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고등학교 축구선수 자기관리가 운동스트레스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school soccer player self-management on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원문보기
본 연구는 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입증하고자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자기관리가 운동스트레스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2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설문에서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경남·부산·울산 지역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270명을 표본으로 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4명을 최종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변인으로는 학년, 선수경력, 포지션, 체중관리, 신장, 입상경력, 하루운동시간, 경기력수준인지, 하루 평균 수업참여, 학교성적 수준 등 일반적 특성(10문항), 자기관리(18문항), 운동스트레스(...
본 연구는 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입증하고자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자기관리가 운동스트레스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2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설문에서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경남·부산·울산 지역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270명을 표본으로 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4명을 최종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변인으로는 학년, 선수경력, 포지션, 체중관리, 신장, 입상경력, 하루운동시간, 경기력수준인지, 하루 평균 수업참여, 학교성적 수준 등 일반적 특성(10문항), 자기관리(18문항), 운동스트레스(22문항), 인지된 경기력(6문항) 등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기관리, 운동스트레스,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관리 행동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리 요인은 선배부당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훈련관리, 대인관리 요인은 기능불만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모두가 개인 시간제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대인관리 요인은 지도력 불만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몸 관리 요인은 기능불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 행동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리, 몸 관리 요인은 심판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관리 요인은 경기운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스트레스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 시간제약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운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부적 환경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보다는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들의 자기관리 노력이 운동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방법이고, 인지된 경기력을 제고시키는 방안이었다. 따라서 강한 체력과 정신력이 요구되는 축구와 같은 스포츠에서는 개인의 운동스트레스 극복에 대한 의지와 자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입증하고자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자기관리가 운동스트레스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2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설문에서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경남·부산·울산 지역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270명을 표본으로 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4명을 최종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변인으로는 학년, 선수경력, 포지션, 체중관리, 신장, 입상경력, 하루운동시간, 경기력수준인지, 하루 평균 수업참여, 학교성적 수준 등 일반적 특성(10문항), 자기관리(18문항), 운동스트레스(22문항), 인지된 경기력(6문항) 등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기관리, 운동스트레스,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관리 행동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리 요인은 선배부당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훈련관리, 대인관리 요인은 기능불만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모두가 개인 시간제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대인관리 요인은 지도력 불만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몸 관리 요인은 기능불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 행동에 따른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리, 몸 관리 요인은 심판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관리 요인은 경기운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스트레스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 시간제약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운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부적 환경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보다는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들의 자기관리 노력이 운동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방법이고, 인지된 경기력을 제고시키는 방안이었다. 따라서 강한 체력과 정신력이 요구되는 축구와 같은 스포츠에서는 개인의 운동스트레스 극복에 대한 의지와 자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thletes.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n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as examined in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This study was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thletes.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n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as examined in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ite soccer players in Kyungnam, Busan, and Ulsan area registered in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KFA) from February 2018 to August 2018.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270 students were sampled. Of these, 244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ity sample, excluding 26 untrue respondents. The variables used in the measurement were grade, athlete‘s career, position, weight management, height, awards, daily exercise time, performance level, average daily class participation, and school performance leve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6 item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10 items), self-management(18 items), exercise stress(22 items),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6 ite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self-management,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ere differ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behavior on exercise stress,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seniors' unfair behavior. Training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functional dissatisfaction. Also, it was analyzed that all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had no effect on individual time constraints. Furthermore,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leadership complaints, and body management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dis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behavior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facto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referee recognition, and mental management facto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ame oper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xercise stress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personal time constraint, which is a sub–factor of exercise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ame operation of sub-factor of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In conclusion, self-management effort of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rather tha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is a way to overcome exercise stress and enhance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Therefore, in sports such as soccer where strong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rength are required, it is considered that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willingness to cope with individual 's exercise stress are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thletes.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n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as examined in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ite soccer players in Kyungnam, Busan, and Ulsan area registered in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KFA) from February 2018 to August 2018.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270 students were sampled. Of these, 244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ity sample, excluding 26 untrue respondents. The variables used in the measurement were grade, athlete‘s career, position, weight management, height, awards, daily exercise time, performance level, average daily class participation, and school performance leve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6 item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10 items), self-management(18 items), exercise stress(22 items),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6 ite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self-management, exercise stress,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ere differ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behavior on exercise stress,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seniors' unfair behavior. Training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functional dissatisfaction. Also, it was analyzed that all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had no effect on individual time constraints. Furthermore,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leadership complaints, and body management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dis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behavior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facto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referee recognition, and mental management factor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ame oper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xercise stress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personal time constraint, which is a sub–factor of exercise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ame operation of sub-factor of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In conclusion, self-management effort of high school elite soccer players rather tha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is a way to overcome exercise stress and enhance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Therefore, in sports such as soccer where strong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rength are required, it is considered that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willingness to cope with individual 's exercise stress are very importa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