to divide the picture book contents into 3-4 chapters, to make a music with each chapter and to produce musical with children's songs using this program as a follow-up study.
key words: picture book, music making, music aptitude, music crea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