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숲체험활동 운영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와 실제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하위요인에 따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가 이루어지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숲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 숲체험활동의 운영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측정도구는 이은숙(2006), 배경란(2006), 김태희(2008), 김영주(2009), 정현순(2010), 허은희(2011), 강명희(2011)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제 2회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국제 세미나 자료집 ‘이제는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이다: 숲과 아이들의 만남’과 이명환 (2010)의 ‘녹색교육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의 문헌을 참고하여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 지도과정을 통해 설문을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각 문항들을 기술통계 분석 및 ...
본 연구는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숲체험활동 운영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와 실제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하위요인에 따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가 이루어지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숲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 숲체험활동의 운영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측정도구는 이은숙(2006), 배경란(2006), 김태희(2008), 김영주(2009), 정현순(2010), 허은희(2011), 강명희(2011)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제 2회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국제 세미나 자료집 ‘이제는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이다: 숲과 아이들의 만남’과 이명환 (2010)의 ‘녹색교육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의 문헌을 참고하여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 지도과정을 통해 설문을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각 문항들을 기술통계 분석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 정도에 따른 숲체험교육 인식에 관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χ2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숲체험활동 기관의 운영 실태는 정기체험형과 월4회 이하의 활동 횟수가 가장 높았다. 1회 활동시간은 2시간 미만, 활동의 형태는 자연물 탐색 및 관찰이 가장 많았다. 숲체험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인근의 숲체험장을 사용하였고, 이동 방법은 차를 타고 갔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숲체험활동 운영 횟수가 많았고, 활동 유형도 다양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형태는 근무경력에 관계없이 특별활동으로 진행되는 정기체험형 숲활동을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었다. 운영횟수에 대한 부분으로는 월4회 이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에서 교사들은 부모들이 숲체험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전 정보를 학교나 현장에서 획득하여 초임으로 근무를 시작한 형태가 많았다. 교사들은 정기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자신의 학급에서 숲체험활동이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숲체험활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언어능력, 창의력, 사회성, 신체운동능력, 수`과학능력에서 교육적 효과가 나타난다고 응답하였고, 그 외에 유아의 자존감 및 독립심, 집중력, 자발성을 포함한 전인 성장의 발달에도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에서 꾸준히 강조하고 있는 놀이 중심교육이 숲체험활동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현장 연수의 중요성을 더 인식하고, 정보 획득의 중요한 경로로 생각하고 있었다. 숲체험활동을 진행하는 유아교사들은 변인에 상관없이 교사의 역할과 자질, 연수, 교육적 효과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숲체험활동 1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진 교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숲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유아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사회성, 신체운동, 수·과학능력, 자존감 및 독립심, 집중력, 유아 놀이 활동에 대한 부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저 경력 교사에 비해 3년 이상 교사들이 그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숲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요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 교사들은 주1~2회 정기체험형의 숲체험활동을 선호하였다. 숲체험활동을 하는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가장 많았다. 활동 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을 유아들의 안전으로 꼽았다. 개선해야할 과제로는 숲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으로 현장에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숲활동 시 교사들의 긍정적인 마음이나 열정을 가장 중요한 자질로 생각하며, 보조교사의 업무를 안전 지도에 중점을 맞추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 이 논문은 2019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본 연구는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숲체험활동 운영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와 실제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하위요인에 따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가 이루어지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숲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 숲체험활동의 운영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측정도구는 이은숙(2006), 배경란(2006), 김태희(2008), 김영주(2009), 정현순(2010), 허은희(2011), 강명희(2011)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제 2회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국제 세미나 자료집 ‘이제는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활동 이다: 숲과 아이들의 만남’과 이명환 (2010)의 ‘녹색교육 유아교육기관의 숲체험’의 문헌을 참고하여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 지도과정을 통해 설문을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각 문항들을 기술통계 분석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 정도에 따른 숲체험교육 인식에 관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χ2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숲체험활동 기관의 운영 실태는 정기체험형과 월4회 이하의 활동 횟수가 가장 높았다. 1회 활동시간은 2시간 미만, 활동의 형태는 자연물 탐색 및 관찰이 가장 많았다. 숲체험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인근의 숲체험장을 사용하였고, 이동 방법은 차를 타고 갔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숲체험활동 운영 횟수가 많았고, 활동 유형도 다양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형태는 근무경력에 관계없이 특별활동으로 진행되는 정기체험형 숲활동을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었다. 운영횟수에 대한 부분으로는 월4회 이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숲체험활동을 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에서 교사들은 부모들이 숲체험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전 정보를 학교나 현장에서 획득하여 초임으로 근무를 시작한 형태가 많았다. 교사들은 정기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자신의 학급에서 숲체험활동이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숲체험활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언어능력, 창의력, 사회성, 신체운동능력, 수`과학능력에서 교육적 효과가 나타난다고 응답하였고, 그 외에 유아의 자존감 및 독립심, 집중력, 자발성을 포함한 전인 성장의 발달에도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에서 꾸준히 강조하고 있는 놀이 중심교육이 숲체험활동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현장 연수의 중요성을 더 인식하고, 정보 획득의 중요한 경로로 생각하고 있었다. 숲체험활동을 진행하는 유아교사들은 변인에 상관없이 교사의 역할과 자질, 연수, 교육적 효과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숲체험활동 1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진 교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숲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유아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사회성, 신체운동, 수·과학능력, 자존감 및 독립심, 집중력, 유아 놀이 활동에 대한 부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저 경력 교사에 비해 3년 이상 교사들이 그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숲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요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 교사들은 주1~2회 정기체험형의 숲체험활동을 선호하였다. 숲체험활동을 하는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가장 많았다. 활동 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을 유아들의 안전으로 꼽았다. 개선해야할 과제로는 숲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으로 현장에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숲체험활동 기관의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숲활동 시 교사들의 긍정적인 마음이나 열정을 가장 중요한 자질로 생각하며, 보조교사의 업무를 안전 지도에 중점을 맞추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 이 논문은 2019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